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1721

[스크랩] 김동길 교수의 미국사 강의-2. 역사의 책임

title 제1장 아메리카의 꿈 - 2. 역사의 책임 date 2003/05/23 hit 1636 흔히들 역사란 지나간 일들에 대한 기록인 줄만 알기 때문에 잡다한 사건의 나열이 역사인 줄 알지만 사실상 역사란 그런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인류의 지금까지의 체험이 역사라 하더라도 그것을 정리하는 사람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정..

[스크랩] 김동길 교수의 미국사 강의-2. 역사의 책임

title 제1장 아메리카의 꿈 - 2. 역사의 책임 date 2003/05/23 hit 1636 흔히들 역사란 지나간 일들에 대한 기록인 줄만 알기 때문에 잡다한 사건의 나열이 역사인 줄 알지만 사실상 역사란 그런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인류의 지금까지의 체험이 역사라 하더라도 그것을 정리하는 사람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정..

[스크랩] 김동길 교수의 미국사 강의-1. 역사의 복잡성

title 제1장 아메리카의 꿈 - 1. 역사의 복잡성 date 2003/05/22 hit 1383 오늘 첫시간부터 미국의 역사를 시작할 텐데, 우선 '아메리카의 꿈'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왜 아메리카라는 나라가 성립되었는가에 대한 경위부터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얘기해야 할 것은 미국 역사도 역사이니까, 역사란 무엇..

[스크랩]

BODY{FONT-FAMILY: 굴림;FONT-SIZE: 9pt;}DIV,P {FONT-SIZE: 9pt;margin-top:2px;margin-bottom:2px;}중국의 동북공정에 맞서는 중요한 한국의 조직은 고구려연구재단이다. 지난 3월1일 정식으로 출범한 재단은 불과 몇 달만에 , , 등 10권의 책을 펴냈다. 12월에는 발해관계와 한중관계 연구목록, 발해관계 사료집과 북방관계 사료집 등 4권의 책을 낼 계획이다. 또 잡지로 북방사 논총과 영문 저널을 펴낸다. 고구려 연구재단은 현재 연구원 20명 등 31명의 인력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연구원을 50명까지 늘릴 계획이다. 는 고구려연구재단 김정배(64) 이사장을 지난 24일 만나 그동안의 소감과 앞으로 계획을 들어봤다. 지난 7월 우다웨이 중국 외..

[스크랩] 김동길 교수의 역사학 강의-토인비의 역사관/지속적인 연구

title 제1부 역사란 무엇인가 - 토인비의 역사관/지속적인 연구 date 2003/07/01 hit 2174 동남아 아프리카의 후진국에서뿐 아니라 소위 선진국가임을 자랑하는 서방세계에서도 전체주의(totalitarianism) 내지 집단주의(collectivism)가 판을 치는 경향이 있다고 탄식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금년에 겨우 제국주의의..

[스크랩] 김동길 교수의 역사학 강의-역사와 이념/진보라는 이념

title 제1부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와 이념/진보라는 이념(Idea of Progress) date 2003/06/25 hit 1511 지나간 200여 년 동안에 서구사회에서 가장 큰 위력을 발휘한 개념이 '진보'라는 개념이 아닐까 생각한다.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도 서구의 이념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 지나간 1백 년 동안은 동양에 있..

[스크랩] 김동길 교수의 역사학 강의-역사와 이념/이념이란 무서운 것

title 제1부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와 이념/ 이념이란 무서운 것 date 2003/06/13 hit 1247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염주도 되고 목걸이도 된다는 말은 과연 값있는 교훈이다. 구슬이 아무리 많은들 꿰지 못하면 무슨 소용이 있는가? 알알이 굴러다니다 마침내는 다 잃어버리고 마는 것이다. 인류의 10만 년 ..

[스크랩] 김동길 교수의 역사학 강의-역사란 무엇인가(2)/역사가의 고민

title 제1부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란 무엇인가(2)/역사가의 고민 date 2003/06/09 hit 1841 '역사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이 유럽의 대학에서뿐 아니라 지식을 추구하며 삶의 뜻을 찾아보려는 세계 각처의 많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지는 그리 오래되..

[스크랩] 김동길 교수의 역사학 강의-역사란 무엇인가(2)/역사가의 고민

title 제1부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란 무엇인가(2)/역사가의 고민 date 2003/06/09 hit 1841 '역사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이 유럽의 대학에서뿐 아니라 지식을 추구하며 삶의 뜻을 찾아보려는 세계 각처의 많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지는 그리 오래되..

[스크랩] 김동길 교수의 역사학 강의-역사란 무엇인가(2)/역사와 상징적 비극

title 제1부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란 무엇인가(2)/역사와 상징적 비극 date 2003/06/05 hit 1231 다시 선죽교의 핏자국을 생각해보자. 거기서 정몽주는 고려 공양왕(恭讓王, 1345~94) 4년 어느 날, 자객의 손에 목숨을 잃었다. 그는 이성계(李成桂, 1335~1408)가 점차 위세를 떨치게 되면서 이 군인을 왕으로 추대하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