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9년 간도협약
日, 淸에 간도 넘겨주고 철도·광산權 받아
1909년 9월 4일 간도(동간도)의 영유권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일본과 청나라 사이에 체결된 조약. 두만강을 대한제국과 청의 국경으로 삼아 간도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을 인정했고, 일본은 그 대가로 만주에 있어서의 현안문제였던 철도·광산 등의 이권을 보장받았다.
일본은 을사조약 이후인 1907년 8월 간도지방에 진입, 용정(龍井)에 한국통감부 간도 임시파출소를 개설하는 등 간도가 대한제국의 영토라는 입장이었지만 이후 ‘간도문제를 희생해서라도 만주에서의 이익을 확보하는 정책’으로 기울었다.
‘청·일 간도협약’은 대한제국과 청의 국경을 도문강(圖們江·두만강)과 백두산 부근의 석을수(石乙水)로 정했고, 간도 지역의 개간지에 대한 한인의 거주를 승인했다.
1962년 평양에서 체결된 북한과 중국 사이의 ‘조·중 변계조약’은 국경을 석을수보다 북쪽에 있는 홍토수(紅土水)로 삼고 280㎢(서울시 면적의 46%)의 영토를 확보하는 선에서 사실상 청·일 간도협약이 정한 국경을 추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용처: 조선일보 2004.9)
'歷史. 文化參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북한의 역사학자 - 허종호, 조희승 (0) | 2005.07.31 |
---|---|
[스크랩] 1909년 '간도는 조선 땅' 이란 지도 발견 (0) | 2005.07.31 |
[스크랩] 南北 사학자들 '고구려사 지키기' 공조 다짐 (0) | 2005.07.31 |
[스크랩] 중국의 간도(間島)의 영유권은 무효다 (0) | 2005.07.31 |
[스크랩] 고구려史 왜곡 반박할 古地圖展 준비 (0) | 200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