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歷史. 文化參考 1407

[스크랩] 고구려 - 고조선과 부여를 연결한다.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고구려는 고조선과 부여를 연결하는 고리   최근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고대사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진 가운데 일연(一然)의 「삼국유사」를 통해 고조선과 부여, 고구려, 발해를 조망하는 학술대회가 3일 경북 군위군청에서 열려 관심을 모았다.     일연학연구원(원장 상인 스님.常仁.인각사 주지)이 '삼국유사 체제에 보이는 고대사 인식'을 주제로 한 이날 세미나에는 고구려 연구재단 김현숙 연구위원을 비롯해 고조선과 부여.발해 등 한반도 고대사 전문가들이 참석해 각각 주제를 발표했다.    김현숙 연구위원은 '삼국사기 내 주몽(朱蒙)의 출자기사(..

[스크랩] 요점정리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내용과 진실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내용과 진실 중국의 역사 왜곡은 한국사를 시간적으로 2천년밖에 되지 않고 공간적으로는 한강 이남으로 국한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에서일본의 교과서 왜곡보다 심각성이 훨씬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 중국은 남북통일 이후 국경 등 영토문제를 공고히 하거나 통일이 동북지구의조선족에 미칠 혼란을 미연에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역사를 왜곡하고 있으며 앞으로 신라 이북지역에 대한 중국의 연고권까지 주장할 것으로 분석됐다.    9일 한국고대사학회가 교육인적자원부 위탁 연구과제로 지난해 12월 발간한 `중국의 고구려사 귀..

[스크랩] 교훈 - 고구려사 왜곡 바로잡기, 이제부터다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고구려사 왜곡 바로잡기, 이제부터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와 관련해 한국과 중국이 합의한 다섯 항의 구두 양해사항은 내용과 형식에서 모두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핵심인 네번째 항은 “중국 쪽은 중앙 및 지방 정부 차원의 고구려사 관련 기술에 대한 한국 쪽의 관심에 이해를 표명하고 필요한 조처를 취해 나감으로써 문제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한다”고 했다. 중국이 중앙 정부와 함께 지방 정부의 책임을 인정한 것은 일정한 진전이지만 ‘필요한 조처’가 뭔지 확실하지 않다.     만약 중국내 고구려 유적의 안내문과 홍보책자, 출판물 등에서..

[스크랩] 어떻게 볼것인가? - 고구려사 한중간의 합의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외교적 성과… 불길은 잡았지만 불씨는 남아”‘고구려史 韓·中 합의’ 평가 외교전문가 “정부 단호한 대응 따른 긍정적 결과” 고구려재단 “원상회복 없는 홍보중단은 의미없어”   한국과 중국 정부의 고구려사 문제 합의에 대해 외교전문가와 학자들은 일단 ‘외교적인 성과’라고 평가했으나, 고구려연구 학자 등 다수의 전문가들은 “외교관계 악화를 우려한 미봉책에 불과하고 재발 가능성이 많으므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번 합의를 수치화(10점 만점)해 평가해 달라는 요청에 응한 전문가 5명은 6.5점에서 8.5점까지의 점수를 줬다.  ..

[스크랩] 고구려사 한중간의 합의 - 학술적 차원의 해결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지난 2월에도 합의後 본격 왜곡… 再發 대비해야 ‘학술적 해결’ 믿다 뒤통수 맞았던 외교부 “中 또 어기면 어떡하나” 신중한 분위기▲ 중국 외교부의 우다웨이 부부장이 24일 한중 간 고구려사 관련, 5개항의 양해사항에 합의한 뒤 인천공항을 통해 출국하면서 기자들의 질문을 피하고 있다.  한국 정부와 중국 외교부의 우다웨이(武大偉) 부부장이 24일 합의한 5개항 구두 양해사항의 핵심인 ‘학술적 차원의 해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번 합의와 거의 같은 내용은 불과 몇 달 전인 2월 13일에 있었다. 중국 외교부의 왕이(王毅) 부부장이 방..

[스크랩]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 ‘동북공정’을 넘기 위하여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동북공정’을 넘기 위하여  서울에서 열렸던 ‘평양에서 온 고구려 무덤벽화와 유물전’과 관련하여 북한의 고구려 유적을 둘러볼 기회가 있었다. 며칠 머무는 동안 그곳 사람들이 고구려를 무척 아낄 뿐 아니라 역사와 문화에 대해 익히 알고 있는 것을 거듭하여 볼 수 있었다. 선주후랭이라는 옥류관 랭면을 먹으면서 그네들이 묻길래 남녘 사람들 또한 그러하며 공부하는 이도 적지 않다고 힘주어 말하자 역시 같은 민족이라며 다들 좋아라 했다.   서울에 돌아온 뒤 전시회와 관련한 학술위원회 구성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확인하게 된 것이지만 우리 사정은 생..

[스크랩] 경기도내 고구려 관련 유적 60곳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경기도내 고구려 관련 유적 60곳  경기도내 산재한 고구려 관련 유적이 60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가 한.중간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이들 도내 고구려 유적을 보존 및 활용하기 위한 장.단기 방안을 마련, 적극 추진해나가기로 했다.   16일 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는 구리시 아천동 아차산 4보루(국가사적 추진중),연천군 마산면 당포城(도 기념물 제174호),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城(도 기념물 제197호), 고양시 성서동 고봉산성 등의 고구려 유적이 남아 있다.   대부분 산성이나 보루(堡壘.둘..

[스크랩] 한·중·일 공동집필 역사교재 출간 임박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한·중·일 공동집필 역사교재 출간 임박 박기성 특파원= 한.중.일 3국의 학자들이 공동 집필한 동아시아 역사교재 초고 집필이 마무리돼 내년 출판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역사책은 일본의 진보적인 학자들에 의해 집필이 제안된 것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고구려사 등 고대사는 빠진 채 근대사 부분만을 다루고 있다.  중국 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 부핑 상무부소장은 15일 중국 반관영 통신중국신문사와 가진 기자회견에서 한.중.일 3국 역사학자와 교육계 인사 30여명이 참여해 집필중인 동아시아 어린이용 역사교재를 공동 출판할 계획이라고..

[스크랩] 동북공정관련 원문자료2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원문 번역] 동북공정관련 원문자료2  아래에 소개하는 자료는 헤이룽장성 사회과학원의 장비보(張碧波) 연구원이 작성한 의 개요입니다. 연구 요점이란 한마디로 고조선의 역사에서 ‘단군’과 관련한 내용을 설화의 세계로 내몰고, 설화에 지나지 않는 기자란 인물을 내세워 그가 한반도에 ‘기자조선’을 세웠다고 주장합니다. 이 연구원은 기자조선이 동북지방과 한반도 역사의 시초라고 강변하고 있습니다. 또 기자조선이 세워지기 전 한반도에 있었던 ‘한(韓)’은 본래 ‘고진국(古辰國)’으로 은나라의 속국이었다는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 아래의 자료 중국어..

[스크랩] 국사가 '필수'가 될 수 없는 이유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국사가 '필수'가 될 수 없는 이유1.최근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를 놓고 언론들은 연일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역사왜곡의 배경과 실체에 대해서 그리고 우리의 대응문제를 놓고 많은 논의들을 제기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우리 역사교육을 강화하기 위해서 국사과목을 필수과목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우리 스스로가 국사를 가볍게 여기고 소홀히 하고서야 무슨 근본적인 대응을 말할 수 있겠느냐는 그런 주장일 것이다. 국사의 현실적 처지를 보자면 이렇다. 국사과목은 한때 필수과목이었다. 그러나 근년에 와서 초·중등 및 대학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