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향기] 이영권 박사의 "인맥관리의 3대 요소" 인맥관리의 3대 요소 이영권 인맥은 관리될 수 있는 것인가? 만들 수 있는 것인가? 답부터 말씀드리면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을 연결할 가능성은 있는가? 있습니다. 뒷배가 없다, 집안에 배경이 없다, 동창관계가 적다, 이런 분들일수록 인맥관리를 지금부터 바탕위에 .. Free Opinion 2013.01.14
[넷향기] 이병준 대표의 "충분히 주었으니 마음 아파하지 마라" 충분히 주었으니 마음 아파하지 마라 이병준 안녕하십니까? 부부Fun더하기의 이병준입니다. 얼마전 제가 박사학위를 받던 졸업식장에서였습니다. 사진을 찍던 중 부모님께 박사모를 씌워드리며 "이 박사모의 진짜 주인공은 아버지 어머니 것입니다." 라고 말했더니 부모님, 특히 어머니.. Free Opinion 2013.01.07
[넷향기] 신동기 박사의 "돈과 학문의 관계" 돈과 학문의 관계 신동기 많은 사람들은 돈에 대해서 극단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돈을 굉장히 증오하거나 돈에 굉장히 집착하거나 그래서 돈과 사람의 관계는 애인관계와 비슷합니다. 사귈때는 죽고 못사는 사이지만 헤어지면 너무나 증오하는 사이가 되더라는 이야기입니다. 그.. Free Opinion 2013.01.05
[넷향기] 이영권 박사의 "노후설계의 세 가지 방법" 노후설계의 세 가지 방법 이영권 여러분들 미래의 노후준비 잘 되고 계십니까? 제가 한 자료에서 보니까 1949년에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이 49살이었습니다. 1960년대 평균 수명이 60세였습니다. 그런데 2010년 우리나라의 평균 기대수명이 약 80세입니다. 그런데 현재 20대, 30대에 계신 분들이.. Free Opinion 2013.01.05
[넷향기] 신상훈 교수의 "화가날때 마음을 다스리는 법" 화가날때 마음을 다스리는 법 신상훈 부가가치세가 뭔지 아시죠? 부자와 가난한 사람이 같이 세금을 내야한다는 뜻입니다. 동방불패는 뭘까요? 동사무소 방위는 불쌍해서 패지도 않는다는 뜻입니다. 오늘은 화가날때 마음을 다스리는 법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사실 화를 많이 내시.. Free Opinion 2012.12.31
[넷향기] 이병준 대표의 "사람은 항상 최선을 선택한다는 것을 믿으라." 사람은 항상 최선을 선택한다는 것을 믿으라. 이병준 안녕하십니까? 부부Fun더하기의 이병준입니다.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님들은 내 아이가 지금 반항을 하고 있다고 걱정합니다. 그런데 저는 너무 큰 걱정하지 말라고 합니다. 반항을 하는 아이는 에너지를 가진 아이들, 차로 비유하면 .. Free Opinion 2012.12.31
[넷향기] 이영권 박사의 "중요한 재테크 수단 '예금'" 중요한 재테크 수단 '예금' 이영권 예금이 얼마나 중요한 재태크 수단인지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은행에 돈 넣어놔서 돈이 됩니까?" 하고 물으십니다. 예를 들어서 30년전에 1억을 들여서 부동산을 산 사람, 1억원어치 우량주를 샀던 사람, 1억을 은행에 넣어놓고 복.. Free Opinion 2012.12.31
[넷향기] 강문호 목사의 "자기 정복이 최고의 정복입니다." 자기 정복이 최고의 정복입니다. 강문호 넷향기 가족 여러분 그 동안 편안하셨나요? 갈보리 교회 강 문호 목사입니다. 오늘은 자기 정복이 최고의 정복이라는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세계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을 정복한 에드먼드 힐러리는 이런 말을 하였습니다. "우리는 산을 정복한 .. Free Opinion 2012.12.29
[넷향기] 이영권 박사의 "주식을 할 때 유의사항" 주식을 할 때 유의사항 이영권 여러분 주식하십니까? 이렇게 여쭤보면 10명 중에 2~3명이 대부분 주식을 하고 계십니다. 주식하는 이유를 물어보면 큰돈을 벌고 싶어 라고 얘기하시는 분들이 많은 데 이런 분들에게 제발 허망된 꿈을 갖지 말라고 신신당부합니다. 주식은 작은 돈으로 할 .. 다양한 도우미 2012.12.29
[넷향기] 신동기 박사의 "돈과 문화의 관계" 돈과 문화의 관계 신동기 저는 돈은 애인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사랑할 때는 돈처럼, 애인처럼 좋은게 없습니다. 그러나 헤어지면 어떻습니까. 가장 증오하고 가장 미워하는 존재가 애인이란 이야기입니다. 근데 사람들이 돈을 대할 때 애인처럼 대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실제 우리 현실 .. Free Opinion 2012.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