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섯 글자 예쁜 말 미운
말
어른들은 다섯 글자 예쁜 말을 얼마나 쓰고 있을까? 다시 만나요, 즐거웠어요, 언제든 와요, 살펴
가세요, 조심하세요, 건강하세요, 축하합니다, 오래 사세요, 행복하세요, 참 맛있네요, 참 잘했구나, 복 받으세요,
예쁘시네요, 고우시네요, 보기 좋네요, 멋지십니다, 자랑스럽다, 함께 웃어요, 함께 먹어요, 함께 갑시다, 걱정 마세요,
안심하세요, 잘될 겁니다, 충분합니다. 넉넉합니다, 괜찮습니다, 제가 할게요, 제 탓입니다, 미안(죄송)합니다. 부탁합니다.
잘 봐주세요, 한 번 봐줘요, 잘 넣으세요, 또 드릴게요, 도와주세요, 끌어주세요, -최장환 목사의 ‘아름다운
신앙생활’에서-
어린이들에게는 예쁜 말을 하라고 노래까지 지어 가르치면서 정작 어른들은 예쁜 말은 고사하고 다섯 글자
못 된 말만 쓰고 있는 건 아닐까요? 이만 끊어요, 돌아가세요, 오지 마세요, 보기 싫어요, 그만두세요, 모르겠어요, 내 돈
갚아라, 겨우 이거냐?, 공부나 좀 해, 자빠져 자라, 너 죽고 싶니?, 잘 났어 정말, 웃기고 있네, 싫다니까요, 빌어먹을 놈, 바보
같은 놈, 우라질 녀석, 벼락 맞을 놈, 나가 죽어라고 하면 나쁜
말입니다.
|
|
글쓴이 : 김옥엽 서울신학교
,한국여자신학교교수 종로구 숭인문화센터 시문학교실 강사 한국문인협회 정책기획위원 대한예수교장로회 숭인교회 유병수 담임목사 사모
|
|
| | | | | |
|
| |
|
|
마음이
넓은 사람이 되면 좋겠습니다 - 창세기 26장 17~25절 |
17.이삭이
그 곳을 떠나 그랄 골짜기에 장막을 치고 거기 거류하며 18.그 아버지 아브라함 때에 팠던 우물들을 다시 팠으니 이는 아브라함이 죽은
후에 블레셋 사람이 그 우물들을 메웠음이라 이삭이 그 우물들의 이름을 그의 아버지가 부르던 이름으로 불렀더라 19.이삭의 종들이 골짜기를
파서 샘 근원을 얻었더니 20.그랄 목자들이 이삭의 목자와 다투어 이르되 이 물은 우리의 것이라 하매 이삭이 그 다툼으로 말미암아 그
우물 이름을 에섹이라 하였으며 21.또 다른 우물을 팠더니 그들이 또 다투므로 그 이름을 싯나라 하였으며 22.이삭이 거기서 옮겨
다른 우물을 팠더니 그들이 다투지 아니하였으므로 그 이름을 르호봇이라 하여 이르되 이제는 여호와께서 우리를 위하여 넓게 하셨으니 이 땅에서
우리가 번성하리로다 하였더라 23.이삭이 거기서부터 브엘세바로 올라갔더니 24.그 밤에 여호와께서 그에게 나타나 이르시되 나는 네
아버지 아브라함의 하나님이니 두려워하지 말라 내 종 아브라함을 위하여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게 복을 주어 네 자손이 번성하게 하리라 하신지라
25.이삭이 그 곳에 제단을 쌓고,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며 거기 장막을 쳤더니 이삭의 종들이 거기서도 우물을 팠더라 |
|
오늘
본문의 말씀은 이삭이 블레셋 지역이었던 그랄 골짜기에 머물렀을 때 일어난 사건입니다. 이삭이 그곳에 거주할 때 우물을 팠습니다. 그 우물은 샘의
근원이어서 물이 풍부했습니다. 그러니까 그랄 지역의 사람들이 그 우물이 자신들의 것이라고 우기면서 이삭의 사람들과 다투기 시작합니다. 블레셋
사람들은 아브라함이 팠던 그 우물을 메워두고 사용하지 않다가 이삭이 그 우물을 다시 파서 물이 나오기 시작하니까, 그것을 자신의 것이라고 우기는
겁니다. 이삭의 입장에서 보면, 괘씸한 일이지 않습니까? 그래서 그 우물의 이름을 ‘에섹’ 곧 ‘다툼’이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삭이 어떻게 합니까? 그 우물을 그랄 지역의 목자들에게 주고 물러납니다. 그리고 다시 우물을 팠습니다. 그랬더니 그곳에서도 물이
터졌습니다. 그랄 목자들은 또 그곳까지 찾아 와서우물을 두고 다투기 시작합니다. 이삭은 그 우물의 이름을 ‘싯나’ 곧 ‘대적’이라는 붙이고,
다투지 않고 또 물러납니다. 그리고 나서 또 우물을 팠습니다. 그 이름을 ‘르호봇’ 곧 ‘넓다, 확장되다’라고 붙입니다.
오늘
말씀을 보면, 그랄지역의 목자들이 왜 싸움을 시작합니까? 이삭이 판 우물에서 물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오늘날에도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우리에게
왜 다툼이 시작됩니까? 소유가 많아지고 나눌 것이 많아졌을 때, 우리의 삶에도 다툼이 시작됩니다. 우리의 가정이나 교회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가진 것이 없어서가 아니라 가진 것이 많아지기 시작할 때, 다툼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우리는 부족할 때가 아니라, 풍요로울 때 더욱 하나님을
의지하고, 양보해야 합니다.
보십시오! 이삭은 다툼의 자리에 서게 되었을 때, ‘에섹’ ‘싯나’를 양보하고, 뒤로 물러나서
‘르호봇’에 머뭅니다. 어떤 면에서 보면, 이삭이 뒤로 후퇴한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면에서 보면, 이삭은 지경을 넓히게 된 겁니다. 우리가
어떤 시각을 가지고 인생을 바라보느냐가 내 삶이 행복한가 아닌가를 결정하게 됩니다. 우리가 양보하는 것은 후퇴하는 것이 아니라, 믿음 안에서
넓어지는 길입니다. 우리의 안목이 이삭과 같이 넓어지기를 기도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인이라고 말하면서도 여전히 행복의 기준을
세상에서 더 많이 갖고 누리는 것에 둔다면, 우리는 복음으로 말미암아 행복해질 수 없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인이라면, 행복의 기준, 삶의
가치관, 인생의 목적이 변해야 합니다. 세상 사람들과는 다른 방향을 향해서 뛰어가야만 합니다. 이삭이 그랄 사람들과 다투지 않고, 기쁜 마음으로
물러설 수 있었던 이유가 거기에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세상 사람들이 미련하게 바라볼지라도 우리는 다툼의 자리에서 행복하게 물러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우리의 삶 속에서 이삭과 같이 뒤로 물러나서 더 넓은 땅을 품에 안고 살아가는 믿음의 사람이 되기를
기도합니다. |
|
글쓴이 : 전기철 서울신학대학,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졸업 미국 보스톤 조직신학 석사(S.T.M)/연세대학교 박사학위(Ph.D) 강남새사람교회 담임목사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