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해 교수 시론(‘착한 기업’과 ‘착한 정치’가 국가경쟁력) <이영해 교수의 세상보기> ‘착한 기업’과 ‘착한 정치’가 국가경쟁력 <경기일보 시론 3. 1. 게재> 이영해 한양대 교수, (사)21세기분당포럼 이사장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기업의 탐욕과 부도덕이 글로벌 금융위기를 부르면서 기업의 기능과 책무가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하게 됐다.. 政治.社會 關係 2011.03.01
<이영해 교수의 세상보기> 복지 포퓰리즘은 ‘망국의 지름길’ <이영해 교수의 세상보기> 복지 포퓰리즘은 ‘망국의 지름길’ <세계일보 1. 11. 게재> 이영해 한양대 교수, (사)21세기분당포럼 이사장 정치권에서는 지금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함께 잘사는 대한민국 공동체’, ‘정의로운 복지국가’, ‘역동적 복지국가’, ‘그물망 복지.. 政治.社會 關係 2011.01.11
[스크랩] 어느 교수의 마지막 메세지 어느 교수의 마지막 메세지 1. 살아가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죽는 법을 알게 됩니다. 죽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살아가는 법을 알게 됩니다. 훌륭하게 살아가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언제라도 죽을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2. 자신의 몸이나 병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마십시오 몸은 우리의 일부 .. 精神修養 마당 2011.01.06
[스크랩] POSTECH 교수,‘성공의 법칙’ 물리학으로 풀었다 POSTECH 교수,‘성공의 법칙’ 물리학으로 풀었다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프로스포츠의 세계에서 성공한 선수와 실패한 선수에는 특별한 ‘물리학적 법칙’이 숨겨져 있다는 사실이 국내외 공동연구로 밝혀졌다. 포항공과대학(POSTECH)은 기술경영대학원 정우성 교수와 미국 보스턴대학 유진 스탠리 교.. 科學. 硏究分野 2011.01.04
“FTA 안해도 北처럼 되지 않는다” 대표적인 반(反) 신자유주의 경제학자인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의 장하준 교수가 27일 한나라당 의원들을 상대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부자 감세, 복지 등에 대해 강연했다. 정두언 최고위원이 ‘새로운 자본주의와 한국경제의 미래’라는 주제로 개최한 강연회는 그동안 한나라당이 시장자율 확.. 政治.社會 關係 2010.12.28
<이영해 교수의 세상보기> '통일시대를 대비한 강력한 안보' <이영해 교수의 세상보기> 통일시대를 대비한 강력한 안보 <경기일보 시론 12. 7. 게재> 이 영 해 한양대 교수, (사)21세기분당포럼 이사장 천안함 폭침에 이은 연평도 폭격은 북한의 대남침략 야욕이 60년 전이나 지금이나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재차 증명하였으며 이제까지 보.. 政治.社會 關係 2010.12.07
몰입의 즐거움/ 박재희 몰입의 즐거움 박재희 몰입의 즐거움 안녕하십니까? 박 재 희입니다. 조선왕조 5백 년 역사에서 ‘선비’라는 계층만큼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한 계층은 없을 겁니다. 일본 역사에서 사무라이 라는 계층에 비견할 만한 이 조선의 ‘선비’라는 계층은 오늘날 우리가 다시한번 재조명해야 할 필요성을 .. 精神修養 마당 2010.11.18
<이영해 교수의 세상보기> '선진화와 통일' 위한 정치개혁운동 <이영해 교수의 세상보기> '선진화와 통일' 위한 정치개혁운동 <경기일보 시론 11. 9. 게재> 이 영 해 한양대 교수, (사)21세기분당포럼 이사장 오늘날의 시대적 정신과 목표는 ‘선진화와 통일’이다. 지난 세기 독립의 실패가 근대화의 실패로 이어졌듯 통일이 실패하면 선진화도 실패.. 政治.社會 關係 2010.11.09
<이영해 교수의 세상보기> 선진화와 통일 위한 신국민운동 <이영해 교수의 세상보기> 선진화와 통일 위한 신국민운동 <경기일보 시론 10. 12. 게재> 이 영 해 한양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21세기분당포럼 이사장 한 세기 전에 추진했던 ‘근대화와 독립’이 당시의 절대적 정신과 목표였다면 오늘의 시대적 정신과 목표는 ‘선진화와 통일’이.. 政治.社會 關係 2010.10.13
[스크랩] 교수는 한국 보수의 천민성에 대해..... ▲ 윤평중 한신대 교수·정치철학 한국의 보수, 미래가 있는가? 자기 정정 능력 상실한 보수는 자폐화 지도층이 공공성 훼손… 안보문제조차 희화화 MB정부 쇄신 여부가 한국 보수 미래의 가늠자 지방선거 이후 침묵하던 이명박 대통령이 라디오 연설에서 '모두의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정부와 여당 .. 政治.社會 關係 201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