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의 습관화 된 부정과 거짓 ③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한국인들의 습관화 된 부정과 거짓 ③ 서양 사람들이 코리언들을 “They cheat everything.(모든 것에 속이는 한국인들)”이라 하였을 때는 표절이나 도작행위만으로 그렇게 말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 최근 들어 미국인들이 우리에 대하여 느끼는 배신행위가 포함되어 있다. South Kore.. 精神修養 마당 2006.12.24
한국인들의 습관화 된 부정과 거짓 ②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한국인들의 습관화 된 부정과 거짓 ② 요즘 들어 우리 한국인들이 나라 안팎에서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보노라면 도산 안창호(安昌浩 1878∼1938) 선생께서 동포들에게 절실한 마음으로 거듭거듭 호소하였던 말이 생각난다. “동포 여러분 거짓을 멀리 합시다. 꿈에라도 거짓말하.. 精神修養 마당 2006.12.24
한국인들의 습관화 된 부정과 거짓 ①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한국인들의 습관화 된 부정과 거짓 ①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한 대학에서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 있는 한국 유학생들의 석사논문과 박사논문이 금전거래로 얻어진 논문임이 드러나 퇴교와 동시에 국외로 추방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그 학교의 경우에만 아니라 미국 대학가에.. 精神修養 마당 2006.12.19
김정일의 터무니없는 자신감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김정일의 터무니없는 자신감 북한이 미사일을 처음 발사한 날은 금년 7월 5일이었고 핵실험을 한 날은 10월 9일이었다. 7월 5일 미사일을 발사한 직후에 김정일은 당·정·군(黨政軍) 관계의 핵심 일꾼들 600여명을 한 자리에 모으고 행한 연설문을 우리 정보기관에서 확보하였다. .. 對北 관련 자료 2006.12.19
북한에 보낸 충성 서약문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북한에 보낸 충성 서약문 세칭 386 간첩단 사건으로 수감 중인 인물들 중에 ‘강순정’이란 사람이 있다. 조국통일 범민족연합의 부의장 출신이다. 그가 북한에 보낸 ‘충성 서약문’ 중에 다음 같은 부분이 있다. “인공기(人共旗))만 보아도 눈물이 날 정도로 조국을 사랑하고 .. 政治.社會 關係 2006.12.17
희망에 대하여 ③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희망에 대하여 ③ 단테가 쓴 불후의 명저 『신곡(神曲,La divina commedia)』에 지옥편이 있다. 그 부분에서 지옥을 묘사하기를 지옥의 입구에는 ‘희망이 끊어진 곳’이란 팻말이 붙어 있다고 하였다. 참으로 적절한 표현이라 여겨진다. 이승에서나 저승에서나 희망이 사라진 자리가.. Faith - Hymn 2006.12.15
희망에 대하여 ②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희망에 대하여 ② 에른스트 블로흐(Ernst Bloch)는 독일의 철학자이다. 일컬어 희망의 철학을 체계화 시킨 분이다. 희망의 원리(Das Prinzip Hoffnung)란 탁월한 저서를 남겼다. 블로흐의 희망의 철학에서 영감을 받은 신학자 몰트만은 희망의 신학을 발전시키기도 하였다. 블로흐는 희망.. Faith - Hymn 2006.12.15
희망에 대해서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희망에 대해서 “여러분의 마음속에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우러러 모시고 여러분이 간직하고 있는 희망에 대해서 설명을 듣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는 언제라도 답변할 수 있도록 준비해 두십시요”(신약성서 베드로전서 3장 15절) 요즘 이민가기를 원하는 젊은이들이 많아지고 .. Faith - Hymn 2006.12.15
침묵하는 보수로는 나라 못지킨다.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침묵하는 보수로는 나라 못지킨다. 오늘 글의 제목은 이석연 변호사가 펴낸 책의 제목이다. 이 변호사는 수도이전을 온 몸으로 막아 낸 투사 중의 투사이다. 지금은 뉴라이트 운동과 선진화운동에 앞장서서 불철주야 헌신하고 있다. 이 나라가 아직도 희망이 있는 것은 이런 일.. 政治.社會 關係 2006.12.12
‘양키군대 섬멸’ 구호를 외친 중학생들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양키군대 섬멸’ 구호를 외친 중학생들 휘문산은 전북 임실에서 45 Km나 떨어진 산이다. 이 산이 유명해진 것은 빨치산들의 근거지였기 때문이다. 한 때 이 산은 6.25 전쟁 시절에 빨치산들의 해방구였던 때가 있었다. 이들을 소탕하기 위하여 자유대한의 군인들과 경찰들이 피 .. 政治.社會 關係 2006.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