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르코지는 내무장관 시절 강경한 범죄척결과 불법 이민정책 등으로 비난도 많이 받았다. 그러나 치안부재로 인한 사회 불안정을 우려한 다수 프랑스인은 그를 지지했다. 사르코지는 또 ‘프랑스 병’의 하나인 고질적 경제 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 과감한 자유시장 정책과 노동자 보호 규정 완화 등을 주장했다. 특히 주 35시간 근로제와 관련해 “프랑스 경제의 재앙”이라며 “이를 대폭 개편해서 더 일하고 더 벌자.”고 주장했다. 사회당의 세골렌 루아얄의 처방은 달랐다. 그녀의 대응방안은 국가의 개입을 통한 사회안전망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이번 대선에서 유권자들이 사르코지 손을 들어준 것은 정책의 무게중심을 분배에서 ‘성장 드라이브’로 바꿔야 한다는 기대가 투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제 변화가 시작됐다.” UMP 당원인 주부 카테린(48)의 말도 ‘사르코지 시대’를 가늠할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대선을 계기로 프랑스의 강한 사회주의 전통이 완화되면서 자유시장 경제체제, 글로벌 경제체제로의 편입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정계 세대교체 거셀 듯
사르코지는 대선 출마 선언 직후 줄곧 ‘단절’을 외쳤다.50대인 그가 국정을 주도함으로써 세대교체 바람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특히 관료·정치 분야에 미칠 영향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미 여권 내에서는 40대 신예들인 크사비에 베르트랑 전 보건장관, 장-프랑수아 코페 예산장관, 프랑수아 바루앵 내무장관 등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사르코지가 프랑스의 정통 엘리트 양성 코스인 국립행정학교(ENA)를 졸업하지 않았다는 점도 정치인 물갈이를 가속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대선 승리 여세를 몰아 다음달 10일 치르는 총선에서 대폭 물갈이가 예상된다. 또 자유시장체제로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서는 국회 의석 과반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르코지는 대선 승리 여세를 몰아 다음달 10일 치르는 총선에서 자신의 정치철학을 지지하는 후보들을 대거 내세울 가능성이 점쳐진다. 특히 그의 싱크탱크인 ‘콩고드재단’학자들이 자유시장경제 추종자들이란 점도 변화를 예고한다.
●“사르코지는 히틀러, 무솔리니”
극복해야 할 과제도 많다. 개표일인 6일 저녁 파리 바스티유 광장에서 벌어진 폭력 시위가 보여주듯 그의 강경정책 추진에 대한 반감도 적지 않다. 특히 파리 등 대도시 교외지역의 이민자 출신들이 갖고 있는 적대감을 어떻게 포용하는지가 숙제다. 그가 당선 사례에서 “모든 프랑스인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vie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