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歷史. 文化參考

[스크랩] 만주는 우리에게 '가상공간'이었다.

鶴山 徐 仁 2005. 7. 31. 12:10
우리에게 만주는 ‘가상공간’ 이었다


△ 일제 남만주철도주식회사가 남만주철도 철로 확장공사를 벌이는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만주학회 학술회의
“역사교육에 등장안해 현실태 보지 못해”

만주학회(회장 한석정)는 오는 3일부터 이틀간 부산 동아대에서 ‘동아시아 역사와 기억 속의 만주’라는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연다. 이번 회의는 일제가 중국 동북지방에 세운 ‘만주국’(1932­1945년)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자리다. 일제 패망과 함께 지도에서 사라진 이 나라는 민족주의 논란의 시원이 복합적으로 엉킨 역사공간이다.

 

예컨데 <당대비평> 겨울호 권두글에서 안경환 서울대 교수(법학)는 “일제 시대의 올바른 평가”를 거론하며, 만주를 언급했다. 안 교수는 “일제 시절에 만주와 조선반도에서 이룬 성과는 박정희 정권의 기아탈피와 경제중흥의 모토 뒤에 숨은 초혼제가 됐을 것”이라고 말한다. 안 교수의 글에서 만주(국)는 근대화와 관련된 어떤 표상이다.

 

미국의 중국사연구 권위자인 듀아라 교수는 안 교수와 비슷하면서도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초청강연을 펼칠 듀아라 교수는 발표문을 통해 “일본은 만주국에서 근대발전국가의 모형을 창출했다”고 평가한다. 다만 그는 “동시에 (국가의) 잔혹한 폭력을 동반한 ‘정신분열의 사회’였다”고 덧붙인다.

 

만주국의 역사에 남겨진 우리 민족의 자취도 분열적이다. 최봉룡 중국 연변사회과학원 교수는 “당시 만주지역에 거주했던 조선인들은 (만주국의 다른 민족에 비해) 반만·항일 투쟁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동시에, 일제의 침략전쟁동원과 병참기지화정책에 가장 주동적으로 부응했다”고 짚는다. 무장투쟁의 ‘항일’과 관동군 장교로 나서는 ‘친일’의 절정이 바로 만주국을 배경으로 동시에 전개됐던 것이다. 특히 일제가 만주지배를 꾀하는 과정에서 이 지역에 이주한 “조선인들의 ‘고토회복의식’을 부추기고 부활시켜 친일 세력을 확보했다”는 최 교수의 설명은 팽창적 민족주의와 친일이 만나는 ‘원형’까지 암시한다.

 

비록 뒤틀린 형태이긴 하지만, 동아시아 역사에서 처음으로 ‘여러 민족의 공동체’를 구성하려는 실험이 이뤄진 것도 만주국이었다. “만주국은 일본이 대동아공영권을 형성해 가기 위한 중핵”(야마무로 신이치 일본 교토대 교수)이었고, “민족국가가 인민의 의지를 대표하던 시대에 민족이라는 합법성을 가지지 않았던 국가”(듀아라 교수)였다. 일본인을 정점으로 민족·인종간 차별적 위계구조가 존재했지만, 한족·만주족·러시아인·조선인·몽골인 등 동북의 민족들이 여러 정치·경제적 이해관계 아래 근대 국가를 공동으로 형성한 거의 유일한 사례이기도 하다.

 

이번 학술대회가 갖는 가장 큰 의미는 이렇듯 의미심장한 만주국에 대한 우리의 ‘무지’를 일깨우려는 데 있다.신주백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은 발표문에서 만주국이 우리 역사(교육)에 전혀 등장하지 않았다는 점을 짚는다. 그 결과 “만주는 한민족의 탄생공간으로 원초적 민족주의를 자극하는 공간”으로만 남았을 뿐이다. “만주를 현실태로 보지 못하게 하는 감성적 만주상”은 “우리가 배워온 만주가 ‘가상공간’이었음을 의미한다”고 그는 지적한다. 지금 한국 사회가 붙들고 있는 민족주의 논쟁의 모든 화두가 만주국이라는 역사 공간 속에서 아직까지도 뒤엉켜 있는 셈이다. (인용처: 한겨레신문)


 
가져온 곳: [북경이야기(北京故事)]  글쓴이: 지우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