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소위 우파가 잃어버렸다고 표현하는 지난 10년간의 국가를 (현 정부가) 신기득권층으로부터 정권의 형태로는 탈환했지만 다른 여러 진지를 탈환하려고 하자 (신기득권층이) 굉장히 완강하게 저항하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이어 “국가를 보위하는 데는 국가 자체와 정부가 있지만 이외에도 문화,종교단체,대학 같은 학문등 여러 진지가 있다.”며 “우리나라는 자본주의 체제,시장경제체제 논리를 다행히도 국가가 지켜주고는 있어도 기업인들의 생산활동을 지켜줘야 할 문화 등 진지들이 반기업정서를 표방한 세력에 넘어가 있다.”고 지적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 씨는 또 “많은 돈을 버는 기업을 범죄시하는 반(反)기업 정서가 여전히 한국 사회에 팽배한데 기업들이 도덕성을 유지하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동안 기업은 자기방어에 지나치게 소홀한 면이 없지 않다.”며 반기업 정서를 돌려놓는 효과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그는 이어 “기본적으로 기업활동,이윤창출 과정에서 도덕성을 유지하는 것도 사회적 정서 순화에 가장 중요한 것이 될 것”이라며 “기업활동의 결과물을 통해 사회 기여도를 높이는 것,즉 이윤을 나눠서 이윤의 수혜자를 늘리는 방식이 있겠고 이미 창출된 이윤을 사회에 환원해주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고 문화일보는 전했다.
또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이씨는 “지난 20년 동안 대기업들의 문화 지원활동을 보고 있으면 ‘저건 아닌데’ 싶을 때가 많았다.”며 “지원대상의 우선순위나 완급, 경중에 대한 판단이 신통치 않아 마치 집행하는 임원의 친분관계에 따라 퍼주는 것처럼 보이는 행태가 많았다.”고 꼬집기도 했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