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軍事 資料 綜合

軍,군사기밀 노출 대응책 마련 착수

鶴山 徐 仁 2010. 4. 19. 12:09

 군당국이 천안함 침몰사고 이후 군사기밀이 상당 부분 노출됐다고 판단하고 대응책 마련에 본격 착수한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끌고 있다.

 북한군의 동향을 감시하는 해군의 핵심장비 성능과 대북 잠수함 작전능력,서해 경계작전계획 등이 군 안팎에서 노출되어 국방부와 합참이 대응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고 군 고위 관계자가 19일 전했다.

 군이 천안함 침몰사고 원인 규명 작업과 함께 군사기밀 유출에 대한 대응책을 동시에 강구하고 나선 것은 유출 수준이 예상보다 심각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관측된다.

 군 고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남한 전 해상을 감시하는 해군의 전술지휘통제체계(KNTDS)와 초계함의 음탐장비(SONA) 성능을 비롯한 대북 잠수함 작전능력,서해 경계작전계획 일부 등의 민감한 내용이 노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적이 알아서는 안 될 내용들이 포함된 이상 대응방안 마련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군당국은 해군의 KNTDS와 SONA의 성능이 공개된 것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천안함의 침몰 전후 기록이 저장된 KNTDS 화면상에 함정이 표시되는 방법을 포함,화면에서 사라지는 시간 등 구체적인 성능이 알려졌다는 것이다.물론 여기에는 군이 스스로 자초한 측면이 강하다는 지적도 있다.

 군은 지난 7일 천안함 침몰사고 발표자료를 통해 ”함정에서 발신되는 자함위치 신호에 의해 함정의 위치가 KNTDS 화면에 표시되고 위성항법장치가 없는 함정은 인근 레이더에서 포착,송신되는 위치정보에 의해 표시된다“고 설명했다.

 또 레이더 사각지대에 있는 함정이나 선박은 몇 분이 지나면 KNTDS 화면상에서 깜박거린다는 사실도 군이 공개한 것이다.

 이와 함께 적의 잠수함을 탐지하고 격침하는 초계함의 ‘귀’ 역할을 하는 SONA의 성능도 일부 공개됐다.

 국방부는 지난 5일 천안함과 같은 대잠 초계함이 SONA를 가동할 경우 천안함 사고 당일을 기준으로 백령 근해 수심 30m 기준의 해양환경대입하면 약 2㎞ 전후에서 잠수함과 (반)잠수정,어뢰를 탐지할 수 있는 확률은 70%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수중에서 잠수함을 탐지하지 못하는 30%의 사각지대가 있다는 의미인 이 데이터는 국방과학연구소(ADD)의 시뮬레이션에 근거하고 있다고 국방부는 전했다.

 하지만 군 요직에 있다가 전역한 일부 예비역 장성들은 탐지율이 50%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군당국은 수상함에서 북한의 잠수함과 어뢰.기뢰 등 수중무기를 탐지하는 장비와 센서를 우선 보강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무엇보다 북한 잠수함의 통신내용을 감청해 얻은 첩보(SI)가 자세히 공개된 것은 치명적인 실수라는 것이 군 안팎의 지적이다.

 천안함 침몰을 전후한 시점에 23∼27일 닷새간 23일 6회,24일 3회,26일 1회 등 북측 비파곶에서의 상어급 잠수함의 기동이 있었고,2대 가운데 1대는 통신상 비파곶 인근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으나 다른 1대의 행방은 알 수 없었다는 내용이 국회에서 공개됐다.

 북한 상어급 잠수함과 서해 잠수함 기지간 교신한 특정 주파수를 우리 군이 알고 있다는 사실을 북한측에 알려줘 주파수를 바꾸도록 한 꼴이 됐다.

 백령도 기지에 설치된 TOD의 실제 화면 상태와 기능도 공개되어 북한군이 방어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군은 이를 신형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서해 최고 경계태세발령 암호인 ‘서풍-1’이란 용어도 지난 7일 국방부의 발표자료에 명기되어 암호 교체는 불가피하게 됐다.

 군 관계자는 ”군의 발표를 불신하는 상황에서 이것저것 솔직하게 넣다 보니 보안성 검토 등을 할 여유가 없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노출된 수준을 엄정하게 평가해 보안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2010-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