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科學. 硏究分野

미국 섀튼 박사, 황우석 교수 질투하나?

鶴山 徐 仁 2005. 11. 14. 12:17
섀튼 박사 진의 추측 무성… 안규리 "줄기세포 허브 독자운영 가능"
제럴드 섀튼 미국 피츠버그대 교수가 배아줄기 세포 연구를 둘러싸고 황우석 교수팀과 결별 입장을 밝힌 것과 관련, 그 진의를 놓고 다양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섀튼 박사가 겉으로 내세운 결별사유는 난자 제공 과정의 윤리문제다. 2004년 줄기세포 연구 과정에 황 교수팀이 비윤리적인 방법으로 난자를 제공받았다는 게 섀튼 박사의 주장이다.

워싱턴 포스트지는 12일 "황 교수가 실험실의 한 여자 연구원으로부터 난자를 제공받았다는 소문이 돌고 있으며 이 같은 소문이 사실일 경우 통제 권한을 지닌 사람이 연구원으로부터 난자를 제공받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 윤리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며 "난자를 제공한 여성들이 불법적으로 돈을 받았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난자 채취 논란은 이미 지난해 4월부터 제기됐고, 섀튼 박사는 지금까지 침묵으로 일관해 왔다. 섀튼 박사와 황 교수는 20개월 동안 공동연구를 하며 호흡을 맞춰왔다. 지난달 서울을 찾은 섀튼 박사는 황 교수를 '형제(brother)'라 부르며 "나의 모든 것을 상의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서 친밀함을 과시했다.

이와 관련, 황 교수팀의 한 연구원은 사석에서 "섀튼 박사는 자기 것만 챙기는 욕심꾸러기"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섀튼 박사가 그동안 한국에서 많은 것을 배웠고, 이제는 독자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된 것 같다"면서 "앞으로 그의 행보를 유심히 더 지켜봐야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현재 동물복제 전문가로 통하는 섀튼 박사는 원래 미국 위스콘신대학에서 난자의 미세 소기관을 연구했다. 그러나 지난 2000년 에모리대학의 앤터니 챈 교수 등 다른 동물복제 전문가들과 오리건주립대로 옮기면서 이 분야 전문가로 탈바꿈했다. 이어 함께 이적한 교수들과 곧 결별하고 피츠버그대학으로 다시 옮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 교수팀은 배아줄기세포 연구성과를 발표할 때마다 섀튼을 공동저자로 올렸다. 모든 실험이 서울에서 이뤄졌는데, 미국에 있는 섀튼 박사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었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섀튼 박사는 미국에서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하기 어려워지자 상대적으로 난자 연구가 쉬운 한국을 선택했다는 비아냥도 받았다.

일부에서는 이번 사안이 줄기세포 연구를 둘러싼 헤게모니 싸움이라는 해석도 있다. 섀튼 박사의 발언을 보도한 미국 언론들 역시 이번 기사를 지나치게 확대 보도하고 있어 이번 사태가 한국의 생명 공학 연구 발전에 대한 미국 사회의 질시를 대변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안규리 서울대 의대 교수는 "섀튼 박사가 공동연구팀에서 빠지더라도 줄기세포 허브 운영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14일 밝혔다.

안 교수는 이날 연합뉴스와 전화인터뷰를 통해 "어제 연구자들끼리 모여 밤 11시까지 대책회의를 가졌다"면서 "섀튼 박사측의 진의를 확인하기 위해 접촉을 시도했지만 아직까지 연락이 닿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에 우리와 협력을 원하는 다른 많은 줄기세포 연구자들이 있기 때문에 연구에 큰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안 교수는 "황 교수를 음해하고 다니는 사람들은 예전부터 있었기 때문에 이번 사안이 새로운 사실은 아니지만 황 교수는 지금 너무 많이 속상해 하고 있다"면서 "오늘 중으로 연구팀의 입장을 밝힐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센터, 연합뉴스<digital@joongang.co.kr>
  2005.11.14 09:55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