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조선의 선비관과 竹川(朴光前, 1526-1597)이 지녔던 선비다운
인간상 및 그 정신을 살피는 데 이 고찰의 목적이 있다. 선비는 유교의 많은 이상적 인간상 중의 하나다. 이것은 완전 무결하다고 상정되어
실상 실현 불가능한 聖人 보다 하위에 있는 것으로, 이른바 君子 賢人 등과 비슷한, 실현 가능한 인간상이다. 그 실현 조건으로는 지식의 습득과
수양에 의한 덕성의 함양과 도덕적인 가치의 실천을 가장 중요시한다. 조선시대에는 초기부터 이러한 조건에 더하여, 공자가 그의 역사서인
『春秋』에 제시한 덕목, 특히 관리로서 행하여야 할 '의로운 준칙(義理)의 철저한 이행을 선비의 필수조건처럼 여겼다. 특히 16세기에
이르러서는, 더 나아가 국민을 위하는 '奉公精神'의 투철함이 선비다운 요건이라는 사고가 '士林派'에 의해 일반화되었다. 죽천은 왕자의
스승이 될 정도로 우수한 성리학자의 대열에 드는 높은 지식의 소유자였고, 公과 私를 엄격히 변별하면서 爲民의 公務에 충실한 관리생활을 45세부터
64세 때까지 하였다. 이 사실만으로도 그는 당대의 선비로서 손색없는 인물이었다. 그렇지만 그를 더 선비답다고 평하게된 것은 관계를 떠난
뒤, 67세 때 임진왜란에 대처한 그의 행동이다. 그는 당시 老患으로 고통받던 野人의 신분이었음에도 700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웠고,
정유재란 때에는 義兵將으로 수많은 왜적을 섬멸하였다. 이렇게 국난타개를 위하여 자기희생의 모범을 보인 데서 그가 지닌 봉공의 선비정신은 빛을 더
발하였다. 임진왜란 시기 그의 행동 가운데 우리의 눈길을 끄는 것이 하나 더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의병 모집을 위해 지은 그의 檄文
내용이다. 당시 지식층에서는 대체로 국난타개를 곧 임금에 대한 충성으로 간주하던 사고가 일반화되었던 시대였다. 그러나 그의 격문에 담긴
국난타개의 동기는 일반 '인민(生民, 生靈)의 보호와 안녕'을 기하자는 데에 있었다. 일반 개인이 아닌 인민의 보호라는 애민 애족의 정신을
가지고 외족의 침략에 대처한 인물이 바로 그였다. 애민 애족의 정신이 임금에 대한 충성에 섰던 점에서, 그의 선비정신은 전근대적 사고로부터 '한
발 나아간 생각까지 띠었다는 판단이 나온다. 그의 이런 정신이 조선 말기 의병정신의 선구적 의의도 지닌다.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a of "seonbi" in sixteenth-century Chosun, and the seonbi-like
personality and ideals that Juk-cheon Pak Gwang-Jeon embodied. The seonbi is
one of the many idealized human personalities of Confucianism. Categorically
placed beneath the "saint" (聖人) that is posited as a perfect, complete being and
therefore practically unrealizable, it is a realizable ideal along with the
gunja (君子) or the sage (賢人). The prioritized conditions for its realization are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the attainment of virtue through self-cultivation,
and the practice of moral values. In addition to the above mentioned
conditions, from early on in the Chosun era, the strict observation of just
principles (義理) as a government official--an item of virtue which Confucious
mentioned in Chunchu (『春秋』)--was also considered a requisite for the seonbi. By
the sixteenth century, the thought was generally spread by the Sarim(士林派) that a
rigorous practice of the ideal of serving the public was a precondition of the
seonbi status. One of the most intellectual Neo-Confucianists, Juk-cheon was
a possessor of such loft knowledge as to become the royal instructor, and served
as an official from the ages 45 to 64, strictly differentiating the public from
the private and focusing on the public service for the people. Such a fact
already suffices to entitle him a seonbi at the time. However, what made him
even more of a seonbi is his behavior and attitude regarding the Japanese
intrusion (壬辰倭亂), which was after he retired from public office at 67. Despite
his status as an ordinary citizen suffering from illnesses of old age, he
collected some seven hundred men to organize civilian militia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intruders; during the intrusion of the jeong-yu year (丁酉再亂), he
defeated a large number of Japanese intruders as a militia captain. His spirit
of serving the public as a seonbi is lightlighted by his exemplary sacrifice at
a time of the national crisis. Another activity of his during the same time
also deserves our attention. It is the letter of appeal that he composed in
order to encourage people to join the militia.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generally thought that they showed efforts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ecause they were faithful to the king. However, the purpose that he identified
in his letter of appeal was to protect the ordinary people and to preserve their
well-being. He was a man who stood up against foreign invasions with a patriotic
and nationalistic spirit of protecting the people and not just the king. In the
sense that his patriotic and nationalistic spirit preceded his loyalty to the
king, we may conclude that his spirit of seonbi perhaps took a progressive step
beyond its premodern limitation. He is also significant as a spiritual model for
later-Chosun militia
activiti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