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 간접무역은 한·중 수교 때까지 계속됐다. 포스코와 중국의 인연은 두 나라가 국교를 수립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우진과의 거래는 당시 한국기업으로는 중국과 사실상 최초의 거래였다. 대(對) 중국 투자의 ‘원조’인 셈이다. 중국도 포스코에 손을 내밀었다. 포스코는 한·중 수교 전인 1991년 4월 베이징에 포스코 대표사무소를 냈다.
하지만 이 때까지 포스코의 중국 투자는 단순한 거래 차원에 머물렀다.“무역장벽 없이 쉽게 철강소재를 수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그러던 포스코의 중국 투자는 한·중 수교를 발판으로 발상의 전환을 하게 된다.‘윈-윈’방식을 도입했다. 중국 철강산업의 발전과 포스코의 이익을 동일선상에 놓고 투자를 강화하는 식이다. 모델은 ‘합작법인’으로 구체화됐다.
포스코의 중국에 대한 최초의 투자는 ‘포스텐진’이다. 화베이지역 톈진에 연산 10만t 규모의 위탁가공공장을 지었다.1995년 12월 준공했다. 중국진출 10년만에 현지 직접 투자가 이뤄진 것이다. 이 공장에서는 냉연코일을 가공·판매한다. 철강산업 보고(寶庫)인 중국에 ‘포스코 깃발’을 꽂았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첫 발을 들여놓기가 힘들었지 그 다음은 질풍노도처럼 몰고 들어갔다. 포스코는 1997년 2월 당시 농촌마을이었던 중국 장가항을 확 바꿔버렸다. 장가항 황무지에 스테인리스 냉연코일을 생산하는 ‘장가항포항불수강’을 건립했다. 성장전략에 본격 시동을 건 것이다.
설립 초기 고작 6명이었던 직원 수는 올 8월 현재 1900여명으로 늘어났다.20만t을 생산하던 1기 설비는 설비 증강을 통해 40만t으로 확대됐다.
포스코는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일관제철설비를 준공했다. 외국 철강사가 중국에 들어와 쇳물을 뽑아내기는 포스코가 처음이다. 냉연코일만 생산하는 단계를 훌쩍 뛰어넘었다. 현재 연간 스테인리스 열연코일 60만t을 생산하고 있다. 중국내 3대 메이저 스테인리스 철강사로 부상했다. 특히 스테인리스 일관생산설비는 포스코의 최첨단 기술이다. 윈-윈이라는 평가가 그래서 나온다.
장가항 스테인리스 일관제철소 준공으로 중국내 포스코의 경쟁력도 한층 강화됐다. 해마다 10% 이상씩 수요가 늘고 있는 스테인리스 열연제품 시장을 확보했다. 양쯔강 남부와 산둥성 북부지역 등 주요 수요지역에 냉연제품용 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의 진군은 계속됐다. 포스코는 2005년 3월 산둥성 칭다오에 냉연공장인 ‘청도포항불수강’을 준공했다. 연산 18만t 규모다. 고급강 수요가 늘고 있는 중국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서다.
또 지난 7월에는 랴오닝성 번시에 중국 번시철강과 합작사인 ‘본강포항냉연유한공사’를 지었다. 연산 180만t 규모의 냉연공장이다. 이 공장에서는 냉연강판 80만t, 아연도금강판 80만t, 냉연중간소재인 풀하드(FULL HARD) 20만t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주로 현지의 자동차 회사나 가전사에 공급한다. 랴오닝성은 중국 경제발전을 위한 동북지역의 전략적 요충지로 불린다.
포스코가 지난 2003년 11월에 설립한 ‘포스코차이나’도 눈에 띈다. 상생과 현지법인들의 효율적 지원이 목적이다. 포스코차이나는 중국에 진출한 외국 철강사 중 첫 번째 지주회사다. 통합마케팅 체제를 구축, 현지법인들의 판매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중국 특성에 맞는 인사제도, 교육프로그램 개발, 우수인재 장학금 지급 등 다양한 현지화 프로그램을 전파하고 있다.
최용규기자 yk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