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歷史. 文化參考

벽화속 고구려 북 ‘상고’ 첫 발굴

鶴山 徐 仁 2009. 6. 23. 10:05

연천군 호로고루서… 북 파편·기와조각 등 나와

고구려 안악 3호분 고분벽화를 보면 한 사람이 말을 탄 채 북을 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당시 북은 전투시에 적진을 향해 진격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지금껏 벽화 외에 실물이 확인되지 않던 고구려시대 북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 고구려 안악 3호분 고분벽화(아래)에 그려진 북(점선 안)의 실물이 13개의 조각으로 출토됐다. 22일 토지박물관이 경기 연천 호로고루에서 발견한 당시 고구려 시대 토고(土鼓) 파편 중 하나에는 ‘상고(相鼓)’라는 글씨가 뚜렷하게 새겨져 있다.

한국토지공사 산하 토지박물관은 22일 경기 연천군에 위치한 호로고루(사적 467호) 지역을 발굴조사하던 중 ‘상고(相鼓)’라는 글자를 새긴 북 파편을 비롯, 기와조각 등 고구려시대 유물을 다량 발견했다고 밝혔다. 호로고루는 임진강변 북쪽 연안 현무암 천연절벽의 수직단애에 지어진 성이다. 이곳은 ‘동국여지도’ 등에서 이미 삼국시대 유적으로 표기하고 있듯, 임진강과 한탄강 지류를 중심으로 형성된 국경하천지역이었다. 이런 배경을 감안할 때 이번에 발견된 상고는 전투지휘용으로 쓰였을 가능성이 크다.

북은 13개에 이르는 파편상태로 출토됐는데, 그 중 파편 한 조각에 크게 ‘相鼓’라고 쓰여 있다. 두께 1.7㎝의 파편들은 회흑색을 띠고 있으며, 표면은 일반 고구려 토기처럼 마연(磨硏·표면을 문질러 윤을 내는 방법) 처리를 했다. 또 북의 아가리 부분에는 일정 간격으로 3줄 구멍을 뚫어 가죽을 씌우고 끈을 묶어 고정할 수 있게 했다. 파편 모양을 근거로 북을 원상태로 복원하면 지름 55㎝가 될 것으로 보인다. 토지박물관 심광주 관장은 “조선시대 편찬된 음악 전문서적 ‘악학궤범’에도 ‘상고’라는 이름의 악기가 그림과 함께 등장한다.”면서 “책에도 나오는 악기의 크기도 49㎝에 달하는데, 이번 출토품과 그것을 비교하면 크기도 비슷하다.”고 전했다.

상고가 병법용이 아니라 의례용이라는 주장도 있다. 숙명여대 송혜진 교수는 “고분벽화의 북은 상당히 발달한 형태인데, 이번 상고는 흙으로 만들었다는 점으로 볼 때 실제 사용했다기보다는 의기(儀器)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한편 이번 발굴에는 상고와 더불어 연화문 와당(연꽃무늬 기와), 건물 용마루 양쪽에 올려놓는 대형 장식기와인 치미 조각 등도 다수 발견됐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이란여성 총격사망 동영상 충격…시위 재점화

노 前대통령 서거 한달… 지금 봉하마을은

초등생 아들 24층에서 던진 잔혹한 엄마

일부러 낙제… 선배찾아 취업노하우 배워

상반기 소비 ‘포미(for me) 족’이 주도

5만원권 시대의 경제학

[사설] 미디어법이 비정규직 삶 빼앗아서야

2009-06-23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