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모음 음악 마당

[스크랩] 베토벤 - 교향곡 4번 (Symphony No.4 in B flat major, Op.60)

鶴山 徐 仁 2006. 2. 4. 14:12

Symphony No.4 in B flat major, Op.60

베토벤 / 교향곡 4번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전곡 연속듣기

제1악장 Adagio - Allegro vivace

소나타 형식 Adagio- Allegro Vivace. 약한 Bb음으로 시작하는 서주는 곧 Bb단조를 불러서 깊은 감정을 나타내는 주제를 제시한다. 이에 대 응하는 주제가 속단조로 하행하는 변질음을 따라 침체된 감정으로 계속 진행된다. 그 뒤에 주제가 다시 나타나고 응답 주제는 반음 높인 f단조로 진행된다. 이 부분에서는 교묘한 엔하모니크(이명 동음) 전환 이 있어 베토벤의 화성법과 전 조법의 비약적인 발전을 보인다.

아다지오의 느린 서주를 지나 바이올린이 몇 차례 솟구치려는 시도를 반복하고 드디어 격렬하게 솟구치면 제시부의 제1주제를 바이올린이 활발하게 수놓는다. 긴장감을 지닌 경과부가 있은 후 목관악기들의 제2주제가 경쾌하고 부드럽게 이어진다. 전개(발전)부는 제1주제를 중심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새로운 재료도 사용하고 있다. 악기의 용법에는 특히 팀파니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힘을 더해 정점에 도달하는 순간 재현부가 시작된다. 재현부는 제시부의 재료를 재현시킨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코다가 나오며 악장을 마무리한다.


1악장 (Adagio - Allegro vivace)

제2악장 Adagio

Eb장조, 3/4박자, 전개부 없는 소나타 형식. 음계 진행에 의한 주제의 가능성 추구가 멋진 결론을 끌어낸 좋은 예이다. 주음에서 도중에 하나의 악센트가 되는 장식을 놓고 순차적으로 하강하여 이번에는 단 2도음 아래의 도입음을 보조음적으로 도입하여 상행한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비올라의 반행에 대한 멜로디와 첼로의 5도 하강 동기의 배경이다. 클라리넷이 주도하는 제2주제도 음계적 성격이 강하다.


2악장 (Adagio)

제3악장 Allegro vivace

Bb장조, 3/4박자. 이 악장은 빠르기와 곡상에서 볼 때 , 미뉴엣이라기 보다는 확실한 스케르쪼의 성격이 강하다. 트리오 부분은 운포코 메노 알레그로(Un poco meno allegro)로 약간 박자를 늦추고 있다. 트리오 부분 다음에 5마디의 접속구를 두어 주부에서는 다 카포(Da capo) 하지만, 반복 때는 이 접속구를 생략하여 축소된 제3주부를 진행하는 변칙적인 형식을 갖는다.

스케르초풍의 미뉴엣인 3악장은 몸을 가눌수 없을 정도로 행복한 감정이 깃들어 있는데, 그렇지만 클라이버는 견고한 구조감각으로 건강한 흥겨움을 그려가고 있다. 베토벤은 8번 교향곡을 제외한다면, 이후 미뉴에트를 다시 쓰지 않았습니다. 본질적으로 가벼운 미뉴에트를 거부한 첫 작품입니다.


3악장 (Allegro vivace)

제4악장 Allegro ma non troppo

Bb장조, 2/4박자. 소나타 형식. 몸을 비비꼬게 하는 듯한 16분음표 동기가 바이올린으로 제시되는데, 마치 자연적인 연결의 조합을 바꾼 것 같은 기지와 장난끼가 들어있다. 이들이 차례차례 현악부의 움직임을 바꿔 일으키며 흐르다가, 진행 방향을 돌연 바꾸며 나와 약동감을 자아낸다. 매력이 철철 넘치는 악장은 4착장이다. 들판에 돌아 다니는 모든 정령들을 모두 휩쓸어가는 회오리바람처럼 세차게 휘몰치는 피날레는 너무 색체적이어서 눈이 부실지경이다.


4악장 (Allegro ma non troppo)

작품개요 및 구성

이 곡은 1806년 그의 나이 36세때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의 일생중 가장 조용한 시기의 작품이다. 베토벤의 교향곡의 작품번호중 홀수를 투쟁적인 작품이라 하고 짝수를 평화로운 작품이라 말하는 이도 있는데 그럴 듯한 이유가 있는 것 같다. 이 작품은 3번과 5번에 비하면 아주 대조적이다. 그러기에 슈만은 말하기를 이것은 북부 유럽의 신화에 나타나는 2인의 거인 사이에 끼인 그리이스의 미녀라고 했다. 이 곡을 작곡할 즈음 베토벤은 슐레지아의 틀로파우 근교 글렌츠의 리히노프스키 후작의 관사에 머물고 있었다. 당시 베토벤은 이 곳에 머물면서 기분 좋은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이 시기에 그는 요제피네 폰 다임 백작 미망인과 사랑에 빠져있었다. 결국 이들의 사랑은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이 시기가 베토벤에게 있어서는 가장 평온하고 행복했던 시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토벤은 교향곡 5번의 작곡을 일시 중단하고 4번을 단시일에 작곡하였으며, 곡 자체가 간결하고 명랑하게 된 것이다. 완벽한 고전적 형식미가 넘치는 명작으로, 전편에 흐르는 상쾌한 행복감과 우아한 표정, 평온한 훈기가 아주 매력적이다.

베토벤의 교향곡 아홉 곡을 살펴보면, 묘하게도 홀수 교향곡은 대체로 장대하고, 격정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 말할 수 있고, 짝수 교향곡은 홀수 교향곡에 비해서, 작은 규모이면서 조금은 밝게 작곡되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정열을 불태우고, 조금 쉬고, 불태우고, 쉬고 하듯이 말입니다. 제4번 교향곡도 제3번 교향곡 <영웅>과, 제5번 교향곡 <운명>, 이 두곡의 장대함과 웅장함에 끼어 있는 교향곡입니다.

슈만이 왜 그리스의 미녀로 표현했는지 이해가 가시죠. 그리스미녀라는 말의 또 다른 의미는, 3번 교향곡을 작곡하고 몇 년이 지난 후에 쓰여진 곡으로 보기에는, 오히려 1,2번 교향곡과 4번 교향곡이 형식상 더 닮아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형식미를 그리스 미녀라고 표현 했으리란 상상도 할 수 있겠습니다. 이 곡의 편성은 플룻이 한 대라는 것 이외에는 1번 교향곡과 같습니다. 제4번 교향곡은, 음악적 내용이 우미하고, 풍부한 시상이 즉흥적으로 흘러나와, <낭만적 교향곡>이라 불리기도 하며, 베토벤의 교향곡 중 가장 아름다운 교향곡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교향곡 제3번 "영웅"을 1803∼1804년에 완성한 베토벤은 그 후 한동안 오페라 창작에 모든 관심을 기 울였다. 그 무렵인 1806년에 교향곡 제4번은 아주 짧은 시일 동안에 완성했다. 초연은 1807년 3월 로 프코비츠 공작의 저택에서 베토벤 자신의 지휘로 거행되었다. 곡은 오페루스도르흐(Franz von Oppersdorff)백작에게 헌정되었다.

악기 편성은 플루트, 오보에 2, 클라리넷 2, 파곳 2, 호른 2, 트럼펫 2, 팀파니 그리고 현악 5부 구성이다. 플루트가 1관이고 호른이 2관으로 구성되는 등 악기 편성이 전작인 "영웅"보다 축소되어 이 작품을 고 전적인 구조로의 회기로 볼 수도 있겠지만, 제1악장에 38마디에 걸친 서주부 등을 살펴보면 "영웅"과도 다른 방향으로 새롭게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악장에는 나중에 작곡되는 교향곡 제6번 " 전원(Pastorale)"에서 중요한 몫을 하는 음형과 비슷한 소재가 많이 보인다. 특히 제1악장 주부가 시작되는 9번째 마디에는 목관으로 연주하는 하강 음형이 나오는데, 이것은 베토 벤이 뭔가 연주하는 하강 음형이 나오는데, 이것은 베토벤이 뭔가 신성한 기운이 다가옴을 표현하는 경 우에 즐겨 쓰는 방법이며 "전원"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베토벤의 예술과 생애

1m 63cm의 단구, 배가 불룩 나온 뚱보에 커다란 머리, 무성한 잡초 같은 두발에다가 하늘을 향해 부릅뜬 두 눈, 두 틈한 입술, 방안 구석구석에 구겨 던진 오선지와 피아노 건반 위에 말라 버린 빵 조각, 도무지 악성의 서재의 이미지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베토벤의 거실…. 예술의 영웅. 악성 베토벤의 생활은 이렇게 분방했다.

베토벤은 1770년 12월 12일, 독일 라인강변의 중세의 고도 본 Bonn 에서 궁정 가수 요한과 궁정 요리사의 딸 마리아 막달레나 사이의 큰아들로 태어났다. 베토벤은 7세 때 악계에 데뷔했다. 아버지 요한은 아들을 제2의 모차르트로 만들기 위해 나이를 한 살 줄여 6세 어린이 베토벤 이라는 레벨로 그를 궁중 음악회에 데뷔시켰다.

베토벤은 카톨릭교회의 오르간 주자 네퍼 에게서 작곡법을 배워 13세 때에는 변주곡을 출판하기에 이르렀다. 17세에는 빈에 가서 모차르트를 만났고, 19세 때에는(1790년) 하이든을 만나기도 했다. 1792년, 21세 때 빈으로 진출, 그곳에서 평생 음악활동을 했다. 빈에서 하이든에게 교향곡 작법을 배운 후부터 그의 작풍은 크게 전환되어 그의 작품에서는 정열적인 표현이 강조되었고, 낭만성이 짙게 나타나기 시작, 뒤이어 다가온 낭만파 음악의 초석이 되었다.

그는 중년기에 불행하게도 청각을 잃어 한때 유서를 쓰는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으나 투지불굴의 정신으로 고뇌를 극복, 걸작 <영웅교향곡>, <운명교향곡>, <전원교향곡> 등 9개의 교향곡을 써서 세계를 감동시킨다. 이 밖에도 그는 100여곡에 이르는 협주곡과 소나타, 현악 4중주곡 등 수 백곡의 명곡을 남겼다. 예술의 영웅 베토벤은 1827년 3월 26일, 그의 최후의 집, 빈의 "검은 스페인관" Schwarzspanierhaus 에서 57세의 생애를 마감했다.

베토벤의 교향곡 (交響曲 symphony)

관현악을 위한 긴 악곡 형식. 대개 3~4개의 커다란 악장으로 이루어지며 그 가운데 적어도 1악장 이상은 소나타 형식을 취한다. 1750년 이전까지 교향곡은 다양한 기악곡을 가리키거나, 혹은 성악곡에 붙은 기악 전주곡이나 간주곡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17세기 중반에 루이 쿠프랭은 비올과 콘티누오를 위한 그의 작품에 교향곡이라는 말을 사용했고, 그밖의 작곡가들은 콘서트, 모테트, 스피리추얼 마드리갈 등의 연주에 대한 전주곡으로 '신포니에'(sinfonie)를 작곡했다.

<교향곡의 아버지>라 불리는 하이든은 이것을 형식적으로 더한층 정비하여 음악적으로 많은 걸작을 남겼다. 하이든의 교향곡은 4악장을 본체로 하고 제 1악장 알레그로는 소나타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가끔 이 알레그로에는 장중하고 완만한 도입이 붙어 있으며, 제2악장은 완만한 악장으로 복합3부형식이 많이 쓰였고, 제3악장은 무도적인 고전모음곡의 유일한 잔존물인 미뉴에트, 제 4악장이 론도 형식이 되어 점차 여러 가지로 변화해갔다.

모차르트의 교향곡은 이탈리아 양식의 가요성을 도입한 것이 최대의 업적인데, 형식적으로 하이든의 전통을 지키면서도 많은 독창성을 지니고, 또 내용적으로 하이든보다 훨씬 복잡하며 인간적이다. 교향곡을 내용 및 형식에서 완성하여 최고의 예술로 승화시킨 것은 베토벤이다. 베토벤은 9개의 교향곡을 남겼는데, 제3교향곡에 이르러 교향곡을 매우 대규모적이고도 독자적인 음악성을 지닌 차원에까지 비약, 확장시켰다. 4악장 구성인 점은 전통을 따르고 있으나, 제 4악장은 형식적으로 보아서 하이든의 전통을 따르고 있지 않다. 또한 이 교향곡은 이른바 순환방법에 의해 구성되고, 모든 악장이 동일한 발생동기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이리하여 베토벤의 교향곡은 대규모임과 동시에 지극히 유기적인 다악장의 악곡이 되었다.

제4 교향곡에서는 빠르고 느린 악장과 스케르초가 그 위치를 서로 바꾸었다. 제5·6 교향곡은 베토벤의 제2기를 대표하는 최고걸작인데, 제6 교향곡은 <전원>이라 이름붙이고 회화풍 터치가 도입되어 있다. 제7·8 교향곡은 제2기에서 제3기로의 과도기에 속하는 작품인데, 제7 교향곡은 <무도의 교향곡>이라 불릴 만큼 율동적인 음악이다. 제9 교향곡은 무엇보다도 제4악장에 성악(4명의 독창자와 혼성합창)을 도입해 완전히 새로운 의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 교향곡에서 베토벤은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나 극점에 이르고 있다. 이같이 교향곡은 베토벤에게서 정점에 이르러 여러 가지 변화를 겪으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1. 영웅 교향곡 (英雄交響曲 Eroica)

베토벤의 교향곡 3번 E♭장조.
33세 되던 1803년 여름에 작곡에 착수하여 1804년 봄에 완성시켰다.

2. 운명 교향곡 (運命交響曲 Schicksal)

베토벤의 교향곡 5번 작품 67.
1803년부터 1808년초에 걸쳐 작곡되어 1808년 12월 안 데어 빈 극장에서 초연되었으며, 후원자였던 로프코비츠 후작과 라주모프스키 백작에게 헌정되었다. 이 곡의 표제인 '운명'은 1악장의 제1주제인 4음 동기에 대해 베토벤 자신이 '운명은 이렇게 문을 두드린다'라고 설명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이 작품은 표제의 암시를 통해 음악 외적인 것을 표현하는 표제음악과는 거리가 멀다.

3. 전원 교향곡 (田園交響曲 Pastorale Symphonie)

베토벤의 교향곡 6번 작품68. '전원 교향곡'은 베토벤 자신이 붙인 표제로 표제음악(標題音樂)의 선구적인 작품이다. 1808년에 작곡하여 같은 해 12월 빈의 데어 안 빈 극장에서 교향곡 5번과 함께 초연되었다. 귓병으로 빈 근처에 있는 하일리겐슈타트에서 요양하면서 그곳의 자연에 감명을 받아 작곡한 곡으로 교향곡 5번과 마찬가지로 로프코비츠 공작과 라주모프스키 백작에게 헌정되었다. 교향곡의 일반적인 악장 숫자보다 하나가 많은 전체 5개(3악장인 스케르초 악장 다음에 새로운 악장을 끼워넣음) 악장으로 1악장 '전원에 도착해서 생긴 명랑한 감정의 눈뜸', 2악장 '시냇가의 정경', 3악장 '농부들의 즐거운 춤', 4악장 '폭풍', 5악장 '양치기의 노래, 폭풍 뒤의 기쁜 감사의 노래' 등 전원생활의 풍경들을 암시하는 묘사적인 표제들이 붙어 있다. 2악장 '시냇가의 정경'에서는 플루트·오보에·클라리넷이 한데 어울려 나이팅게일의 새소리를 모방하는 등 여러 곳에서 풍경을 묘사하는 기법들이 사용되었다. 자연풍경을 묘사하고 그 느낌을 암시한 곡들은 이미 18세기부터 수백 곡 작곡되어왔다. 비발디의 〈사계〉가 좋은 예이다. 하지만 이 작품의 특성은 이러한 풍경묘사 기법에 있다기보다는 풍경에 대한 작곡가의 주관적 감정의 표현에 있다.

4. 합창 교향곡 (合唱交響曲 Choral)

베토벤의 교향곡 9번 D단조 작품 125.
베토벤의 마지막 교향곡이다. 베토벤이 이 곡을 구상한 것은 본 시절로, 프랑스 계몽주의와 칸트·실러의 영향을 받은 젊은 베토벤은 일찍부터 실러의 송시 <기쁨에 부쳐 An die Freude>에 곡을 붙일 생각을 하고 있었다. 1822년 런던 필하모닉 소사이어티의 위촉으로 본격적인 작곡에 들어갔고 1824년에 완성했다. 1824년 10월 빈에서 <장엄 미사 Missa Solemnis>의 몇 악장 등과 함께 초연되었다. 베토벤 자신의 감독 아래 실제적인 지휘는 미하엘 움라우프가 맡았다. 연주가 끝난 뒤 베토벤은 귓병으로 인해 박수갈채를 듣지 못하다가 독창자들이 그를 청중 쪽으로 돌려세워주자 비로소 연주가 성공적인 것을 알았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기악곡으로 작곡되던 고전 교향곡에 성악을 포함시킨 최초의 시도로, 성악곡 사이에 삽입되던 간주곡의 성격을 갖던 바로크 시대 신포니아의 전통을 이어받은 작품인 동시에 낭만주의의 문을 열은 베토벤의 혁신적 성향을 대변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자료출처: 참마음 참이웃 / 음원출처: 전남중등음악사랑연구회>


 
출처 : 블로그 > 세포네 | 글쓴이 : 세포 [원문보기]
 

 
출처 : 블로그 > 은혜(恩惠) | 글쓴이 : 은혜 (恩惠)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