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鶴山의 넋두리

사회적 갈등의 지양과 공감대 형성이 시급한 과제

鶴山 徐 仁 2005. 9. 10. 14:20

  최근 나라 안 밖으로 시끄러운 사건이 한 두 가지가 아닌데,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위원장 윤경로)와 '민족문제연구소'(소장 임헌영)가 지난 달 29일에 발표한 소위 '친일인사 명단'은 그 선정기준에서의 문제를 놓고도 그 이후로 계속해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금년이 광복 60주년이고 보면 그 보다도 이전에 일어난 사건들을 파 헤쳐서 과거의 진상을 논한다는 자체가 그리 용이한 일이 아님은 쉽게 이해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대부분이 이미 고인이 되었고 따라서 진정한 전말을 밝힐 수 있는 근거나 증거가 거의 전무하다시피한 것들을 놓고 빙산의 일각이나 피상적인 사건을 들춰서 문제를 침소봉대 하거나 그 반대로 오히려 숨기거나 덮어버리고마는 일들이 비일비재 한 것 같다는 것입니다.

  여러 가지 현실과 미래의 우리 나라와 관련 된 어려운 일들이 한 두 가지가 쌓여 있는 상황이 아닌데 지금에야 이것을 이슈화 하는데는 역시 순수한 측면만이 있다고 보진 않기 때문에 식자들은 색안경을 끼고 보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고 더구나 어용단체라고 지목 받고 있는 기관과 좌익성향으로 꼽히고 있는 인사들의 다수가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이 역시 떳떳하지 못한 결과를 낳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친일에 대한 청산을 올바르게 하자는 것을 두고 이의를 달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국민의 공감대를 얻지 못한 가운데 이루어지는 이 일의 진행 과정상에서 노출되고 있는 여러 가지 모호한 점들은 그 출발의 의도는 어떻던 간에 좋은 결과를 생산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 사례를 들자면,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선친인 '고 박정희'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의 김희선 의원의 선친의 문제만을 비교 하더라도, 이 번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와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사 명단'을 보고 일본인도 의아해 하고 아마도 비웃음을 금치 못할 것이라고 여겨집니다.

  박대표의 선친은 일개 보병장교 중위였는 데 비해 김의원의 선친은 소위 그 위세도 등등했던 헌병 오장(하사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한 분은 장교였고, 다른 한 분은 부사관이었다는 이유로 명단에 올리고 빼 버리는 우수광스런 상황을 연출하고 있는 그들의 업무를 두고 그 누군들 비웃지 않을 수가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군생활을 해 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1개 보병의 중.소위들에게 주어지는 위세와 일제 하에서 순사 나으리 보다도 위세가 등등했던 헌병의 오장을 두고 볼 때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입니까?

누굴 죽이고 살리는 식의 장단을 맞추다가 보면 제대로 된 결과를 도출해 제시할 수 없다는 것을 왜 모른단 말입니까? 그리고 이왕에 늦었지만 제대로 한 번 해 보고자 했다면 그네들 무슨 무슨 위원회, 연구소 등의 간판을 달고 그 속에서만 숨 죽이고 앉아서 명단을 작성할 게 아니라 거국적으로 시간을 두고 확실하게 하고 자 하는 올바른 의지를 가지고 했어야지 그나마 큰 매듭을 하나 풀고 지나갈 수 있었을 터인데... 이 번의 발표는 다수가 정치적 연출에 시기 적절하게 맞추어 꼭두각시 노릇을 하고 자 한다는 인상만 풍기도록 급조해서 작품을 만들어 놓은 감을 금할 수가 없습니다.

  일반 사물에 관련된 요인들도 아닌 우리 사회 속에 오랫 동안 내면적으로 깊숙하게 잠재되어 있는 너무나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인 이 문제는 새삼 들추질 않던가 작심하고 들춰내어 털고 가야 한다는 결심을 했다면 대다수 국민들에게 공명성도 검증 받지 못한 이상한 조직을 동원해서 슬쩍 발표하고 지나갈 일이 아니라 보다 더 명확하게 했어야 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을 남김니다.

  이 문제가 아니더라도 이념적 이데올로기적 논쟁을 포함하여, 경제문제에 못지 않은 사회적 갈등이 팽배한 상황에서 이 문제까지 가세를 했어야만 했나 하는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자꾸 일을 벌리지만 말고 작은 것부터 한 가지 한가지 차근차근 풀어나가기 위한 지도층의 지혜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