[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10)전통주 안동 소주, 아산 연엽주…. 우리나라의 유명 가양주(家釀酒)들이다. 가양주란 집안에 대대로 내려오는 전통주. 그리스로마 신화에 바쿠스가 등장하듯, 술은 인류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 골골마다 나름대로의 비법을 지키고 있는 술의 장인들이 있다. 경북 고령 한 마을에서 전.. 歷史. 文化參考 2006.08.05
[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9)전통가구와 소목장(小木匠) 우리 가구는 특이하게도 남녀가 구별돼 있다. 조선시대에 유학을 지배이념으로 삼으면서, 성차별적 사회를 구현해놓은 탓이다. 유학에는 없던 ‘남녀칠세 부동석(男女七歲不同席)’이라는 신 개념을 창조한 것이다. 따라서 생활하는 방이 남녀별로 나뉘게 됐다. 그 결과, 가구(家具)도 남자를 위한 사.. 歷史. 文化參考 2006.08.05
[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8)문방사우(文房四友) 문방(文房)은 원래 중국에서 문학을 연구하던 관직 이름이었다. 뒤에 선비들의 글방 또는 서재라는 뜻으로 정착됐다. 이곳에 갖춰두고 쓰는 종이, 붓, 먹, 벼루를 ‘문방사우(文房四友)’라 칭한다. 중국 진(晋)나라 명필 왕희지는 “종이는 진(陣)이요, 붓은 칼과 방패이며, 먹은 병사의 갑옷이요, 물 .. 歷史. 文化參考 2006.08.05
[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7)옹기(甕器) 예전 장독대를 지켜온 옹기(甕器)에는 그 집안의 살림살이 수준과 안주인의 솜씨가 배어 있었다. 소박한 조상의 생활상을 알려 주던 옹기는 사계절, 눈·비를 맞으며 묵묵히 집안의 먹거리를 지켜왔다. ▲ 장독대는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되며 정결하고 한적한 곳에 마련한다. 맨 뒷줄에는 큰 독을.. 歷史. 文化參考 2006.08.05
[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6)침선(針線) 우리 조상들은 여인의 네가지 향기로 말씨, 솜씨, 맵시, 마음씨를 들었다.‘부유사덕(婦有四德)’으로 일컬어지는 이 네가지 가운데 솜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침선(針線)이다. 침선은 그만큼 우리 여인네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중요한 덕목이었다. ▲ 박광훈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11호 침선장.. 歷史. 文化參考 2006.08.05
[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5) 천연염색 ‘살짝 물들인 듯한 쪽빛 명주색의 새벽’,‘홍화로 잘 염색한 모시를 닮은 저녁노을’(詩 : ‘노을의 연가’에서 ). 우리 하늘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들이다. 천연의 식물에서 색소를 추출하여 수많은 색을 창출한 우리민족의 감각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 천연염색의 제품들. (부천 천연 염색연.. 歷史. 文化參考 2006.08.04
[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4) 화문석과 완초공예 “전통적인 느낌의 발이 내려진 한옥 대청마루. 화문석 돗자리가 깔려 있고, 앞뜰에는 소박하고 아담한 꽃들이 피어 있다.” 여름철 전통가옥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 대본의 한 구절이다. 여기서 화문석(花紋席)은 중요한 소재다. 우리 살갗에 잘 맞는 토종 깔개인 화문석이 자연친화적인 살림집인 한.. 歷史. 文化參考 2006.08.04
[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3) 거문고와 가얏고 “거문고가 몇 줄인지 아십니까?” 서양음악을 위주로 교육받은 탓에 대부분 자신있게 대답하지 못한다. 그러나 거문고는 그 소리가 은은하고 그윽하여 예로부터 속내를 비치지 않는 고고한 기품의 선비들이 애호하던 우리의 전통 현악기이다. 명주실을 꼬아 만든 줄을 쓰며 왼손으로 ‘괘’를 집고 .. 歷史. 文化參考 2006.08.04
[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2)활과 화살 고대 중국인들은 우리민족을 동이족(東夷族)이라 일컬었다.夷자는 큰대(大)자와 활궁(弓)자의 합성문자로 우리 조상들이 활쏘기와 만들기에 무척 능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인 것 같다. 고구려의 무용총(舞踊塚) 벽화에 등장하는 활과 화살은 우리민족의 징표로 사용된다. ▲ 강원도 속초시 장사동 화.. 歷史. 文化參考 2006.08.04
[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1) 단청(丹靑)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이 땅에서 생겨나 자란 것들을 홀대하는 어리석음을 저지르고 있다. 우리의 어렵던 시절을 비집고 물밀듯이 밀려온 외래문화를 그저 무감각으로 누리면서 정체성마저 스스로 훼손하곤 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우리문화의 정체성 위기는 전통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계기로 작용.. 歷史. 文化參考 2006.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