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美 통화정책 변경 이후 달러 강세·금리 상승 대비해야
입력 : 2013.12.20 03:03
돈을 무한정 푸는 양적 완화 정책은 기준금리가 0%대인 상황에서 연준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더 내릴 수 없기 때문에 대신 내놓은 비상 대책이다. 연준은 양적 완화 정책을 통해 3조달러가 넘는 돈을 풀었다. FRB가 올 5월 이후 양적 완화 축소 가능성을 내비칠 때마다 세계 금융시장은 불안하게 요동쳤다. 그러나 이날 막상 양적 완화 축소를 공식 발표하자 세계 증시는 오히려 상승세를 보였다. 미국 경제가 달러 살포 정책에 기대지 않아도 될 만큼 자신감을 얻은 것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미국 경제가 새해 본격적으로 살아나면 유럽·중국을 비롯해 세계경제 회복 속도가 빨라져 한국 경제에도 좋은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우리 경제가 지금부터 가장 주시해야 할 부분은 달러화 강세 추이와 속도다. 미국이 달러 공급을 줄이면 달러화 가치와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커진다. 그러면 미국에서 신흥시장국으로 흘러들어갔던 자금이 다시 미국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신흥국들 중에서 큰 폭의 경상수지 적자를 내고 있는 브라질·인도네시아 등이 자본 유출로 위기에 몰리면 그 파장(波長)이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다.
일본은 미국과는 달리 앞으로도 엔화 공급을 계속 늘릴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양적 완화 축소로 달러화 가치가 올라가면 엔화 가치는 더 떨어진다. 이에 따라 해외시장에서 일본 제품과 경쟁하는 우리 기업들의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중장기적으로 금리가 오르면 부채가 많은 우리 가계와 기업들이 타격을 받게 되는 것도 큰 부담이다. 정부는 국제 금융시장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자본의 급격한 유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비상 방어 수단을 준비해야 한다.
미국의 금융정책 수정으로 2014년엔 세계경제의 큰 조류(潮流)가 바뀌고 그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우리 경제가 내수(內需)를 키우고 대외 의존도를 낮춰 대외 환경 변화에 버틸 체력을 기르는 일이 훨씬 중요해졌다. 정부는 국내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민간 소비와 기업 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적극적인 경기 진작책을 검토해야 한다.
'國際.經濟 關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창용 IMF 아태국장 내정자 "삼성·현대차 외의 대기업들, 부실이 상당하다"/ 조선일보 (0) | 2013.12.24 |
---|---|
美 신차 가치 평가서 일본 브랜드가 90% 휩쓸어…현대차는?/ 조선일보 (0) | 2013.12.22 |
'울지마 톤즈'의 땅 南수단… 內戰으로 사흘간 1300명 死傷/ 조선일보 (0) | 2013.12.19 |
대법 "정기적 상여금 통상임금 포함"…근로자 수입 전망은?/ 중앙일보 (0) | 2013.12.18 |
일본, 저가항공 터미널 선점 … 한국 '동북아 허브' 흔들/ 중앙일보 (0) | 201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