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지도 29

[스크랩] 세계각국에서 발행된 고지도들

세계의 고지도▲동남양각국연초도(東南洋各國沿草圖.1880년)중국 왕조가 고구려의 실체를 인정했음을 보여주는 중국 고(古)지도들이 국내 최초로 대거 공개됐다. 이 지도는 옛 국가와 지도 제작 당시 현존 국가명을 흑백으로 대비해 표기한 동남양각국연초도(東南洋各國沿草圖.1880년). `고려.신라.백제'' 는 검은 바탕 위 흰 글자로, 지도제작 시기인 청(淸)때의 `조선''은 흰 바탕에 검은 글자로 표기돼 있다▲'조선왕국전도(Royaume de Core´e)-'프랑스 지리학자 당빌(J.B.B D'Anville)이 1737년.이 지도에는 간도와 우산도(독도)와 울릉도를 한국 동해안에 더 가깝게 그려 독도가 한국 영토임 을 명료하게 표시하고 있다. 이 지도는 독도연구보전협회와 독도학회가 공동으로 펴낸 소책자에는 '우..

[스크랩] 등산지도

가 가리왕산 가야산 가지산 가칠봉 간월산 감악산(원주) 강씨봉 계룡산 계방산 곡달산 공작산 관룡산 관악산 광덕산 구나무산 구병산 구봉산(진안) 국망봉(포천) 군자산 귀목봉 근 산 금산(남해) 금수산 금오산 금원산 금정산 기백산 나 낙영산 남대봉 내변산  내장산 노인봉 노추산  다 대둔산 덕숭산 덕유산  도락산 도명산 도봉산 도솔봉(단양) 두륜산 두타산 마 마니산 마이산 매봉산(원주) 명성산 명지산 모악산 무등산 미륵산(원주) 민주지산  바 발왕산 방문산 방장산 백덕산 백악산 백암산(장성) 백암산(울진) 백운봉(양평) 백운산(포천) 백화산(포성봉) 번암산(범암산) 변산  봉복산 부용산  북한산 불암산 비슬산 사 사달산 사량도지리산 사명산 사자산 삼도봉 삼성산 삼악산 상봉산 상산(서리산) 석기봉 석룡산 선운..

대한민국 探訪 2005.08.31

[스크랩] 중국 지역별 관광안내및 행정구역 지도

>>    관광명소 (23개성-대만포함, 5개자치구, 4개직할시, 2개특별행정구)            자료 모은 곳 : http://www.koreaweddingnews.com북경시상해시중경시천진시광서장족자치구내몽고자치구영하회족자치구신강위구르자치구서장(티벳)자치구감숙성강소성강서성광동성길림성귀주성복건성사천성산동성산서성섬서성안휘성요녕성운남성절강성청해성하남성하북성호남성호북성해남성흑룡강성대만성홍콩특별행정구마카오특별행정구   가져온 곳: [중국하문 래미안민박]  글쓴이: 옥이 바로 가기

Free Opinion 2005.08.20

[스크랩] 지도를 통해본 중국의 자연지형

전 이곳에서 "중국개황"이란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그 내용중에비교적 중요한 것이 바로 중국의 자연지형입니다. 자연지형에는여러가지 내용들이 포함되죠. 국토면적, 산맥, 하천, 분지, 고원...등등, 그리고 인구와 민족분포를 포괄합니다.  이 강이를 위해서 학생들에게 중국지도를 그리게하는 것이 필수입니다.손수 그림을 그려봐야지 공간개념과 지역특성의 개념이 일목요연하게스스로 정리되기 때문이다. 아래지도는 어느 학생이 그린 중국지도에하나입니다.(사진을 클릭하면 지도가 커지면서 분명하게 볼수 있음.) 중국은 거대한 국토면적을 갖고있죠. 크기를 한국과 비교하면한반도의 44배가 되고, 유럽이 전체 면적과 비슷하다고 합니다.세계에서 3번째로 넓은 국토를 갖고있고, 전체 인구는 약13억으로 세계 인구의 1/5을 차지합..

[스크랩] 북경에서 중국지도 그리기

전 이곳 북경에서 졸업을 하고 잠시 귀국을 미루고 있습니다.이곳 생활이 더욱 익숙해서인지 아님 목적에 제한된 침착보다는어쩜 중국에서 배운 좋은 좋이 좋은 곳이라는 현실주의에 익숙해서 인지도 모르죠. 결국 그래서 전 잠시 이곳 중국역사와 중국에 관한 지식으 전달하는곳에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한국 학생들에게 중국지도를그리는 숙제를 제출했죠. 중국의 행정은 비교적 복잡합니다. 중국은 모두 34개의 행정구역으로  그곳에는 일방 성(省)과 직할시 4곳, 소수민족자치구가 5곳, 특별행정구가 2곳으로 이루어 졌죠. 그리고 몇개의 고원과 몇개의 중요한 하천과또 커다란 호수 등등 다양한 자연환경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아마도 중국에 와서 중국말을 배우기에 급급했지 차분히중국지도를 그려보면서 중국지형의 다양함을 체..

[스크랩] 1909년 '간도는 조선 땅' 이란 지도 발견

“中의 ‘두만강 국경說’ 뒤집는 결정적 근거”1909년 '간도는 조선 땅' 지도 발견1712년 백두산 정계비도 “국경은 토문강”日帝 멋대로 淸에 영유권 넘겨 원인무효中 ‘동북공정’은 間島지배권 지키려는 것토문강의 존재를 분명히 밝힌 이 지도는 현재 한·중간의 국경선 문제, 한국의 간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해 중요한 의미가 있다. 1909년 청·일(淸日) 간도(間島)협약이 체결되던 시점에서 토문강과 두만강이 동일한 강이 아니라 별개의 강임을 나타내고 있는 이 지도는 간도협약이 실제 지리적 인식과는 별개로 맺어진 정치적인 것임을 드러낸다.  19세기 후반 조선과 청은 간도 영유권을 두고 분쟁을 벌였다. 을유(1885)·정해(1887) 감계회담의 핵심은 1712년에 설치된 백두산정계비의 ‘토문강(土門江)’의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