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士林들의 사물인식에 대한 방법론에 입각하여, 임훈과 이황, 그리고
조식의 경우를 중심으로 16세기 사림파 작가들의 사물관과 문학정신 및 한국 한문학사에서 사림파의 사물관이 어떠한 추이로 전개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성리학자들의 사물에 대한 인식방법은 대체로 셋으로 나누어서 이해할 수 있다. 즉물적 인식, 이념적 인식, 역사적
인식이 그것이다. 이는 모두 '자아-사물-개념'이라는 사물인식의 삼각구도를 형성한다. 즉물적 인식의 경우 개념이 사물 그 자체가 되고, 이념적
인식의 경우 성리학에서 제시하는 추상적 이념이 되며, 역사적 인식의 경우 구체적 현실이 된다. 16세기 사림파 작가 가운데, 불가사상에
다소 개방적이었던 임훈은 주로 즉물적 인식을 동원하며 창작활동을 했다. 사물을 보면서 사물 자체를 살피는 것이니 '觀物察物'로 요약된다. 철저한
성리학적 입장을 고수했던 이황의 경우, 이념적 인식이 주도적이다. 사물을 보면서 이념을 살피는 것이니 '觀物察理'로 요약된다. 그리고 같은
성리학자로서 도가사상에 개방적이었던 조식은 역사적 인식이 주도적이었다. 사물을 통해 사람과 그 사람이 처한 역사적 현실을 살피는 것이니
'觀物察世'로 요약된다. 이들은 모두 성리학자이지만 불가나 도가를 보는 입장이 서로 다르며, 사물관 역시 이처럼 다르게 나타났던
것이다. 사물관과 문학정신은 어떠한 상관관계에 놓이는가? 임훈은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내기도 했는데, '廣奧論'이
그것이다. 사물에 대한 '넓게 보기'와 '깊게 보기'를 이렇게 나타내었는데, 이를 통해 그는 자연을 섬세하게 자각하고자 했다. 이황은 자연을
통해 진리를 발견하고, 이것을 興感處로 여겨 作詩活動을 전개하였다. 그는 불멸하는 진리의 본체로 理를 상정하였으므로 그의 사물에 대한 인식방법이
종국에는 理로 귀결되게 했다. 그리고 조식은 사물을 통해 역사적 현실을 중시하고자 했다. 사물을 보면서 사람은 생각한다는 '睹物思人'으로
구체화하였는데, 이는 그의 문학정신이 사람과 그 사람이 거느린 역사적 현실에 더욱 밀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물에 대한
인식의 방법은 임훈과 이황, 그리고 조식이 활동했던 16세기를 전후로 해서 다소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보인다. 즉 사물에 대한 이념적 인식이
지속되는 가운데, 사실적 재현이라 할 수 있는 즉물적 인식이 16세기 이전에는 강세를 띠며, 16세기에는 이념적 인식이 더욱 정치해지고, 그
이후에는 역사적 인식이 서서히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아마도 성리학의 도입과 그 발전, 그리고 실학적 사유의 요청이라는 시대적 흐름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This paper was written to study matters
involving Sarim School writers' view of things and literary spirit in the
sixteenth century focusing on the cases of Lim Hoon(林薰), Lee Whang(李滉) and Cho
Sik(曺植), and kinds of changes developed for Sarim School's view of things on the
history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 based on methodology on Sarim's
awareness of things.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usually divided awareness
of things into three parts: materialistic awareness, ideological awareness, and
historical awareness. This means that all of them form a triangular composition
for recognizing things called 'Self-Things-Ideology.' A concept becomes a thing
itself for a case of materialistic awareness an abstract ideology shown in Sung
Confucianism for a case of ideological awareness, and concrete realities for a
case of historical awareness. Among writers of Sarim School in the sixteenth
century, Lim Hoon, who was somewhat open-minded toward Buddhist ideologies,
conducted creative activities based main on materialistic awareness. Since it
involves examining things themselves while looking at them, it can be summed up
as 'Gwanmul-chalmul(觀物察物).' As for Lee Whang who adhered to a downright
viewpoint of Sung Confucianism, ideological awareness played a leading role. As
it examines ideology while looking at things. it can be summarized as
'Gwanmul-Challi(觀物察理)'. In addition, Cho Sik. who was open-mined toward Taoist
ideologies as the same scholar of Sung Confucianism, was involved mainly in
historical awareness. Since it deals with examining people and historical
realities of their situations through things it can be summed up as
'Gwanmul-chalse(觀物察世) ' Although they are all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they have different viewpoints toward Buddhism and Taoism, and their viewing of
things also appeared different as such. What kind of a correlation does view
of things have with literary spirit? Lim Hoon developed a recognizing method for
things independently and is called 'Gmng-oron(廣奧論)' 'Looking Widely' and
'Looking Deeply' on things were expressed as such Lim Hoon aimed to be aware of
nature delicately. Lee Whang discovered the truth through nature and he thought
of it as a place of interest and started writing poems. As he introduced Yi(理)
as the ieal thing of imperishable truth his recognizing method for things was
eventually concluded as Yi In addition Cho Sik aimed to take a serious view of
historical realities through things. He concretized to 'Domul-sain (睹物思人)',
which depicts thinking of people while looking at things and this meant that his
literary spirit is adhered more to people and their historical realities. It
seems as though a recognizing method for things went through some changes around
the sixteenth century when Lim Hoon. Lee Whang and Cho Sik were active. This
means that while ideological awareness for things continued materialistic
awareness, which could be said a realistic reproduction, was strong before the
sixteenth century, ideological awareness became stronger in the sixteenth
century and historical awareness emerged slowly after that. This may had
occurred with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Sung Confucianism and the
reflection of the passage of an era with the requisition for realistic
reason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