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政治.社會 關係

‘변듣보’ “국민장에 세금 1원도 들이지 마”

鶴山 徐 仁 2009. 5. 27. 09:50

”국민의 한 명으로서,내가 번 돈으로 세금을 국가에 내는 납세자의 한 사람으로서 노 전 대통령의 장례식에 국민세금은 단 돈 1원도 투입돼서는 안 된다.”

’변듣보’가 인터넷 세상에 또다시 파란을 일으켰다.

변희재 미디어발전국민연합 공동대표는 지난 25일 자신이 대표로 있는 인터넷매체 빅뉴스에 게재한 ’노 대통령의 장례,국민세금 들이지마’ 제목의 글을 통해 “장례는 국민장으로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를 법으로 규정한 이유는 그동안 수고했으니 놀고 먹으라는 이야기가 아니다.대한민국의 국정을 운영하면서 일반인들은 얻지 못할 치열한 경험을 죽을 때까지 국민들과 함께 나누며 끝까지 봉사하라는 의미”라며 “만약 이러한 의무를 다하지 못한 전직 대통령이라면 당연히 그 예우를 박탈해야 한다.그 때문에 형사처벌을 받으면 예우를 박탈하게 되고,노 전 대통령은 바로 이러한 위기에 처해 있었다.”고 지적했다.

변 대표는 “그보다 더 높은 차원의 관점에서 전직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의무는 명이 다할 때까지 최선을 다해서 살아야한다는 것이다.이것은 역사적 평가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한 개인이 대통령이 된다는 것은 국정을 운영하는 하나의 거대한 세력이 역사적 평가를 받으며 국민의 뜻을 받드는 것이다.대통령은 퇴임 이후에도 수많은 학자들 혹은 국민들로부터 사후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이라는 자리는 민생고에 허덕이는 모든 국민들을 위로하고 다독이는 위치에 있다.자살률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올라선 대한민국의 전직 대통령이라면 힘든 국민들에게 ‘그래도 같이 살아야 합니다’고 해야지,자기 측근들이 위험하다고 죽어버리는 게 말이나 되는 이야기인가.이명박 정부가 못마땅해도 살아서 싸워야 하는 것”이라고 짐짓 꾸짖었다.

더구나 변 대표는 “검찰이 무리수를 두었던 어쨌든 노대통령은 비리혐의가 검찰 수사 결과 드러날 시점에서 자살을 택하였다.국민을 위한 것도 대한민국을 위한 것도 아니었다.그의 유서에도 국민과 대한민국이란 단어가 없고 오직 자신의 측근들의 안위만 걱정하는 내용이었다.한 마디로 자신의 측근을 살리기 위해 장렬히 몸을 던지는 조폭의 보스나 다름없는 사고”라고 공격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노 전 대통령 자살 직후 어느 택시기사의 ‘참 싱거운 사람이네.다들 힘들어도 그래도 살아가고 있는데’란 말에서 배우라.”며 “매일 같이 힘들고 고달픈 삶 속에서도 하루하루 생명력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대다수 국민들의 입장에서 반성하고 성찰해 보라.”는 말로 글을 맺었다.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선 ‘변듣보’( ‘듣보잡-듣도 보도 못한 잡스러운 생각’에 그의 성을 갖다 붙인)란 새로운 조어가 인기 검색어로 올랐다.

국민장을 치르기로 하고 정부도 서울 경복궁 앞뜰에서 영결식을 갖고 시청앞 서울광장에서 노제를 지내기로 장의위원회와 합의하는 등 29일 영결식 준비에 한창인 상황에서 변 대표의 글에 적지 않은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변 대표는 미디어관계법 개정을 위한 여론수렴 기구인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의 한나라당 추천 위원이기도 하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2009-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