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Free Opinion

6·25전서 팔·다리 잃은 웨버 대령 별세 당일 남긴 말 “여전히 분단 안타까워”

鶴山 徐 仁 2022. 4. 23. 19:09

6·25전서 팔·다리 잃은 웨버 대령 별세 당일 남긴 말 “여전히 분단 안타까워”

 

전쟁 영웅 웨버 대령 장례식
유족·지인들 “마지막까지 한국 생각, 강인한 군인이었다”
별세 4시간 전 “생의 임무 완수했다”
文 대통령, 尹 당선인 조전 보내와

 

워싱턴=이민석 특파원


입력 2022.04.23 06:44

 

 

“생의 임무를 완수했다(Mission Complete).”

 

6·25 전쟁 영웅 윌리엄 웨버(97) 미 예비역 육군 대령이 지난 9일(현지 시각) 별세하기 4시간 전 남긴 말이다. 그는 전후(戰後)부터 최근까지 6·25 전쟁 미군 전사자 3만6595명, 한국군 지원부대(카투사) 전사자 7174명 등 총 4만3000여 명의 이름을 모두 새긴 ‘추모의 벽’을 만드는 작업을 해왔다. 병상에 누워 마무리 작업에 들어선 추모의 벽 최근 사진을 보자 그는 눈을 크게 뜨고 벽을 한번 본 뒤 만족한 표정을 지었다고 한다.

6.25 참전유공자회 워싱턴지회 손경준 회장 등 참전 유공자들이 22일(현지 시각) 미 메릴랜드주 프레데릭타운에서 열린 웨버 대령 장례식장에서 그를 향해 경례하고 있다. /이민석 특파원

 

 

웨버 대령이 창립한 한국전 참전용사기념재단의 부이사장이자 20여년간 가장 친한 친구였던 콜 리차드 딘 부이사장은 22일(현지 시각) 본지에 “그는 ‘잊힌 전쟁’ 취급을 받던 6·25 전쟁을 미국 사회에서 다시 알리는 데 평생을 노력해왔다”며 “별세 직전 자신의 노력이 결실을 맺을 거라는 걸 깨닫고 마음이 편해진 것 같다”고 했다.

 

이날 오후 2시 미국 메릴랜드주 프레데릭타운에서 웨버 대령의 추도식이 열렸다. 미 공수부대 대위로 6·25전쟁에 참전한 웨버 대령은 1951년 중공군의 수류탄과 박격포 공격에 팔과 다리를 잃어가며 원주 북쪽 324고지 전투를 이끌었다. 퇴역 후에는 6·25전쟁과 참전 군인의 무공을 미국 사회에 널리 알리는 데 평생을 바쳐 전쟁 영웅으로 불린다.

 

이날 추도식에는 유족·지인 및 한·미 양국의 참전 노병 등 100명이 참석했다. 한국 정부를 대표해 황기철 국가보훈처장과 이수혁 주미대사, 이경구 주미대사관 국방무관 등이 추도식에 참석했다. 미국 측에선 존 틸럴리·월터 샤프 전 주한미군사령관, 한나 김 연방 보건복지부 부차관보가 참석했다.

 

이와 함께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조전을 각각 보냈다.

 

문 대통령은 황 처장이 대독한 조전에서 “(웨버 대령은) 한국전쟁에서 팔다리를 잃었지만 하늘로 먼저 간 동료들을 위해 한국전쟁을 더 널리 알리고 싶다고 하셨다”며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생의 마지막까지 힘써 주신 고인의 희생과 헌신에 경의를 표한다”고 했다. 이어 “웨버 대령을 포함한 미국 참전 용사의 피와 눈물로 맺어진 한·미 동맹이 앞으로도 굳세게 이어질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라고 했다.

 

윤 당선인도 조전에서 “웨버 대령의 용기와 희생은 한국의 영토와 자유 수호에 크게 기여했다”며 “웨버 대령의 고귀한 용기와 희생은 한국민의 가슴에 영원히 살아있을 것이다. 이 토대 위에서 양국 국민의 강력한 연대와 우정으로 굳건해진 한미 동맹은 계속 강력해질 것”이라고 했다.

 

웨버 대령과 마찬가지로 한국에 파병돼 6.25 전쟁을 치렀던 샘 울콕 한국전 참전용사 협회 소속 사제가 동료 웨버 대령의 초상화를 지켜보고 있다. 그는 이날 본지 인터뷰에서 “6.25 전쟁을 참전한 우리들 중에서도 특히 빌(웨버 대령)은 한국에 대한 사명감이 남달랐다”며 “그는 진정한 영웅이었다”라고 했다. /이민석 특파원

 

 

웨버 대령의 딸 베스 웨버씨는 이날 아버지에 대한 지인들과 동료들의 추모사에 계속 눈물을 흘렸다. 베스씨는 “아버지는 마지막까지 한국을 생각했다”며 “특히 돌아가시는 당일 ‘여전히 남북이 통일이 안되고 분단돼 있는 사실이 안타깝다’ ‘통일된 한국을 보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씀하셨다”고 했다. 이어 기자 손을 잡으면서 “한국인들이 아버지를 기억해주는 것에 정말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했다.

 

베스씨는 이어 “돌아가신 당일 아버지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을 비판하면서 목소리를 높이셨다”며 “그는 죽기 전까지 의식이 명료(lucid)했다. 그는 강한 군인(tough soldier)이었다”라고 했다.

 

웨버 대령과 함께 6.25 전쟁에서 싸웠던 샘 울콕 한국전 참전용사 협회 소속 사제는 “6.25 전쟁을 참전한 우리들 중에서도 특히 빌(웨버 대령)은 한국에 대한 사명감이 남달랐다”며 “그는 진정한 영웅이었다”라고 했다. 울콕씨는 17세에 미 육군 소속 공병으로 6.25전쟁에 투입돼 부산부터 오산까지 한국 곳곳에서 전쟁을 치렀다. 울콕씨는 “몸이 불편해 움직이기 힘들어지기 전까지도 그는 미국 사회에 6.25 전쟁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녔다”며 “몸이 불편했지만 누구도 그를 막을 수 없었다”고 했다.

한미동맹재단과 웨버 대령 부인 애널리 웨버 여사가 제정한 ‘대령 윌리엄 E. 웨버 동맹상’에 재단과 웨버 여사가 서명했다. 단체 측은 웨버 대령의 이름을 따 한미 양국 고등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할 계획이라고 이날 밝혔다. /이민석 특파원

 

 

지난 2017년 서울에서 창립된 한미동맹재단(회장 정승조)의 사무총장인 신경수 전 주미국방무관은 이날 추도사에서 “그는 ‘자유는 공짜가 아니다’라는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며 “그는 1950년 한국으로 와 북한의 공격을 막아내면서 한국의 민주주의도 함께 지켰다”고 했다. 한미동맹재단과 부인 애널리 웨버 여사는 이날 웨버 대령 이름을 따 ‘대령 윌리엄 E. 웨버 동맹상’을 제정해 매년 한·미 양국 고등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수여할 예정이라고 한다. 신 사무총장은 “웨버 대령은 6·25 전쟁의 교훈을 알리기 위해 한·미 청소년들의 교육의 중요성도 항상 강조했다”며 “그의 뜻을 기려 장학 기금을 마련해 내년부터 수여할 것”이라고 했다.

고인은 이번 여름쯤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될 예정이다.

 

 


鶴山 ;

먼저, 삼가 고인에게 진심으로 조의를 표합니다.

하지만, 북한 땅에 가서, "남측 대통령"이라고 스스로 김정은과 북한 인민들 앞에서 공언하고 있는 입장의 사람이 과연, 조전을 진심으로 보냈을까를 의아해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적어도 현 정권의 인사들은 생전의 고인이 걸어온 길을 생각하면서 부끄러운 줄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