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전체 글 71423

[스크랩] 중국과의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역사전쟁’을 넘어서   역사는 국가의 유전자다. 도도하게 이어져 내려오는 민족의식의 원천이다. 그래서 오늘의 삶의 밑바탕을 이루고, 어려움을 헤처나가는 근원적인 힘이 된다. 역사 왜곡은 이 유전자를 마음대로 바꾸려는 것과 마찬가지다. 지금 진행되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이 바로 그렇다.   고구려사 왜곡은 방어적 성격과 공격적 성격을 함께 갖는다. 남북통일 이후 중국 동북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국경 분쟁 등 영토 문제를 미리 차단하려는 것은 방어적 성격이다. 통일 한국의 북쪽과 중국내 조선족의 거주지를 합치면 고구려의 영토와 자연스럽게 일..

[스크랩] 고구려 기초지식 - 장군총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장군총에 대하여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석릉(石陵)이다. 이는 시기적으로  3세기 초부터 427년까지 건설된 고분이다. 고구려 고분은 고구려가 도읍한 지안현 퉁거우평야[通溝平野]에는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와 고구려 최대형급의 무덤인 태왕릉(太王陵)·사신총(四神塚) 등 석릉과 토분(土墳) 1만 기(基)가 있으나 외형이 거의 완존(完存)한 석릉은 이것뿐이다.    화강암 표면을 정성들여 가공한 절석(切石)을 7단의 스텝 피라미드형으로 쌓았는데, 기단(基壇)의 한 변 길이 33m, 높이 약 13m 이다. ..

[스크랩] 광개토대왕과 호태왕비석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광개토왕 (廣開土王 374∼412)  -->  고구려 제19대왕(391∼412). 재위기간 동안 영락(永樂)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여 영락대왕이라고 불렸다. 본명은 담덕(談德). 고국양왕의 아들로 386년(고국양왕 3) 태자로 책봉되고 391년 즉위했다.    재위기간 동안 고구려의 영토와 세력권을 확장시켰는데, 예성강(禮成江)을 경계로 백제에 대해서는 즉위 초부터 적극적인 공세를 취하였다. 392년(광개토왕 2) 석현성(石峴城;開豊郡 北面 靑石洞)을 비롯한 10개 성을..

[스크랩] 중국의 역사왜곡 프로그램 -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원본 번역]중국 동북공정 전문가위원회 작성 '동북공정' 개요 중국의 동북공정 전문가위원회가 작성한 ‘동북공정’에 대한 개요    다음은 중국의 동북공정 전문가위원회가 작성한 ‘동북공정’에 대한 개요입니다. 동북공정에 착수하게 된 까닭이 “일부 국가의 연구기관과 학자들”의 “역사 왜곡”과 “소수 정치가들의 황당무계한 논리”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는 부분이 눈에 띕니다.   이 작업의 목적이 “국제적인 도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를 갖추는 것”이며, 이 공정 참가자들은 ‘정치의식’을 제대로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공정의 직..

[스크랩] 중국정부가 개입한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중국 고위관리 ‘동북공정’ 지휘 중앙·지방 당정간부 대거참여…예산도 대부분 지출    중국 정부가 ‘학술 연구’라고 주장해온 ‘동북공정’(동북변경 역사와 현황 시리즈 연구공정) 사업에 중국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리가 ‘지도자’로 대거 참여하고 있으며, 사업 예산의 대부분을 중국 정부가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동북공정이 단군조선을 부정하고 기자조선-위만조선-한사군-고구려-발해 등 다섯 왕조·정권이 모두 중국 속국 또는 지방정권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사실이 이미 완성된 ‘과제’들을 통해 재확인됐다.    지난 5일 동북공정 사무처가..

[스크랩] 中주장 -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          "고구려는 중국왕조의 하나 한반도와 무관"    중국 측은 우선 고구려가 한반도에 근거를 둔 한민족의 역사와는 무관하다는 점을 줄기차게 강조한다.   그 예로 드는 것이 현재 중국 영토 내에 있던 고구려가 중원에 세워진 정권에 조공(朝貢)을 하고 이들에게서 책봉(冊封)을 받았으며 연호(年號) 또한 대부분 중원의 것을 사용했다는 점 등이다.   아울러 중국 지린(吉林)성 지안(集安) 등지에서 발굴된 고구려 무덤에서 당시 중원 왕조의 통화가 부장품으로 나온 점 등을 들어 중원 왕조와 고구려 왕조가 지배적 왕조와 부속 정권의 관..

[스크랩] 고구려 고분(古墳:무덤)과 고분벽화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   1. 고분의 분포와 두가지 특징   고구려 영역 내의 모든 지역에 걸쳐 조성되었을 터이지만, 초기의 중심지인 압록강 유역과 후기의 중심지인 대동강 유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특히 5세기 초까지 고구려의 수도였던 중국 지안[集安] 일대에는 수만기의 고구려고분이 곳곳에 널려 있다.  고구려고분은 외형상의 특징에 의해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돌로 쌓아 만든 돌무지무덤[積石塚]이고, 다른 하나는 흙으로 덮은 봉토무덤이다. 양자 중 전자가 먼저 나타난 무덤양식으로서 대략 BC 3∼2세기경부터 만들어졌다고 추정되며, 후자는 ..

[스크랩] 우리의 역사 고구려를 알자(기초1)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고구려 [高句麗] --> 요약삼국시대의 고대국가 중 하나. 서기 전후 무렵 성립되어 668년에 멸망하였으며, 한반도(韓半島) 북부와 남만주(南滿洲) 일대를 근거지로 번성하였다.  내용삼국시대의 고대국가 중 하나. 서기 전후 무렵 성립되어 668년에 멸망하였으며, 한반도(韓半島) 북부와 남만주(南滿洲) 일대를 근거지로 번성하였다.  1 역사(1) 성립고구려족(高句麗族)은 만주(滿洲)지방에 살던 부여족(扶餘族)에서 갈라져 나온 민족으로 처음에는 쑹화강[松花江] 유역에..

[스크랩] 中, 고구려·발해 유적정비 3조원 투입說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中, 고구려·발해 유적정비 3조원 투입說 국내학계 “막대한 투자에는 정치적 의도있다”   고구려·발해사를 중국의 일부로 만들려는 중국은 이른바 동북공정(東北工程·동북변강의 역사와 현상에 대한 연구사업)에 얼마의 돈을 투입하고 있을까.  중국 국무원 산하 사회과학원의 변강사지연구중심(邊疆史地硏究中心)이 2002년 2월부터 5개년 계획으로 추진 중인 이 사업의 공식 연구비는 모두 1500만위안(21억원)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것은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실제 돈이 많이 드는 것은 유적 정비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얼마의 돈이 드는지는 알려..

[스크랩] 우리의 역사 고구려를 알자 (기초지식-2)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 고구려는 역대 모두 28명의 왕들이 세습을 통해서 신라, 백제와 교류, 경쟁하면서 북방지역에서 활동했던 우리 역사속에서 살아 숨쉬고 있는 우리 조상의 나라입니다.  역대왕조 세계표(世系表)를 보면 고조에 해당하는 고주몽 동명성왕에서 시작하여소수림왕과 광개토대왕가 장수왕시기에  전성기를 이루면서 보장왕까지 이루고 있습니다. 그 흔적을 고구려 역대 세계표를 통해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고구려 역대 세계표. 참고로 사진을 클릭하시면 더욱 분명히 보실수 있습니다.   가져온 곳: [북경이야기(北京故事)]&nbsp 글쓴이: 지우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