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산술로도 폭죽에 드는 금액은 천문학적이다. 한국 돈 5만원어치로는 5분 정도밖에 즐길 수 없다.
동네 조그만 네거리를 들여다보자.5만원어치가 10곳에서 동시에 터져대면 5분에 50만원,1시간이면 600만원 이상이 들어간다. 폭죽놀이는 저녁이면 보통 5∼6시간 쉼없이 이어지므로 최하 3000만원을 웃도는 돈이 하룻밤새 연기로 사라지게 된다. 올해 베이징시 당국이 시내 중심까지 폭죽놀이를 허용한 것은, 이렇게라도 ‘분출’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판단이 감안된 것으로도 알려진다. 폭죽놀이는 정월 대보름까지 이어진다.
19일 낮 베이징 도심은 폭죽놀이와 대비돼 유난히 조용했다. 이날은 덩샤오핑(鄧小平) 서거 10주년. 춘제가 덩을 덮어버린 듯한 양상이다. 선부론(先富論)을 제시했던 덩은 과연 오늘날 빚어진 극심한 양극화의 책임자로 묻혀져 가고 있는가.
이와 관련,‘덩의 추모 분위기가 썰렁한 것과 덩이 조화사회의 적으로 간주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식의 한국 언론보도가 중국에 소개된 점이 눈길을 끈다. 일부에서는 중공중앙문헌연구실 제3편집연구부 옌젠치(閻建琪) 주임의 입을 빌려 이에 대한 반박을 시도했다. 옌 주임은 “마오쩌둥(毛澤東) 서거 때는 10년 문화혁명으로 사회가 피폐해져 모두 근심했으나, 덩의 서거 때는 국민이 동요하지 않았다.”고 했다.
마오와 덩은 사망 자체부터 다르게 받아들여졌다는 점을 거론하며, 조용한 추모 분위기와 덩에 대한 평가는 별개란 점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셈이다.“이미 2004년 8월 탄생 100주년 기념행사가 전국적으로 이뤄진 마당에 새삼 10주년 추모 행사를 성대하게 할 필요가 있었겠느냐.”는 분석도 없지 않다. 적지 않은 지식인들은 “마오에 대해서도 7대3의 공과론이 나오는 중국에서 어떻게 양극화의 원죄를 덩에게 씌울 수 있겠는가.”라며 덩의 책임론을 일축하고 있다.
결국 춘제 폭죽놀이가 덩을 가린 것은 아니라는 얘기. 사망 10주기에 덩에 대한 평가를 바란 것은 우물에서 숭늉을 찾는 일인가.
j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