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政治.社會 關係

왜 最惡의 인간들이 권력을 잡나?

鶴山 徐 仁 2006. 7. 9. 18:28
하이에크의 분석: 저변층을 상대로 증오심을 부추기는 전술을 쓰다가 보면 자신의 정신도 망가져버린다.

조갑제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하이에크는 1899년에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 소련의 붕괴를 목격하고 1992년에 사망한 위대한 자유주의 사상가이다. 1974년에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그가 쓴 책중에는 1944년에 나온 '노예가 되는 길'(The Road to Serfdom)이 특히 유명하다. 이 책의 주제는 '왜 히틀러나 스탈린과 같은 전체주의 체제가 탄생하는가', '왜 사회주의는 필연적으로 전체주의로 갈 수밖에 없는가' 따위이다.

이 책의 한 章은 '왜 最惡이 頂上에 오르는가'이다. 국가반역적 정책을 지속적으로 펴고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는 金大中씨나, 저주의 言術로써 한 기업인을 죽음으로 몰고 갔던 盧武鉉씨, 그리고 車中에서 넥타이로 아내를 목졸라 죽여놓고 태연히 출근까지 했던 운동권 출신이 어떻게 하여 대한민국의 頂上인 청와대에까지 오르게 되었는지에 대한 명쾌한 분석이 이 책중에 있다.

하이에크는 이 책에서 인간을 두 부류로 나눴다. 한 그룹은 높은 교육을 받은 知的으로 우수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교양이 있기 때문에 생각과 취향이 다르고 어떤 특정한 가치관에 경도되지 않는다. 독재자들은 이들보다는 원시적이고 서민적인 본능을 가진 대중을 노린다. 대중이 꼭 무식한 것은 아니지만 비슷한 가치관을 공유하는 숫자가 많은 계층은 역시 低수준 계층이다. 이 계층은 독립성과 창조성이 결여되어 있다. 최대 군중을 지지자로 확보하기 위한 최대 공약수적인 정책과 戰略도 가장 수준이 낮을 수밖에 없다.

독재자들은 이 低수준 계층만으로는 만족하지 않는다. 이 지지기반을 넓히려 한다. 여기서 2단계 전략이 나온다. 양순하면서도 잘 속는 대중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한 선전戰이다. 이 그룹은 자신의 고유한 신념체계가 취약하므로 미리 만들어놓은 가치관을 그들의 귀속으로 크게 자주 주입시키면 그들의 열정과 감정을 흥분시켜서 전체주의 정당원으로 흡수할 수 있다.

세번째 전략은 네그티브 프로그램이다. 인간의 본성은 긍정적인 프로그램보다는 외부의 敵에 대한 증오심이나 내부의 잘 사는 사람들에 대한 질투심을 중심으로 뭉치기 쉽게 되어 있다. '우리'와 '그들'을 대칭시키고, 외부 그룹에 대한 공동의 싸움을 선동하는 것은 지지그룹을 공동의 행동으로 단합시키기 위한 신념을 만들어내는 데 필수적 구성요소가 된다. 외부의 敵에 대한 투쟁심을 선동하는 것은 자신들의 지지층으로부터 무조건적인 충성을 불러내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나치는 내부의 敵으로서 유태인들에 대한 증오심을 선동했고, 소련에서는 地主들에 대한 적개심을 선동하여 지지층을 확대 강화했다.

하이에크는 전체주의자들이 선전매채를 이용하여 인간 본성이 가진 야수성을 선동하면 저변층 사람들의 지지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인간이 가진 열등감이나 부정적 본능을 자극하기 위해서는 그 숫법이 이들 저변층에 먹혀 들 만큼 저질스러워야 한다.

한국의 좌파정권이 그동안 방송 등 선전매체를 총동원하여 벌여온 계층갈등 조장, 양극화 선동, 서울강남주민 공격 숫법은 하이에크가 말한 바 전형적인 전체주의 숫법이다. 이런 좌파 저질문화 속에서는 그런 데 어울리는 사람들만이 출세한다.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이면 개인의 양심은 함몰되고 집단적인 가치관에 종속된다. 그 집단적인 가치관이라는 것은 다분히 좌파적이다. 좌파적이란 것은 생산수단을 국유화하고 私생활에도 권력이 개입하겠다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독재가 아니라 전체주의적이다.

개인은 양심이 있지만 집단은 없다고 한다. 사회주의, 전체주의 등의 집단주의는 인간 생명의 존귀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 집단주의는 필연적으로 인권, 양심, 자유를 탄압하게 된다. 전체주의는 기본적으로 저질들의 정권이기 때문에 증오, 갈등, 분열, 욕설, 거짓말 같은 저급한 문화를 퍼뜨린다. 이런 가운데서 최악의 인간들이 그 사회의 꼭대기에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 하이에크가 한 62년 전의 예언이었다. 이 예언은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적중하고 있다.
입력날짜 : 2006-07-07 (11: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