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입국(信仰立國) ④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신앙입국(信仰立國) ④ 일본에서 유학생활을 마친 김교신 선생은 양정고보의 지리 교사가 되었다. 선생은 수업시간에 단순히 지리만 가르치는 것이 아니었다. 학생들에게 민족혼을 깨우치는 일에 전심전력을 다하였다. 선생은 자신이 담임을 맡은 학급의 학생들 이름을 수첩에 .. 人物情報 參考 2007.09.23
신앙입국(信仰立國) ①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신앙입국(信仰立國) ① 일제(日帝)때에 많은 애국자들이 일본의 억압으로부터 조국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하여 목숨을 걸고 투쟁하였다. 그런 어른들의 땀과 피의 열매로 지금 우리가 떳떳한 독립국의 국민으로 허리를 펴고 살아가고 있다. 그렇게 독립운동을 펼쳤던 선배님들 .. 人物情報 參考 2007.09.23
청년이여 앞길을 바라보라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청년이여 앞길을 바라보라 고당(古堂) 조만식(曺萬植) 장로는 1935년 10월 월간지 삼천리에 ‘청년이여 앞길을 바라보라’는 제목으로 다음 같은 글을 실었다. ① 생(生)의 의식을 굳세게 파악하라. 우리 청년들은 매우 영리한 한편 심히 유약하여 자기정신으로 생활하지 못하고 .. 人物情報 參考 2007.09.15
고당(古堂) 선생과 명주 이불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고당(古堂) 선생과 명주 이불 고당(古堂) 조만식(曺萬植) 선생은 조선의 산업을 장려하려는 뜻으로 국산품 애용에 철저하였다. 소소한 생활용품으로부터 침구에 이르기까지 조선산(朝鮮産)만을 사용하였다. 조선산 중에서도 검소한 실용품을 골라 사용하였다. 이불도 무명으로 .. 人物情報 參考 2007.09.15
서(恕)∙인(忍)∙근(勤)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서(恕)∙인(忍)∙근(勤) 고당(古堂) 조만식(曺萬植) 선생께서 자녀들에게 남길 정신적 유산으로 남긴 세 글자가 있다. 용서할 서(恕)자와 참을 인(忍)자 그리고 부지런할 근(勤)자이다. 다음은 선생이 남긴 글이다. “나는 나 자신으로서 내 자녀에게 남겨줄만한 정신적.. 人物情報 參考 2007.09.15
고당(古堂) 조만식(曺萬植)과 오산학교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고당(古堂) 조만식(曺萬植)과 오산학교 남강(南岡) 선생이 105인 사건으로 감옥에 있는 기간에 오산학교의 교장으로 초빙되어 온 분이 고당(古堂) 조만식(曺萬植) 선생이다. 그가 메이지대학을 졸업한 직후 민족운동과 교육운동에 헌신할 마음을 품고 준비하고 있던 때였다. 그가 .. 人物情報 參考 2007.09.13
남강(南岡)의 법정진술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남강(南岡)의 법정진술 남강 이승훈 선생은 105인 사건과 3.1 독립운동 등으로 감옥에 들어가기가 3번, 살은 햇수로는 9년이었다. 남강은 1915년 출옥하면서 다음같이 말하였다. “감옥이란 이상한 곳인걸. 강철같이 굳어져서 나오는 사람도 있고, 썩은 겨릅대(삼대)처럼 흐느러져서.. 人物情報 參考 2007.09.13
남강(南岡) 이승훈(李昇薰)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남강(南岡) 이승훈(李昇薰)의 묘비문 “일생을 남을 위하여 살았고 자기를 위하여는 아무것도 한 것이 없는 이승훈” 위의 글은 남강 이승훈 선생의 비석에 새겨진 글이다. 남강의 일생은 비석에 적힌 그대로 섬김과 바침의 일생이다. 어려서는 남의 집 심부름꾼으로 섬겼고 나.. 人物情報 參考 2007.09.08
유대인 연구 ③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유대인 연구 ③ 유대민족이 다른 민족에 비하여 탁월성을 지니는 이유가 무엇일까? 어느 분은 그 이유를 유대민족의 종교와 교육에 원인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종교에 바탕을 둔 교육이 유대인들로 하여금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탁월성을 지니게 한다는 지적이다. 유대인들로 .. 人物情報 參考 2007.09.08
유대인 연구 ②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유대인 연구 ② 요즈음 우리사회는 경제가 어려워지게 됨에 모두들 경제를 말한다. 그리고 정치가 제구실을 못하고 이리저리 휘둘리게 되니 온 국민이 정치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고 있다. 그러나 한 나라나 민족이 제구실을 하려면 경제나 정치보다 앞서야 할 것이 있다. 사상과.. 人物情報 參考 2007.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