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國際.經濟 關係

[사설] 대기업 연봉 일본의 1.5배, 어떻게 국제 경쟁 이기나

鶴山 徐 仁 2025. 2. 17. 12:41

오피니언 사설

[사설] 대기업 연봉 일본의 1.5배, 어떻게 국제 경쟁 이기나

조선일보


입력 2025.02.17. 00:15업데이트 2025.02.17. 09:39

경영자 단체인 경총 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 대기업의 평균 연봉(8만7130달러)은 일본(5만6987달러)의 1.5배, 유럽연합(8만536달러)의 1.1배에 달했다. 국민소득 대비 대기업 임금 수준도 한국이 1인당 GDP의 157%로 일본(121%), EU(135%)보다 훨씬 높았다. 그만큼 인건비 부담이 커 기업 경쟁력을 훼손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이연주

한국 대기업의 노동 생산성이 높아서 임금을 많이 받는 것이 아니다. 근속 연수에 따라 임금이 자동 인상되는 연공형 임금 체계에다 강성 노조의 과격한 임금 투쟁으로 생산성을 초과한 임금 인상이 매년 지속돼 온 결과다. 최근 20년간 EU 대기업의 임금 상승률은 85%에 그쳤고, 일본은 오히려 6.8% 줄어든 반면, 한국은 158% 뛰었다. 그 결과 한국 대기업의 대졸 초임(5만7568달러)이 일본(3만6366달러)의 1.6배에 달하는 수준까지 올라갔다.

대기업의 과도한 임금 인상 탓에 대기업·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급속히 벌어지고 있다. 2002년엔 중소기업 평균 임금이 대기업의 70%였지만, 2022년엔 58%로 내려앉았다. 임금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중소기업은 극심한 구인난에 시달리고, 청년층은 중소기업 일자리를 기피하며 구직난을 호소하는 이중고가 지속되고 있다.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국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대기업들도 상시적인 인력 구조 조정에 나설 만큼 연공형 임금 체계의 부담을 버거워하고 있다.

지금처럼 30년 근속 직원의 보수가 신입 직원의 3배에 이르는 상황에선 대기업도 정규직 채용을 기피할 수밖에 없다. 과거 고도 성장기에 적합했던 호봉제 방식의 임금 체계는 지속 가능하지 않고 기업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선진국처럼 하는 일에 따라 급여가 정해지는 직무급을 기본으로 하고 성과급을 혼용하는 식으로 임금 체계를 바꿔야 한다. 생산성이 임금에 반영되는 방식으로 수술하지 않고서는 한국 경제가 글로벌 경쟁에서 버티기 어렵다.

#사설


많이 본 뉴스

[태평로] 법원·헌재, 갈등 종결자 아닌 생산자 되려 하나

사법부의 권위가 요즘처럼 추락한 적이 있었나. 시위대가 법원에 침범해 난동을 부리고, 헌법재판소 공격을 모의하는 글이 인터넷에 올라오는...


[朝鮮칼럼] 조국의 2019년과 윤석열의 2025년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사건 심리가 막바지로 치닫고 있지만 탄핵 반대 기세가 여전하다. 최근엔 우파 진영이 광화문과 여의도로 나뉘었...


[조용헌 살롱] [1482] 한강 밑에 흐르는 우중수

한자 문화권에서는 물을 1번으로 꼽는다. 화(火)가 2번이고 목(木)이 3번, 금(金)이 4번, 토(土)가 5번이다. 왜 물이 1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