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올레길 걷기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제주 올레길 걷기 나는 직업상 해외여행을 많이 한다. 지난 30여 년 사이에 오대양 육대주에 거의 안 가본 곳이 없을 지경이다. 그렇게 많은 나라를 다니며 경치를 구경하고 사람들을 만나면서 느끼는 것이 한국 사람들만큼 영특한 국민들이 드물다는 느낌이며, 한국 땅처럼 정감.. Free Opinion 2010.11.10
순종하는 국민과 불순종하는 국민 ②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순종하는 국민과 불순종하는 국민 ② 십계명에서 여섯 가지 계명은 ‘하라’는 내용이고 네 가지 계명은 ‘하지 말라’는 내용이다. ‘하라’는 말씀을 따라 행하면 순종하는 삶이 되고 ‘하지 말라’는 말씀을 따라 행하지 않으면 역시 순종하는 삶이 된다. 반대로 ‘하라’는.. Free Opinion 2010.11.09
토지는 여호와의 것이니라.(4)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토지는 여호와의 것이니라.(4) 어제 글에서 토지에 대한 기업정신(基業精神)을 적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 진격하여 점령한 땅을 각 지파별로 그리고 각 가정 별로 분배하던 때에 제비를 뽑아 분배하였다. 그렇게 제비를 뽑아 자기 가정의 몫으로 배정된 땅을 기업이.. Free Opinion 2010.11.07
토지는 여호와의 것이니라.(2)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토지는 여호와의 것이니라.(3) 여호수아 장군을 자도자로 삼아 가나안 땅 정착에 성공케 된 후,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 땅을 12 지파가 각 지파별로 분배한 후 지파 안에서는 각 가정 별로 제비를 뽑아 분배하였다. 그렇게 제비를 뽑아 자기 가정에 배정된 땅을 기업(基業)이라 하였.. Free Opinion 2010.11.06
나그네를 대접하라.(2)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나그네를 대접하라.(2) 지난 글에서 우리 한국이 지난 반세기 동안에 우리 자신들도 미처 모르는 사이에 하나님의 법 두 가지를 지켰기에 그 복으로 오늘 이만큼이나마 누리고 살게 되었음을 지적하였다. 그 두 가지 법 중에 첫째는 “나그네를 대접하라”는 하나님의 명령대로 .. Free Opinion 2010.11.06
나그네를 대접하라.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나그네를 대접하라. "나그네를 대접하며 혹은 성도들의 발을 씻기며 혹은 환난 당한 자를 구제하며 혹은 모든 선한 일을 좇는 자라야 할 것이라"(디모데전서 5장 10절) 이제 열흘 후면 세계의 부자나라 스무 나라의 정상들이 서울에서 모여 회의를 열게 된다. 우리나라가 이런 회.. Free Opinion 2010.11.03
종교개혁 493주년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종교개혁 493주년 1517년 10월 31일에 마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가 종교개혁의 깃발을 올린 이래 493년이 지났다. 초기 종교개혁 운동가들의 신앙과 사상을 이어 받아 한반도에서 뿌리를 내리고 가지를 뻗어 열매를 맺어온 한국교회인지라 이번 주간에 개혁운동의 본질을 다시 .. Free Opinion 2010.11.01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이번 주는 종교개혁 493주년을 맞는 주간이다. 종교개혁 493주년째란 뜻 깊은 때를 맞으며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를 생각한다. 종교개혁의 원조 격인 존 칼빈의 사상과 개혁정신을 그대로 이어 받은 그는 네덜란드의 총리 자리에까지 오.. Free Opinion 2010.10.31
‘해뜨는 마을’의 박수일 목사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해뜨는 마을’의 박수일 목사 요한복음 10장을 목자장(牧者章)이라 일컫는다. 예수께서 3가지 종류의 목자를 들어 참 목자의 길을 일러 주셨기 때문이다. 첫째는 절도와 강도 같은 목자이다. 둘째는 삯꾼 목자이다. 셋째는 선한 목자이다. 절도와 강도 같은 목사는 설명이 필요.. Free Opinion 2010.10.30
‘해뜨는 마을’의 소년들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해뜨는 마을’의 소년들 지금 우리사회는 심각한 가정의 위기를 맞고 있다. 이혼, 가정경제파탄, 가정폭력 등으로 인하여 가정해체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고 학교폭력, 왕따, 가출 등으로 청소년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가정을 떠나 길거리를 헤매는 청소년들이 10.. Free Opinion 2010.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