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향기] 박재희 원장의 "성공적인 협상비법, 역린지화!(逆鱗之禍)" 성공적인 협상비법, 역린지화!(逆鱗之禍) 박재희 세상 사람들은 제각기 나름대로 약점을 가지고 산다고 합니다. 누구나 건들면 부끄럽고 화가 나는 그런 개인만이 가진 약점 말입니다. 상대방이 수치스럽게 생각하는 그런 약점을 누군가 와서 함부로 건드리면 결국은 큰 화를 입게 될 것.. Free Opinion 2014.01.20
[넷향기] 김용석 교수의 "바른자세가 건강을 지킨다" 바른자세가 건강을 지킨다 김용석 여러분들 사람의 첫인상을 캐치하는데 얼마나 걸릴 거로 생각하세요? 스탠퍼드 대학에서 이런 연구를 했어요. 사람이 얼마만큼 빨리 얼마만큼 시간에 그 사람의 첫인상을 갖고 그 사람을 판단하는가? 봤더니 0.1초밖에 안 걸린대요. 이 0.1초 걸리는 첫인.. 건강관리 마당 2014.01.17
[넷향기] 김종수 소장의 "과음을 했으면 빨리 해장을 하자." 과음을 했으면 빨리 해장을 하자. 김종수 안녕하십니까? 생명온도 연구소장 김종수입니다. 이번에는 '과음을 했으면 빨리 해장을 하자.' 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현시대를 살아가다 보면 직장에서 회식문화가 있고, 자기사업을 하는 사람은 문제 해결을 위해 술 접대도 해야 .. Free Opinion 2014.01.16
[넷향기] 공병호 박사의 "성공하는 시간경영" 성공하는 시간경영 공병호 여러분 모든 사람에게는 24시간이 주어집니다. 어느 사람에게도 25시간은 주어질 수 없죠. 부자든 빈자든 유명한 사람이든 그렇지 않은 사람이든 간에 모든 사람에게는 24시간이라는 아주 균등한 자원이 주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그 자원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 Faith - Hymn 2014.01.15
[넷향기] 강문호 목사의 "인생은 부메랑입니다" 인생은 부메랑입니다 강문호 넷향기 가족 여러분에게 갈보리 교회 강문호 목사가 인사드립니다. 항상 좋은 일만 일어나기를 기원합니다. 놀이에는 철학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윷놀이에도 깊은 철학이 있습니다. 1. 빨리 가기 2. 쉽게 가기 3. 잡아먹고 가기 부메랑 놀이에도 깊은 철학이 .. Free Opinion 2014.01.14
[넷향기] 박재희 원장의 "성공의 비결 지피지기(知彼知己)" 성공의 비결 지피지기(知彼知己) 박재희 ’손자병법’ 하면 떠오르는 가장 유명한 말은 아마 지피지기(知彼知己)일 겁니다. 손자병법에서 말하는 지피지기는요, 단순히 상대방을 이길 수 있다는 신념이나 주관적인 감(感)이 아닙니다. 아주 객관적이고 냉철한 비교 분석을 통해서 승부를.. Free Opinion 2014.01.13
[넷향기] 이영권 박사의 "인생의 주인은 바로 나" 인생의 주인은 바로 나 이영권 가끔 주변 사람들이 저에게 한탄합니다. '난 왜 이렇게 안 풀릴까요?', 그리고 '제가 하는 일이 잘 안 돼요.' 하며 저에게 한탄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제 홈페이지에 하루 만여 명 정도 접속하시는데 그중에 글을 남기시는 분이 100여 명 정도 되십니다. 그런.. Free Opinion 2014.01.13
[넷향기] 공병호 박사의 "너, 자신의 가치를 끌어올려라" 너, 자신의 가치를 끌어올려라 공병호 저는 며칠 전에 강남에서 열렸던 미국을 대표하는 경영 구루(Guru)라고 하죠. 마이클 포터, 톰 피터스와 함께 미국을 대표하는 경영의 대가인 톰 피터스의 5시간 정도의 세미나에 참석했습니다. 정말 많은 분이 참석해서 놀랐습니다. 그 호텔엔 저의 .. Free Opinion 2014.01.08
[넷향기] 최윤규 대표의 "나는 창조한다." 나는 창조한다. 최윤규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나이지리아의 월레 소잉카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창조성은 구속의 반대말이다. 나는 창조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창조한다는 것은 바로 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는 피터드러커의 책을 읽다가 깜짝 놀란 것이 있습니다. 1950년.. Free Opinion 2014.01.08
[넷향기] 박재희 원장의 "상사를 설득하는 8가지 원칙" 상사를 설득하는 8가지 원칙 박재희 한비자라고 하는 동양 고전에는 아랫사람인 신하가 윗사람을 설득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이 몇 가지 원칙이 있다고 합니다. 한비자에 보면 ‘유세하기란 정말 어렵다.’라는 뜻의 유세할 ’세’ 자에 어려울 ’난’, 세난(說難) 편에 나오는 윗사람, 즉 .. Free Opinion 2014.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