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슈워제네거 주지사는 민주당 하원 지도부와 온실가스 규제를 위한 ‘AB32’ 법안 마련에 합의, 부시 대통령을 ‘무대 구석’으로 밀어냈다고 미 ABC 방송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01년 3월 국가별로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강제한 교토협약을 탈퇴,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비난받는 부시 행정부에 반기를 든 것이다. 교토협약은 지난해 2월 발효됐지만 미국의 불참으로 그 취지가 퇴색됐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이번 캘리포니아 주정부의 독자 법안 합의로 슈워제네거는 떠오르는 환경 지도자로, 부시 대통령은 반환경주의자라는 이미지가 굳어지고 있다. 뉴욕 타임스는 11월 중간선거에서 재선을 노리는 슈워제네거 주지사에게 의미있는 승리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캘리포니아주에선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등 주요 온실가스 배출을 2020년까지는 현재 총량의 25%를,2050년까지는 현재 총량의 80%나 감축해야 한다. 발전소와 대규모 공장, 레미콘 시설까지 엄격한 규제를 받는다. 캘리포니아주는 현재 미국 최대 거주지이자, 세계 12번째 온실가스 배출 지역이다.
AP통신은 일부 기업들이 캘리포니아주를 떠나는 등 경제적 타격도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론 의회와 다른 주정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새너제이 머큐리 뉴스는 ‘기후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국가적 모델’이라고 평가했다.
부시 행정부의 공식 입장은 교토협약에 반대하는 것이지만 공화당 안에서도 국가적 사안으로서 더 이상 회피할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이 교토협약 탈퇴를 철회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안동환기자 sunstor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