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향기] 강문호 목사의 "콩나물은 커도 콩나무가 아닙니다." 콩나물은 커도 콩나무가 아닙니다. 강문호 넷향기 가족 여러분 그 동안 편안하셨나요? 갈보리 교회 강 문호 목사입니다. 오늘은 콩나물은 커도 콩 나무가 아니라는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무엇이나 본질이 있습니다. 걸레는 빨아도 걸레입니다. 보석은 흙이 묻어도 보석입니다. 왕은 거.. Free Opinion 2013.02.25
[넷향기] 신동기 박사의 "노블리스 오블리제는 추가적인 부담이 아닌 균형을 의미한다." 노블리스 오블리제는 추가적인 부담이 아닌 균형을 의미한다. 신동기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는 귀족의 책무, 귀족의 의무라고 얘기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말하는 의무는 글자 그대로 의무입니다. 의무는 추가적인 부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균형을 의미합니다. 의무의 출.. Free Opinion 2013.02.14
[넷향기] 이영권 박사의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기술"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기술 이영권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잘해야 인맥관리가 기술적으로 이루어 질것인가 하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마음자세, 경쟁력 제거가 끝난 다음에 할일일수도 있지만 경쟁력 제거는 좀 덜되었지만 마음자세 만큼은 제대로 되어있는 사람만이 가능한 얘기입.. Free Opinion 2013.02.08
[넷향기] 이동환 교수의 "내 성격을 바꿀 수 있나요?" 내 성격을 바꿀 수 있나요? 이동환 스트레스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만나다 보면, 가끔 이런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내 성격을 바꿀 수 있나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노력을 하면 조금씩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저는 assimilation 이라는 단어를 생각해.. Free Opinion 2013.02.05
[넷향기] 김종수 소장의 "생명온도를 잃으면 기운이 없습니다." 생명온도를 잃으면 기운이 없습니다. 김종수 안녕하십니까? 생명온도 연구소장 김종수입니다. 오늘은 생명온도를 잃게 되면 몸에 나타나는 현상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질병에 고통을 받다가 죽어가고 있는 현실입니다. 이는 모두가 뱃속 장기들의 생명온도를 잃어.. Free Opinion 2013.01.29
[넷향기] 이동환 교수의 "당신의 세포는 건강한가요?" 당신의 세포는 건강한가요? 이동환 안녕하세요? 가정의학과 전문의 힐링닥터 이동환입니다. 저는 지금까지 의사로서 22년간 진료를 해왔습니다. 그 중에서 최근 10년간은 조금 특별한 진료를 해 왔습니다. 바로 만성피로 스트레스 환자들을 진료해 왔습니다. 자 먼저 이 그림을 한번 보시.. Free Opinion 2013.01.26
[넷향기] 강문호 목사의 "멍에의 무게가 상 받을 무게입니다." 멍에의 무게가 상 받을 무게입니다. 강문호 넷향기 가족 여러분 그 동안 편안하셨나요? 갈보리 교회 강 문호 목사입니다. 오늘은 멍에의 무게가 상 받을 무게라는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한 가지 이야기로 열겠습니다. 세계를 정복한 알렉산더 왕 시절 이야기입니다. 먼 나라를 정복하.. Free Opinion 2013.01.25
[넷향기] 이영권 박사의 "마음자세" 마음자세 이영권 사람들이 인맥관리를 하는 세 가지를 강조하는 데 마음자세, 자신의 경쟁력을 제거하라, 스킬을 개발하라고 말합니다. 오늘은 마음자세에 대한 얘기를 간추려 보겠습니다. 어떤 마음자세를 가져야 사람들하고 좀 더 많은 인맥관리가 될까요? 우선 몇가지 반드시 갖으셔.. Free Opinion 2013.01.25
[넷향기] 신상훈 교수의 "유머를 통해 배려를 배워라" 유머를 통해 배려를 배워라 신상훈 얼마전에 재벌2,3세들이 빵집을 경영해서 문제가 되었습니다. 왜 재벌2,3세들이 빵집에 투자를 했을까요? 제가 볼때 옛말에 이런말이 있죠. 「안전빵」이다. 그러니까 안전한 곳에 투자를 한겁니다. 우리가 진정 투자해서 손해 안보고 많은 수익을 얻을.. Free Opinion 2013.01.18
[넷향기] 신동기 박사의 "돈과 종교의 관계" 돈과 종교의 관계 신동기 많은 분들이 돈과 종교는 서로 대척점에 서있는 것처럼 생각을 많이 하십니다. 어떻게 종교가 돈을 밝히느냐 종교를 신실하게 믿는다면 돈을 멀리 해야 하고 돈을 밝히는 사람은 종교적으로 신실할 수 없는 것처럼 생각을 많이 합니다. 그런데 돈과 종교는 굉장.. Free Opinion 201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