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2006 '한국과학을 빛낸 사람들' /한국을 빛낸 해외동포들 2006 '한국과학을 빛낸 사람들' 글쓴이: 김원은 http://cafe.daum.net/dongchon26/GZ97/347 올해 과학계는 우울한 소식으로 시작했다.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 성과가 가짜라는 사실이 최종 확인되면서 한국 과학계의 신뢰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다. 그러나 재미동포로 미국 과학계에 우뚝 선 서남표 .. 人物情報 參考 2008.08.15
[스크랩] 해외에서 우리나라를 빛낸 동포 1.박용향 박용향은 1948년생으로 현재 프랑스 국적의 해양 물리학자이다. 서울대 대학원에서 해양 물리학을 공부했으며 프랑스 브레스트 대학원에서는 해양 물리학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kaist 해양 연구소 선임 연구원과 제주대 교수, 서울대 교환 교수 등을 지냈다. 현재는 프랑스 국립 자연사 박.. 人物情報 參考 2008.08.15
신임 주한미대사에 첫 여성 스티븐스 임명 2008-08-02 기자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자의 블로그 보기 --> 한미 양국이 외교관계를 수립한 이래 주한미대사에 처음으로 여성이 임명케 됐다.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미 상원이 1일(현지시간) 본회의를 열고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미대사 지명자에 대한 인준안을 통과시킴에 따라 조만간 스티.. 人物情報 參考 2008.08.03
[스크랩] 류태영 박사를 만나고 류태영 박사를 만났다. 고생고생하며 성장한 그는 덴마크에서, 이스라엘에서 공부하여 우리나라에 '새마을 운동'을 창시한 사람이다. 전라북도 산골에서 태어나 코흘리개의 어린시절과 못먹고 헐벗던 그에게 5학년때 그가 살던 산골짜기에 세워진 개척교회와 전도사의 훌륭한 가르침으로 인생이 바뀌.. 人物情報 參考 2008.07.09
[스크랩] 퇴계(退溪) 이황(李滉) 퇴계(退溪) 이황(李滉) 이황은 사림이 훈구의 공신 세력으로부터 심한 수난을 겪었던 조선중기인 연산군 7(1501)년 12월 25일 안동 도산 온계동에서 태어났다. 공의 휘는 황(滉)이며 자는 경호(景浩)이다. 아호는 향리의 시내 이름을 따서 퇴계(退溪)라 하였으나 이외에도 도옹(陶翁), 계옹(溪翁) 등 여러 가.. 人物情報 參考 2008.07.06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독일/미국 물리학자) [Einstein, Albert] 출처: 브리태니커 목차 개요 초기생애와 경력 국제적인 환호 미국에서의 말년 아인슈타인--> 1879. 3. 14 독일 뷔르템베르크 울름~1955. 4. 18 미국 뉴저지 프린스턴. 독일의 물리학자. 개요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1930년 미국인은 독일에서 온 ... 2.. 人物情報 參考 2008.07.06
수도사(修道士) 안토니 서정후님께 드립니다. 수도사(修道士) 안토니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완전한 사람이 되고자 하거든, 가서 네 소유를 팔아서, 가난한 사람에게 주어라. 그리하면, 네가 하늘에서 보화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와서, 나를 따라라.” (마태복음 19장 21절, 표준새번역) 성 안토니(St. Antony.. 人物情報 參考 2008.06.23
[스크랩] 피카소의 여인들 피카소의 여인들과 그림 피카소는 여인들과 평균 10년 주기로 동거를 했지만, 정식 결혼은 일생에 두 번만 했다. 여러 여인들 중 7명은 피카소의 작품에 영감을 준 중요한 인물들이다. 피카소의 첫 여인은 페르낭드 올리비에. (1881 - 1966) 피카소가 처음 사랑한 여자는 유부녀였다. 1904년 파리로 영구 이.. 人物情報 參考 2008.06.18
천 경 자 천 경 자 1924. 11. 11 전남 고흥~. 도쿄[東京]여자미술전문학교를 다니면서 제22회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 〈조부상〉, 제23회에 〈노부〉를 출품했고 1944년 졸업했다. 8·15해방 후에는 전라남도 광주에서 교원 생활을 했다. 1955년 〈정 靜〉으로 대한미술원협회전에 출품하여 대통령상을 받았다. 1963년 .. 人物情報 參考 2008.06.12
Sibelius, Jean (1865-1957 Fin.) Sibelius, Jean (1865-1957 Fin.) 의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작품 47 Concerto for Violin and Orchestra In d minor op.47 (1903) 를 감상하겠습니다. 핀란드 국민 음악의 창설자인 그는 위대한 교향곡의 작곡자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모국의 민족 음악의 특징을 살려 독특한 멜로디와 리듬을 마련해 낸 작곡가이기도 하다... 人物情報 參考 2008.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