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Free Opinion

[넷향기] 이요셉 소장의 "행복한 인생을 만드는 노하우"

鶴山 徐 仁 2015. 9. 4. 11:08

행복한 인생을 만드는 노하우
이요셉

저는 매달 행복여행을 진행합니다. 정말 그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하고 정말 자연을 통해서 삶이 치유되고 행복해지는 아름다운 시간인데요. 지금까지 이렇게 진행해오면서 2000명 가까운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찾아가고 기쁨을 찾아가는 시간입니다.
저는 그 중에서 여러 가지 프로그램, 마음껏 우는 시간, 마음껏 화내는 시간, 화내버리기도 하고 울어버리기도 하고, 웃어버리기도 하면서 3일 동안 정말 행복을 찾아가는 시간인데, 거기에서 자연명상이라는 아주 제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코너가 있습니다. 그 자연명상을 통해서 많은 것을 느끼는 시간인 것 같아요.

자연은 우리 삶속에서 위대한 스승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나무를 볼 때 나무의 색깔을 볼 때 나무들은 봄과 여름과 가을과 겨울이 되면, 겨울이 되면 아낌없이 낙엽을 다 떨어뜨린다는 것이에요. 봄이 되면 자기의 완벽한 색깔을 낸다는 것입니다.
나는 정말 나무처럼 나답게 살고 있는 것일까? 내 삶속에서 버려야 할 것은 무엇인가?를 통해서 자연명상을 통해서 느끼는 시간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어요.

한분이 자연명상을 하다 보니까 여러 가지 그런 생각이 들더랍니다.
자연이 너무나 조화롭다는 것이지요. 강이 그렇게 자연스럽게 흘러가더라는 것이에요. 나무가 그렇게 곧으면 곧은 대로, 굽으면 굽은 대로 불평 한마디 하지 않고 정말 일치하고 완벽하게 자연스럽게 서있고 조화롭게 서있는 모습. 땅과 강이, 하늘과 땅이 모든 것들이 너무나 어우러져있고 너무 아름답다는 것이에요.

거기에 하나중 눈에 거슬리는 것이 있었답니다.
쓰레기였대요. 저 쓰레기만 없다면 얼마나 아름다울까? 쓰레기를 주워서 주머니에 집어넣었답니다.
불현듯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대요.
'내가 혹시나 지금 너무나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고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 혹시나 쓰레기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더랍니다.
그래서 그분은 그 시간 이후부터 주머니에 쓰레기를 갖고 다닌대요.
그리고 일을 결정하거나 어떤 일을 선택할 때에 내가 하려고 하는 것이 쓰레기가 아닌가라는 생각을 할 때마다 자기 삶에 큰 도전이 되고 용기가 된다고 합니다.
정말 그것은 굉장히 삶에 어떤 의미를 주더라는 것이지요.

펜션을 보는데, 옛날에는 ‘저것을 가졌으면 좋겠다. 얻으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을 했대요.
그런데 이런 생각이 들더랍니다.
'자연은 담을 치지 않잖아요. 청둥오리들은 자연스럽게 막 날아드는데...'
갑자기 그런 마음이 들더랍니다.
자기도 그런 집이 있는데 저런 집을 보니까 그렇게 불쌍하더라는 것이에요. 저 사람들은 담을 치고 난 다음에 자기 담을 쌓고 있다는 것이지요.

우리가 사실은 1년에 음식물 폐기만 6조원이 된다고 합니다. 굉장히 많잖아요.
정말 우리 안에 쓸데없는 것들을 6조원씩이나 갖고 있지 않은가. 근심의 폐기물들, 걱정의 폐기물들, 미움의 폐기물들을 자연스럽게 버릴 때, 그때 진정한 웃음과 기쁨과 행복이 올라오기 시작하는데 우리는 너무나 멀리서 그런 것을 찾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분이 느꼈던 감동, 그분이 느꼈던 행복이 내 삶속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 것이죠.

나도 주머니에 쓰레기를 넣고 다녀야 할 것 같아요.
내 삶속에서 자꾸 떠올려보는 것이죠. 내가 추구하는 것이 쓰레기가 아닌가. 10년이 지나고 100년이 지난 후에 정말 그것이 옳은 선택이었는지 떠올려본다면 삶을 좀 더 지혜롭게 살 수 있고 웃으며 살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선택을 할 때 이렇게 선택을 해요.
이것은 내가 웃을 수 있는 일인가, 웃지 못 할 일인가를 떠올려보는 것이죠.
그러면 삶이 단순해지고 행복해지는 멋진 방법인 것 같습니다.

오늘도 한번 생각해보세요. 여러분이 하는 일이 웃을 수 있는 일인가, 아니면 웃음을 나눌 수 있는 일인가, 웃지 못 할 일인가를 떠올려본다면 삶이 정말 더 웃으며 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한번 웃으면서 마쳐볼까 해요. 이렇게요 “하하하하하하” 여러분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