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歷史. 文化參考

[김형효 교수의 테마가 있는 철학산책] (7) 생각하는 사나이와 미륵반가사유상

鶴山 徐 仁 2006. 10. 6. 10:29

 

필자의 고교 재학시절엔 고교생 교양지 ‘학원’이 있었다. 그 잡지에 프랑스 조각가 로댕(A.Rodin·1840~1917)의 ‘생각하는 사나이(le Penseur)’의 조각상이 가끔 사진으로 실렸었다. 그 사진을 보면서 나는 이상한 생각에 잠기곤 했다. 왜 생각하는 사나이가 저토록 근육질인가? 얼굴은 침통하고 심각한데, 몸은 온통 근육질로 누볐다고 할까? 이상했다. 대개 공부하고 사색적인 사람의 몸은 근육질이 아닌데, 로댕의 저 조각은 별났다. 뒤에 서구에 유학가서 로댕 박물관을 둘러보았다. 정말 로댕은 희대의 조각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켈란젤로의 조각과 로댕의 것은 나의 마음에서 그 감동이 지워지지 않는 두 개의 걸작이다. 걸작이 하나 더 있다. 바로 한국의 불상들이다. 석굴암의 불상, 서산의 백제 마애불의 미소, 산자락의 바위나 돌에 새겨진 미륵불의 잔잔한 모습….

로댕의 저 작품은 단테의 ‘신곡’에 영향을 받아 지옥을 내려다보고 있는 사나이를 묘사하기 위하여 조각된 것임을 뒤에 알았다. 지옥을 보는 사나이의 얼굴이 밝을 리 없다. 로댕은 그가 살고있는 시대상을 지옥으로 표상했다. 로댕의 연구가인 타양디에의 책 ‘로댕’을 읽고서 저 조각상의 분위기를 짐작할 수 있었다. 로댕은 당시 비공산계열 사회주의 노선의 철학교수였고 국회의원을 지낸 장 조레스(Jean Jaures·1859~1914)로부터 많은 정신적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로댕의 ‘생각하는 사나이’는 그 당시 프랑스 사회의 부조리를 혁파하려는 강한 의지에 불탄 젊은이였음에 틀림없다. 그 사나이의 근육은 지옥 같은 사회를 혁명하여 천국으로 만들려는 강렬한 불굴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오른팔로 받쳐든 그의 얼굴은 굳어 있으며 심각하고 우수에 깃들어 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세상을 구하는 것은 진지한 고뇌에 젖은 얼굴이 아니라, 부드럽게 미소짓는 얼굴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래서 한국의 불상을 참으로 좋아하게 되었다. 저런 불상을 조각한 장인의 마음은 대단한 수행의 깊이에서 우러나는 공덕이 아니면 불가능하리라 여겨진다. 나는 신라의 미륵반가사유상을 생각한다. 로댕의 저 작품처럼 이 반가사유상도 오른팔로 얼굴을 살짝 받치고 있다. 이 작품은 로댕의 작품처럼 고뇌스럽게 무엇을 골똘히 생각하는 모습이 전혀 아니다. 그 얼굴은 눈을 내리 떠서 고요한 마음으로 보고 있으나 생각에 집착되어 있는 것 같지 않다. 그 사유상은 능동적으로 생각하기보다 오히려 생각의 어떤 빛이 그의 마음에 솟아오르기를 고요히 기다리는 것 같다. 그래서 그의 얼굴은 심판하는 자의 모습이 아니다. 왜냐하면 심판하는 자의 얼굴은 입을 꼭 다물고 있기 때문이다. 그 얼굴에는 긴장의 모습이 전혀 없이 안온한 미소가 입가를 스칠 뿐이다. 그 모습은 무엇을 대적하는 적대감을 띠고 있지 않다. 존재하는 모든 것을 겸허하게 다 긍정하고 그것들과 함께하려는 자비로운 모습이 얼굴에 넘쳐흐른다. 안온한 표정은 진정된 마음의 고요를 표현하고 있고, 탐욕과 분노의 고집을 지워버린 무심의 마음에서 솟아오르는 마음의 열락을 맛보고 있는 듯하다. 그의 몸과 얼굴에서 무엇을 하겠다는 결의와 결심의 흔적이 없다. 그의 몸은 전투적이지 않고 세상과 싸우겠다는 강한 자의식의 긴장과 저항의식도 보이지 않는다. 무근육의 밋밋한 몸매가 이를 말해준다.

로댕의 조각에는 지옥 같은 세상에 대한 고통과 뒤엉킨 찌푸린 불만의 얼굴이 긴장된 근육과 함께 나타나 있지만, 신라의 저 사유상에는 그런 능위적(能爲的) 의지와 동시에 불만스러운 세상에 대한 저항이 결여되어 있는 것 같다. 그래서 부조리한 세상을 확 바꿔야겠다고 두 주먹을 불끈 쥐고 진군가를 목 터져라 부르는 이상주의자들의 혈기가 거기엔 없다. 오랜 세월동안 인류는 저런 이상주의자들의 기개를 너그럽게 봐주었다. 왜냐하면 좋은 세상을 만들려 하는 저들의 생각이 가상하게 보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제 인류는 저런 이상주의자들이 헛농사를 지어 왔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그런 깨달음은 세상을 새로 만들려는 이상주의적 구상을 흩어버리려는 철학사상으로서의 해체철학의 등장과 맞물려 있다. 서양의 해체철학은 동양의 불교와 노장사상과 상통한다. 세상은 인간의 이상적 생각을 적용시켜 수리될 수 있는 대상도 아니고, 도덕적 당위의 명령에 복종하는 기계도 아니다. 이미 우리가 두 번째의 글에서 세상은 헌집 수리하듯이 그렇게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노자가 ‘도덕경’ 29장에서 세상은 ‘신기(神器)’가 되어서 인간이 취득할 수 없다고 천명했다. 신기는 무한대의 큰 그릇의 의미로서 인간의 어떤 생각도 그 그릇을 다 채울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겠다. 이 말은 세상이 인간의 어떤 이상이나 고매한 도덕률로서 소유될 수 없다는 것을 뜻하겠다. 세상은 객관적 대상처럼 마음 앞에 서 있는 실재가 아니라, 세상 안에 살아가는 모든 마음의 기(氣)가 동시에 표출하는 복합적 욕망들의 그림이기에 세상은 욕망들의 환영(幻影)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노자의 이야기는 세상이 신기여서 소유적인 욕망으로 취득되지 않으므로 세상을 생각하는 욕망의 방식을 바꾸라는 것이다. 고매한 이상주의와 도덕주의가 어째서 세상을 소유하려는 욕망인가? 경제적 정치적 지배욕은 소유욕이라는 것을 사람들이 쉽게 알아차리는데, 이상과 도덕으로 세상을 고치겠다는 것은 소유욕이 아닌 것처럼 보인다. 그렇게 세간에 선전되어 왔었다. 그러나 이제 알아야 한다. 이상주의적 도덕주의의 설계로 세상을 다시 고치겠다는 발상도 형이상학적 소유욕이라는 것을. 왜냐하면 이상주의자나 도덕주의자들은 그들이 생각한 이상과 도덕률로서 세상이 지배되어 다스려지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마치 더럽고 부조리한 세상을 성스러운 새 이념으로 깨끗이 덮어버릴 수 있는 것처럼. 그런 욕망이 형이상학적 정신적 소유욕이다. 그런데 이상주의적이고 도덕주의적 이념이 보편적인 진리라면, 그런 이념을 소유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진리를 모독하는 말이 아닐까? 우리는 뒤에 때가 오면 보편성의 의미를 분석해 보겠으나, 여기서 먼저 보편적인 진리가 해와 달처럼 객관적으로 존재한다는 생각은 허구적이라고 나는 말하겠다.

해체적 불교와 노장사상의 가르침대로 세상은 한없이 복잡다단한 방식으로 존재하는 마음의 욕망이 그린 사이버에 불과하다면, 그 사이버 환영을 아무리 고치려고 애써 봐야 그것은 결국 인류가 그동안 헛되이 바친 도로(徒勞)에 다름 아니겠다. 우리는 기존의 구악을 일소하기 위하여 일으킨 인류의 제반 혁명이 곧 신악을 새로 낳는 역설로 둔갑해 왔다는 역사적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되겠다. 우리는 이런 도덕적 이상주의자들의 착각에 다시 속아서는 안 된다.

즉 우리는 세상을 우리의 이상대로 바꾸려는 설계도의 작성보다 세상을 바라보는 우리의 욕망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세상을 형이하학적으로나 형이상학적으로 소유하려는 욕망을 존재론적 욕망으로 마음의 방향을 전회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존재론적 욕망은 생소하고 쉽게 이해되지 않는 개념이겠다. 존재론적 욕망은 인간이 이상의 이름으로 세상을 지배하고 간섭하려는 소유의지의 포기와 함께 간다. 그런데 그것이 욕망인가? 인간의 마음은 기의 욕망이라는 것을 앞에서 언급했다. 이것은 인간의 마음이 좋아하는 것을 하고 싶어하는 기호와 같다는 것이다. 마음의 기호는 두 가지다. 하나는 소유하려는 본능적 기호로서 세상을 장악하려는 욕망이며, 또 다른 것은 산은 산이고 물은 물처럼 세상을 존재하는 그대로 다 긍정하면서 세상에 이익을 시여하려는 본성적 기호이다. 어디 산을 산처럼 물을 물처럼 안보는 사람이 도대체 있는가? 탐욕의 인간은 산과 물을 오직 돈으로서만 본다. 소유론적 욕망은 취득하려는 욕망이고, 존재론적 욕망은 주려는 욕망이다. 주려는 욕망만이 세상의 모든 것을 자기중심적 탐욕으로 생각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긍정한다.

주려는 욕망은 마음이 흥분해서 격정적으로 요동치지 않으며, 고요의 마음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이것이 본성의 욕망이다. 미륵반가사유상은 세상의 더러움은 본디 세상의 것이 아니고, 세상을 보는 마음들이 소유욕과 자아의지로 비뚤어졌기에 생긴 것이라고 믿는다. 저 사유상은 자아의 선의지로 세상을 다스리겠다는 생각을 포기하고, 소유욕과 자아의지를 버린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다.

그 사유는 지옥 같은 현실을 뜯어고치겠다는 능위적 사고가 아니라, 내 안에 있는 본성이 이익의 꽃을 피워서 세상에 그 이익을 보시하게끔 본성의 사유가 나타나기를 안온하게 기다리는 모습을 띠고 있는 것 같다. 로댕의 ‘생각하는 사나이’의 사유는 데카르트 이래로 개발된 ‘내가 생각한다(cogito).’의 철학이다. 그러나 반가사유상의 사유는 ‘본성이 생각한다.’의 철학이겠다.‘본성이 생각한다.’는 말은 ‘본성에 의하여 생각되어진다.’라고 말해도 괜찮겠다.

자아라는 개념이 거의 사라진 사유다. 자아가 거의 사라진 상태에서 내가 부자가 되어도 탐욕스럽지 않고, 벼슬이 높아도 거만하지 않고, 학식이 많아도 잘난 체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존재론적 욕망은 나의 욕망이 아니고, 본성의 욕망이다. 인간의 마음에는 이런 본성의 욕망이 있다. 앞으로 한국의 미래 교육은 이 숨어 있는 본성이 사유하고 활동하도록 도와주는 데로 가야 하리라. 세상을 심판하는 ‘코기토(나는 생각한다)’는 세상을 구원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코기토’는 자아의 자존심과 그것을 정당화하려는 욕망을 결코 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죽을 때에 내가 가져가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이승에서 존재해온 삶의 방식만이 저승으로 넘어갈 것이다. 죽음은 삶과 다른 방식으로 존재하는 기의 욕망이겠기 때문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철학

기사일자 : 2006-02-16    21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