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철재 기자
북한이 14일 기습 발사한 미사일은 최대 고도 2000㎞, 비행시간 30여분을 기록했다. 과거 북한이 시험 발사했던 어떤 미사일보다 최대 고도는 높고, 비행시간은 길었다. 전문가들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또는 ICBM 직전 단계의 성능을 가진 미사일이 아니냐고 우려하는 이유다.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일본 방위상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의 비행 시간이 30분 정도이며, 최대 고도가 2000㎞를 넘은 것을 감안하면 신형 미사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그는 이어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200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합동참모본부도 "북한이 오늘 발사한 불상의 탄도미사일 1발은 비행거리가 700여km이며 추가 정보는 한ㆍ미가 정밀 분석중”이라고 밝혔다. 합참 소식통은 "일본측의 분석 내용을 인용해도 좋다"고도 말했다.
과거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가운데 최대 고도를 기록한 미사일은 지난해 6월 시험발사에 성공한 무수단 미사일이었다. 당시 최대 고도는 1413㎞, 비행거리는 400여㎞였다. 군 관계자는 당시 "발사 각도는 직각에 가까운 83도로, 고각발사를 통해 주변국 영해에 미사일이 떨어지지 않도록 시험발사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들은 발사 각도와 최대 고도를 감안해 이 미사일이 정상적으로 발사됐다면 최소 3000㎞ 이상을 날아가는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이 지난 2월 고체엔진을 이용해 고각 발사한 북극성-2형 미사일은 최대 고도 550㎞에 비행거리 500여㎞였다. 정상적인 발사일 경우 최대 사거리를 2500㎞ 이상의 IRBM으로 평가됐다.
결국 추가 분석이 필요하지만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의 최대 고도 2000㎞와 비행거리 700여㎞를 감안할 때 최대 사거리는 최소 4500㎞ 이상일 수 있다. 미국의 비영리 과학자단체인 참여과학자모임(UCS) 소속 물리학자인 데이비드 라이트씨는 이날 발사한 미사일의 최대 사거리를 4500㎞로 계산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대 사거리 등을 감안할 때)북한의 신형 IRBM일 가능성이 있다”며 “지금까지 나온 북한의 IRBM 중 가장 강력하고 최고의 기술적 완성도”라고 평가했다.
비행시간도 ICBM 여부를 가르는 변수다. 이날 발사한 북한 미사일의 비행시간은 30여분이었다. 미 의회 예산처(CBO)에 따르면 러시아가 보유한 액체엔진을 이용한 ICBM은 비행 시간이 46분, 고체엔진을 이용한 ICBM은 38분을 각각 기록했다.
군 관계자는 “비행 시간(30여분)으로 보면 ICBM에 상당히 근접하는 수준"이라며 “탄도미사일은 속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일부러 천천히 날아갈 수 없다”고 설명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도 “(발사를 고각으로 했을 경우) 비행시간 등을 감안하면 최대 사거리가 6000~7000㎞일 수 있다”며 "사거리가 5500㎞를 넘는 탄도미사일은 ICBM으로 분류된다. 이 정도면 북한에서 미국 알래스카까지 타격할 수 있는 거리"라고 평가했다.
장영근 항공대 항공우주ㆍ기계학부 교수는 “최대 고도 2000㎞면 탄두가 대기권을 나갔다 다시 들어왔다는 의미”라며 “북한이 ICBM의 핵심 기술인 대기권 재진입 테스트를 함께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본측은 이번 미사일이 ICBM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모양새다. 이나다 방위상은 ICBM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자세한 내용은 분석 중이지만 새로운 단계의 (북한 미사일) 위협”이라고 언급, ICBM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하지만 미국의 태평양사령부는 “이번 미사일의 비행(궤적)이 ICBM과 일치하지는 않는다”며 ICBM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봤다. 일본은 ICBM일 가능성을 높게 보는 반면 한·미는 상대적으로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철재ㆍ김록환 기자 seajay@joongang.co.kr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일본 방위상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의 비행 시간이 30분 정도이며, 최대 고도가 2000㎞를 넘은 것을 감안하면 신형 미사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그는 이어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200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합동참모본부도 "북한이 오늘 발사한 불상의 탄도미사일 1발은 비행거리가 700여km이며 추가 정보는 한ㆍ미가 정밀 분석중”이라고 밝혔다. 합참 소식통은 "일본측의 분석 내용을 인용해도 좋다"고도 말했다.
과거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가운데 최대 고도를 기록한 미사일은 지난해 6월 시험발사에 성공한 무수단 미사일이었다. 당시 최대 고도는 1413㎞, 비행거리는 400여㎞였다. 군 관계자는 당시 "발사 각도는 직각에 가까운 83도로, 고각발사를 통해 주변국 영해에 미사일이 떨어지지 않도록 시험발사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들은 발사 각도와 최대 고도를 감안해 이 미사일이 정상적으로 발사됐다면 최소 3000㎞ 이상을 날아가는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이 지난 2월 고체엔진을 이용해 고각 발사한 북극성-2형 미사일은 최대 고도 550㎞에 비행거리 500여㎞였다. 정상적인 발사일 경우 최대 사거리를 2500㎞ 이상의 IRBM으로 평가됐다.
결국 추가 분석이 필요하지만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의 최대 고도 2000㎞와 비행거리 700여㎞를 감안할 때 최대 사거리는 최소 4500㎞ 이상일 수 있다. 미국의 비영리 과학자단체인 참여과학자모임(UCS) 소속 물리학자인 데이비드 라이트씨는 이날 발사한 미사일의 최대 사거리를 4500㎞로 계산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대 사거리 등을 감안할 때)북한의 신형 IRBM일 가능성이 있다”며 “지금까지 나온 북한의 IRBM 중 가장 강력하고 최고의 기술적 완성도”라고 평가했다.
비행시간도 ICBM 여부를 가르는 변수다. 이날 발사한 북한 미사일의 비행시간은 30여분이었다. 미 의회 예산처(CBO)에 따르면 러시아가 보유한 액체엔진을 이용한 ICBM은 비행 시간이 46분, 고체엔진을 이용한 ICBM은 38분을 각각 기록했다.
군 관계자는 “비행 시간(30여분)으로 보면 ICBM에 상당히 근접하는 수준"이라며 “탄도미사일은 속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일부러 천천히 날아갈 수 없다”고 설명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도 “(발사를 고각으로 했을 경우) 비행시간 등을 감안하면 최대 사거리가 6000~7000㎞일 수 있다”며 "사거리가 5500㎞를 넘는 탄도미사일은 ICBM으로 분류된다. 이 정도면 북한에서 미국 알래스카까지 타격할 수 있는 거리"라고 평가했다.
장영근 항공대 항공우주ㆍ기계학부 교수는 “최대 고도 2000㎞면 탄두가 대기권을 나갔다 다시 들어왔다는 의미”라며 “북한이 ICBM의 핵심 기술인 대기권 재진입 테스트를 함께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본측은 이번 미사일이 ICBM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모양새다. 이나다 방위상은 ICBM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자세한 내용은 분석 중이지만 새로운 단계의 (북한 미사일) 위협”이라고 언급, ICBM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하지만 미국의 태평양사령부는 “이번 미사일의 비행(궤적)이 ICBM과 일치하지는 않는다”며 ICBM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봤다. 일본은 ICBM일 가능성을 높게 보는 반면 한·미는 상대적으로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철재ㆍ김록환 기자 seajay@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