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59돌을 보내며 ③ 서정후 님께 드립니다. 6.25전쟁 59돌을 보내며 ③ 6.25전쟁은 단순히 남한과 북한간의 전쟁이 아니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 치르게 된 국제전쟁이었고 이데올로기 전쟁이었다. 국제전쟁이라 함은 남한 측은 UN군의 깃발 아래 16개국 군대가 참전하였고 북한 측은 북한, 중국, 소련이 한 편이 되어 .. 想像나래 마당 2009.06.28
[스크랩] 6.25 잊어야 하나, 가슴 속에 계속 꼽씹어야 하나 6.25 기념일, 아침을 먹고 조간 신문을 뒤적여 6.25 관련 기사들을 섭렵하였다. 장충체육관에서 기념식이 있었고, 여러가지 자질구레한 행사들이 있었다. 그중 나는 전쟁 기념관에서 있는 삼군의장대 사열을 가 보기로 작정하였다. 6.25, 나는 아무래도 6.25 세대인 것만 같다. 이 전쟁이 일어났을 때 나는 .. 想像나래 마당 2009.06.27
6.25전쟁 59돌을 보내며 ② 서정후 님께 드립니다. 6.25전쟁 59돌을 보내며 ② 6.25전쟁에서 우리나라가 공산주의 침략을 막아낼 수 있었던 것은 글자 그대로 천우신조(天祐神助), 하나님의 도우심이었다. 몇가지 예를 들어보자. 첫째는 전쟁이 일어 난지 불과 3일만에 서울을 점령케 되었던 인민군이 계속 남진(南進)하여 부산까지 .. 想像나래 마당 2009.06.27
6·25는 살아있다 현명한 사람(Wise People) 님께 드리는 와플레터 서비스입니다 6·25는 살아있다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마현리, 민통선 너머에 울진촌이 있다. 이 마을 사람들은 지금도 경북 울진 말을 쓰고 울진식 '덤벙김치'를 담가 먹는다. 6·25로 쑥대밭, 지뢰밭이 돼버린 벌판에 울진 사람 66가구 300여명이 옮겨온 것.. 想像나래 마당 2009.06.26
1956년부터 1970년대까지의 한강의 모습입니다 1956년부터 1970년대까지의 한강의 모습이다. 당시 카메라가 귀했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희귀한 볼거리다.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주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당초 지난달 25일 서울시청 앞에서 28일까지 전시된 뒤 선유도로 옮긴 것이다. 사진 속에는 50년 전 폭염을 피해 한강인도교 부근 백사장이나 뚝.. 想像나래 마당 2009.06.25
[스크랩] 잊지말자 6,25 전쟁 ;; 想起하자 6.25 戰爭 1950. 10. 1. 38선을 돌파하고 북진하는 국군용사들 1950. 10. 1. 38선을돌파하고북진하는국군용사들 1950. 10. 1. 38선을 돌파하고 북진하는 유엔군 북진하는 국군용사들 국군 환영 군중대회 (함흥) 1950. 10. 10. 함흥 부근의 한 동굴에서 공산군에 확살된 300여 명의 시신을 꺼내고 있 1950. 10. 13.. 想像나래 마당 2009.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