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은 원래 번개가 번쩍이는 모양을 본뜬 ‘申’(신)이었는데 후에 ‘제사’와 관련된 뜻을 나타내기 위해 ‘示’(시)를 붙였다. 본 뜻을 보존하기 위해 만든 게 ‘電’(전)이다.
‘道’는 원래 길과,梟首(효수)된 사람의 머리 상형인 ‘首’(머리 수)를 합해 國法(국법)의 준엄함을 의미하는 글자였다. 그 뜻이 ‘거리’나 ‘길’로 확장되었고, 사람이 지키고 실천해야 할 ‘도리’,‘조리있게 말하다’의 의미도 派生(파생)하였다.
‘碑’는 意符(의부)인 ‘石’(석)과 聲符(성부)인 ‘卑’(비)가 합쳐진 會意字(회의자).‘石’자는 甲骨文(갑골문)의 발견으로 손아귀에 잡을 수 있는 크기의 날이 있는 돌의 상형임이 밝혀졌다.‘卑’의 윗부분은 儀式(의식)에 쓰이는 일종의 儀仗(의장)이며, 아랫부분은 오른손의 상형인 ‘又’(우)의 변형이다. 의식 행위에서 의장을 들고 도열하는 사람들은 신분이 낮았다는 데서 ‘낮다’‘천하다’의 뜻으로 쓰였다.
碑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며 내용에 따라 墓碑(묘비),塔碑(탑비),神道碑(신도비),事蹟碑(사적비),遺墟碑(유허비),記功碑(기공비),頌德碑(송덕비),旌閭碑(정려비) 등으로 부른다.碑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臺座(대좌)와 碑身(비신)과 蓋石(개석)으로 구성되어 있다.臺座는 碑身을 받치는 받침대로 네모 형태와 거북 모양이 주류를 이룬다. 비신은 직육면체로 앞면을 碑陽(비양), 뒷면을 碑陰(비음)이라 한다.
비의 상단부나 개석에는 題額(제액)을 새긴다. 일반적으로 篆書(전서)로 쓰기 때문에 篆額(전액)이라고도 한다. 무덤 앞에 세우는 비석을 총칭하여 墓碑(묘비)라 하는데,神道碑(신도비),碑(비),碣(갈),表石(표석) 등이 있다.碑에는 故人(고인)의 성명, 본관, 원적, 행적, 경력 등의 事蹟(사적)을 기록한다.
‘神道碑’는 원래 중국 漢(한)나라에서 종2품 이상의 官僚(관료)들에 한하여 세웠다. 우리나라에서는 東文選(동문선)등의 문헌으로 보아 高麗(고려) 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王陵(왕릉)에도 신도비를 건립하였으나 文宗(문종)이 법으로 금하였다.2품 이상의 관원에게만 허용되었기 때문에 신도비는 집안의 位相(위상)과도 관련이 있었다.功臣(공신)이나 碩學(석학) 등에게는 왕이 직접 건립을 명하기도 하였다.
옛날에는 碑와 碣(갈)이 통용되었으나, 후대로 오면서 벼슬 등급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였고, 형태도 달라졌다.碑는 長方形(장방형)으로 지붕 모양의 蓋石을 얹는다. 반면 碣은 덮개 없이 碑身(비신)의 상단부를 둥그스름하게 만들고, 비에 비해 규모도 작다.3품 이하 관원의 무덤에는 墓碣(묘갈)을 세운다.
墓에 대한 分辨(분변)장치는 碑나 碣(갈)에 그치지 않는다. 천재지변 등으로 인한 인멸에 대비하여 墓誌(묘지), 혹은 誌石(지석)을 설치한다. 금속판이나 돌,陶板(도판)에 죽은 사람의 原籍(원적)과 성명, 생년월일, 행적, 묘의 위치 등을 새겨 무덤 앞에 묻는 것을 말한다.
김석제 경기도군포의왕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