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알고 있던 것이기는 하지만 가족의 해체를 확인하는 것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5년 전 1차 조사 때는 배우자의 부모는 가족이 아니라고 답한 사람이 10명에 2명꼴이었다고 한다. 격세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한편으로 그런 변화는 우리에게 과제를 던져 준다. 그것이 우리 사회에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전문적이면서 심층적인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통가정이 분해된다는 것은 먼저 사회적 연결망이 무너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 자식 간 관계가 약해지면 자식은 부모를 돌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부가 부모 세대를 도와주거나 부모 스스로 노후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 이는 세대 간 갈등이 확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눈에 띄는 것만을 예시한다면 고령사회의 복지비용, 재정위기에 처한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 부담, 일자리와 조세 부담률 등을 둘러싸고 자식과 부모 세대가 마찰을 빚을 수밖에 없다.
이제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 핵가족의 분열이 심화돼 1~2인 가구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번 조사에서도 10명 중 7명은 노후에 배우자와 단둘이 지내고 싶다고 답했다. 이는 복지와 의료 등을 둘러싼 갈등이 더 커진다는 것을 뜻한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무상복지 찬반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앞으로 더욱 더 확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2차 가족실태’가 의미하는 바를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전통 가족의 복원을 포함해 우리 사회의 갈등을 줄이고 더불어 살 수 있는 세심한 설계 및 처방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