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해외에 망명했다가 전향하고 귀국한 이른바 ‘장포(藏胞)’. 티베트에선 1959년 대규모 민족 봉기가 일어난 뒤 이어진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탄압으로 영적 지도자 달라이라마를 포함,10만명이 넘는 망명자가 생겨났다. 이후 중국은 마오쩌둥(毛澤東)이 사망한 뒤, 티베트족에 대한 갖가지 ‘유화 정책’을 내놓으며 장족 귀환을 유도해 왔다.
1998년에야 고향에 돌아온 그는 “종교만이 유일한 것인 줄 알았지만 뒤돌아보니 살아남는 것이 제일이었다.”고 회고했다. 이어 “중국 정부는 우리를 부유하게 했다.”고 강조했다. 종교가 사람의 생각을 구속하는 바람에 티베트 정부는 도로도 만들지 못했고 주민 생활을 향상시키는 어떠한 일도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
“인도에서의 망명 생활이 인생 낭비였다.”는 일흔 노인의 압축된 ‘전향사(轉向辭)’에는 결국 풍요에 대한 애착이 강하게 묻어난다. 앞으로 칭짱철도가 티베트인에게 실어나를 것이 무엇이고, 그 대가는 무엇일지를 짐작게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중국의 여느 공항 청사보다 큰 라싸역 규모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재 하루 유동인구는 2000명도 안되지만, 역장은 “50년 뒤를 내다보고 지었다.”고 했다. 티베트에 대한 중국 중앙정부의 태도를 가늠케 하는 수치인 동시에, 철도가 실어나를 풍요의 분량을 점칠 수 있게 한다.
사실 중앙 정부는 이미 엄청난 물량 공세를 통해 티베트에 풍요를 전파해 왔다. 그 본격적인 출발은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이 시짱자치구 서기로 재직하던 198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후 서기는 그해 봄 발생한 독립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한 뒤, 당 중앙에 ‘티베트 발전 지원을 위한 10개 건의’를 제출한다.
|
그 건의가 받아들여지자 티베트는 1994∼2004년 800억위안, 현재 화폐가치로 매년 1조원이 훌쩍 넘는 액수를 중앙 재정으로 지원받게 된다. 도로·공항·발전소 건설 등 사회 인프라를 다지기 시작한 이 시기를, 니마츠런(尼瑪次仁) 시짱자치구 인민정부 부주석은 “티베트 역사의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그 위에 놓인 칭짱철도는 티베트인의 풍요에 관한 결정판인 셈이다. 니마츠런 부주석은 “향후 1t의 화물을 1㎞씩 수송하는 데 드는 물류 비용이 현재의 5.6마오에서 1마오까지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동시에 칭짱철도는 새로운 출발점이 되고 있다. 몇년 안으로 티베트 서부 르카저(日喀則)까지 철도를 연장, 인도 등 서남아시아 진출을 겨냥한 통로로 활용될 계획이기 때문이다.
철도가 높이 5072m의 산을 넘고 960㎞의 동토(凍土)를 지나 4000㎞를 넘게 달리는 이유를 헤아리기란, 실로 쉽지 않다.
글 라싸(拉薩) 이지운특파원 j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