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절은 물 위에 떠 있다.
호수 어느 쪽에서도 그 절을 향해 배를 저어 갈 수
있지만,
스님도 방문객들도 다 담 없이 서있는 문을 통해서만 들고 난다.
절 집 안에서도 마찬가지다.
방에는 한가운데 부처님을 모셔 놓고, 양쪽으로 벽 없는 문이 세워져 있다.
벽이 없어 아무 데로나 다닐 법한데도
모두 문으로 들고난다.
절에서 자라는
아이는 심심하다.
호수를 건너 산으로 오른 아이는
물고기와 개구리와 뱀을 잡아
그 허리에 실을 묶어
돌을 매단다.
돌을 허리에 매달고 헤엄치고 기어가는 동물들.
아이는 웃지만, 우리들 평생의 삶에 떨쳐버리지 못하고
끌고 가야 하는 그 무엇처럼 무거워 가슴이 다 내려앉는다.
그래도 그 때 아이가 서있는 산은 봄이다.
새 잎이 나고 꽃이 피는 봄이다.
아이는 돌을 매단 동물들이 아파하는 것도,
자기 인생에 지고 가게
될 무거운 돌덩이도 아직 알지 못한다.
절에 요양하러 온
소녀와 사랑하게 된 소년 스님.
저 쪽 문 안쪽에 누운 소녀에게로 갈 때
그는 잠든 노스님의 몸을 타고
넘어,
문 아닌 뚫린 벽으로 나가 소녀의 이불 속으로 들어간다.
문은 그렇게 우리들 삶이 지나가야 하는 통로이지만,
때로 비껴 가고 싶어지는 거추장스런 얽매임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때는 세상도, 소년의 마음도 온통 푸른
여름이었다.
절에서 자란 청년은 한 여자를 사랑하는 마음 하나 붙잡고
절을 떠나지만,
결국 그 사랑의 목숨을 자기 손으로 끊어버리고 절로 도망쳐 온다.
아이 때부터 그를 키워주신
노스님은
분노로 절절 끓는 그가 피를 토하듯 뱉어내는 말을 들으면서도
그저 "그런데…, 그랬구나…" 하실 뿐이다.
그 때 세상은 가을이다.
노스님이 스스로
몸을 불살라 세상을 떠나고
오래 텅 비어있던 절에 중년의 남자가 돌아온다.
호수가 꽝꽝 얼어붙은 겨울이다.
절 앞 나무 바닥에 노스님이 마음을 다스리라며 써주신
반야심경을 한 자 한 자 칼로 파 새겨놓고 감옥으로 갔던
남자.
그 글씨들이 그 사람의 마음 바닥에도 그대로 새겨졌던가.
몸과 마음을 닦으며
절을 지키는 남자.
절을 찾은 이름 모를 여인이 두고 떠난 아기가 그 남자의 옆에 남고,
맷돌짝을 끈으로 묶어
허리에 두른 남자는
눈 덮인 산길을 넘어지고 미끄러지며 올라 산꼭대기에 부처님을 모신다.
그리고는 다시 봄이다.
아기는 자라 아이가
되고, 절 앞마루에서 머리 희끗해진 스님이
아이의 얼굴을 그려 줄 때 햇살은 따스하고 포근하다.
심심한 아이는
산으로 가 물고기와 개구리와 뱀의 입에 억지로 돌을 물린다.
아이는 재미있어서 터질 듯 웃어대고,
산꼭대기에 모셔진
부처님이 가만 내려다보신다.
인생을 사계절에 비유하는 일은 아주 흔하다.
영화 역시 아이에서 소년으로, 청년으로, 중년으로 그리고 노년으로 옮겨가는
인생의 길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을 바탕으로 그려나가고 있다.
그런데 참으로 신기한 것은 비록 한 평생 사는 일이 돌고 도는 원이 아니라
태어남과 죽음으로 이어지는 일직선이라 해도 우리들 서있는 자리는
결코 동떨어져 홀로 존재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 법정스님의 <인연 이야기>중에서
-
|
'精神修養 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대에게 갈수없어도 (0) | 2006.08.08 |
---|---|
인생은 뜬 구름 (0) | 2006.08.08 |
모든것은 하나부터 시작입니다 (0) | 2006.08.07 |
<스크랩> 기억되는 사람으로 남으십시요 (0) | 2006.08.07 |
“어디 가십니까”라고 묻는 한국의 인사말이 있다. (0) | 2006.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