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시대가 바뀌었습니다.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인터넷에서 검색만 해도 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인터넷이 1982년에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등장한 뒤 본격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시작한 해는 1994년입니다.
이후로 국내에서도 세상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학교에 가거나 책을 읽는 방법 이외에도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정보를 얻는 시대가 되었습니다.‘정보의 바다’라고 불리는 인터넷은 검색만 잘 하면 나이와 인종, 성(性)에 관계 없이 다양한 정보를 거의 무한정 얻을 수 있는 매체입니다. 정보가 이렇게 널려있다시피 하니 단순 정보를 묻고 답하는 방식은 이제 평가의 도구로 적절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널려 있는 정보를 마음만 먹으면 얻을 수 있는 시대에는 정보를 설득력 있게 잘 조합해 내놓을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평가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러자 질문의 형태와 원하는 답의 형태가 바뀌었습니다.‘대한민국의 국보 1호는?’이라는 문제는 ‘왜 남대문이 대한민국의 국보 1호인가?’로 바뀌었습니다, 이런 문제의 답은 단 하나만의 정답이 존재할 수가 없지요.
따라서 하나만의 정답에서 여러 개의 다양한 답을 도출하는 것으로 답변이 바뀌게 되었고, 다양한 답변 가운데 가장 설득력이 높은 답변이 최우수 답변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그래서 가정에서나 학교에서나 우선적으로 배양해야 할 능력은 무엇일까요? 널려 있는 수많은 정보를 설득력 있게 조직화할 수 있는 능력, 바로 창의적 사고력입니다.
그렇다면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무턱대고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자고 하면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그러나 창의적 사고력을 구성하는 요소를 하나하나 잘게 나누어 익혀 나간다면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닙니다.
●민감·유창·융통·독창·정교성 다져야
표는 창의적 사고력의 대표적인 요소 5가지를 적어 놓은 것입니다. 민감성을 높이기 위해 쉽게 할 수 있는 활동 가운데 하나는 ‘숨은 그림 찾기’입니다. 숨은 그림을 찾아내려면 선이나 곡선 등의 작은 변화와 그 선들이 만들어 내는 형태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합니다. 이 활동이 잘 되면 이제는 주변 환경 내에서 숨은 그림 찾기를 응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책상 위에 올라와 있는 학습 도구들도 형태만, 그림자만, 색채만 고정시켜 놓고 보아도 새로운 것이 찾아집니다.
브레인스토밍이나 생각 이어가기는 유창성의 예입니다. 아무런 제약 없이 떠오른 대로 얘기하거나 한 단어로 시작해서 연상되는 단어를 가능한 많이 이야기해보는 방법입니다. 융통성은 서로 관계가 없어 보이는 물건을 이어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물과 휴지를 함께 놓으면 젖어서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물휴지가 될 수도 있지요.
독창성 영역은 기존의 것을 새로운 방식으로 바라보는 겁니다. 냉장고를 새로운 방식으로 보면 에어컨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정교성은 다듬어지지 않은 날것인 생각을 구조화되고 세밀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떠오르는 생각을 말로 해 보거나 글로 적어보면 좋습니다. 특히 글로 적은 것을 하루나 이틀의 간격을 두고 다시 보면서 첨가를 해 나가는 방법은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남대문이 왜 대한민국의 국보 1호인가?’라는 문제를 다섯 가지 창의적 사고 영역으로 나누어 아이들과 함께 풀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냥 물어 봤을 때는 볼 수 없었던 깜짝 놀랄 만한 답변들이 쏟아져 나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