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하늘을 지배하지 않고 적을 정복한다는 것은 꿈을 꿀 수도 없는 것이며, 꾸어서도 안 된다. 오직 항공력만이 다른 항공력을 격파할 수
있다.
- 세바스키 -
전쟁의 수단으로 이용 가치 인식
제1차 세계대전에서 항공력은 정찰 및 제한적인 지상군지원을 위한
전력으로 활용되었으며, 전쟁에서 주전력으로 운용되지 못하였다. 당시의 전쟁은 상대국의 지상 및 해상전력의 격파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장기간에
걸친 소모전쟁으로 돌입하는 것이 당시의 전쟁양상이었다. 따라서 운반능력과 파괴력 및 정확성에 한계가 있었던 항공전력은 지상군의 보조병력으로서의
가치와 활용이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장식품(Accessory)정도의 군사력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항공기술의 발달은 점차 3차원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기 시작했고, 지상 및 해상에 대한 항공력의 지원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각국은 항공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두헤, 트렌챠드, 미첼 등 많은 항공전략사 상가들에 의해 대두된 이론은 장차 전쟁수행에 있어서 항공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공군의 독립에
많은 기여를 하게 되었다. 이들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앞으로 어떠한 전쟁에 있어서도 하늘의 우위를 점한다는 것이 승리를 위해 절대적인
선결조건이라는 당시 상황으로는 혁신적인 새로운 이론들을 발표하였다.
항공기술의 발전에 따른 항공력의 역할 증대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항공전략가들에 의해 주창되었던
항공력의 잠재력이 현실로 나타나게 되었다. 전쟁을 수행하면서 항공력은 필수적인 요소임이 증명되었고, 때때로 주요 전쟁목표를 완수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전쟁에서 항공력(공군)이 주도적인 역할을 맡음으로써 육군이나 해군의 승리는 항공부대와 밀접한 협조없이는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이 기정사실화 되었다. 1차 대전 이후 지상전에서 획기적인 전술의 발전은 탱크의 활용이었다. 탱크의 등장으로 진지전과 지구전을 탈피할
수 있었으며, 과거 기병에 의한 신속한 기동을 대신하게 되었다. 보병부대에 대한 방호와 공격을 겸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지상전에서 필수적인 무기가
되었다. 그러나 항공기 탑재용 대전차포의 개량과 로켓포탄을 장착하게 됨에 따라 전쟁 중반이후에 있어서 전투폭격기는 전차에게 가장 무서운 적이
되었다. 항공기술의 발전에 따라 항공기의 임무는 다양화되었다. 전투임무 이외에 공중보급과 부대공수는 적 지상군의 저항이나 지형적 불리를 극복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지상작전수행에 있어서 종전의 작전 개념을 수정할 만큼 큰 영향을 주게 되었으며, 낙하산부대는 특수부대로써의 중요성이 인정되어
전술공군의 일부로 활용되었으며, 후에 독립병과로 발전하게 되었다. 항공에 관한 기술의 진보에 따라 항공전략과 전술에 미친 영향은 多大하였으며 그
중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레이더였다. 독일이 실시한 영국본토에 대한 폭격에서 영국의 성공은 레이더에 의한 탐색과 방공전투지휘를 기술적으로
조화시킨 지휘조직에 의한 것이었다. 후에 연구 개발된 각종 항공탑재 레이더로 인해 정밀도가 점차 향상되었으며 전략폭격부대의 위력을 배가시켰다.
또한 보조탱크의 장착은 전투엄호기의 항속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전술면에 미친 영향이 지대하였다. 그 외에도 항공기와 폭탄의 성능
향상은 공중전과 지상목표에 대한 선택적 파괴가 가능하여 전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전쟁의 평가 및 교훈
육상, 해상, 공중의 모든 전장에서 승리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항공우세의 획득이
필수적인 요건이었다. 이러한 항공우세를 위해 각국들이 항공전력을 어떻게 양성 및 운용을 하였는가에 따라 그 결과는 좌우되었다. 영국공군의 편성과
장비는 폭격기집단과 본토방어에 필요한 전투기집단 및 연안비행집단을 가장 중시하였으며, 전쟁초기에 지상군과의 합동작전은 경시되었다. 미국도 영국과
같은 방침이었으나 점차 지상 전투 직접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연합국공군은 계획적인 전략폭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였다. 독일의 군수생산시설을
먼저 파괴하고, 그 결과 상대적인 항공우세를 획득해서 독일의 군수생산과 교통망을 철저히 파괴하고, 전의를 말살하여 무조건 항복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전략폭격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로는 연합국의 지도자들이전 화면략폭격의 의의와 목적을 잘 이해하고 꾸준한 준비로 그 목적달성에 필요한
폭격기를 생산하였으며, 다른 병과와도 잘 조화를 이뤄 균형 있는 공군을 육성하였고 전반적인 항공지휘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기 때문이다.
반면에 독일공군은 지상군과의 직접지원을 가장 중시하고 있었다. 또한 지휘체계에 있어서 독립된 결정체계를 갖지 못함에 따라 독자적 전략항공작전을
실시하는데는 그 편성과 장비면에 결함이 있었다. 독일공군이 궁극적으로 전쟁에서 패배한 원인은 지상군 위주의 전술적인 전격전에 기초하여 단기결전을
목표로 하였으며 장기 적 안목에 입각한 전략공군의 운용에 대한 명확한 계획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전쟁말기에 히틀러의 독단에 의한 잦은
목표의 변경과 지상군 지원에 급급한 전술적 임무에 치중하는 등 일관성 없는 운용이 주원인이었다. 태평양전쟁에서 미국은 효율적인 전략폭격과
항공력의 운용으로 공중우세를 달성할 수 있었으며 전쟁의 승리를 가져올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은 지상전에 의한 대소전(對蘇戰)을 중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항공전략이나 편성, 장비까지도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였고, 항공력에 대한 인식 또한 충분하지 못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을
경험하면서 항공력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각국은 독립된 공군을 창설하기 시작하였다. 공중우세 없이는 지상전과 해상전의 승리는 있을 수
없으며 전쟁의 승리를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였으며, 그러한 의미에서 2차 대전은 공중우세를 위한 항공력의 건설과 전문가에 의한 운용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일깨워 주었다.
자료 출처: http://www.airforce.mil.kr/
'航空 宇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전, 월남전 (0) | 2005.08.03 |
---|---|
베를린 공수작전 (0) | 2005.08.03 |
1차 세계대전부터 2차 세계대전 전까지 (0) | 2005.08.03 |
항공전략사상 종합 (0) | 2005.08.03 |
존 와든의 '전략적 마비' 이론 (0) | 200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