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人物情報 參考

쇼펜하우어가 말하는 ‘100세까지 살아야 하는 이유’[강용수의 철학이 필요할 때]

鶴山 徐 仁 2024. 10. 14. 12:41

문화 > 강용수의 철학이 필요할 때

 

쇼펜하우어가 말하는 ‘100세까지 살아야 하는 이유’[강용수의 철학이 필요할 때]

 

  • 동아일보  업데이트 2024년 10월 14일 11시 59분 입력 

쇼펜하우어 “100세까지 살 이유와 방법을 터득하라”

쇼펜하우어.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스

매년 9월 10일은 세계 자살예방의 날이다. 올해 강사로 초대받은 필자는 쇼펜하우어의 염세주의가 사실 장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는 점을 무엇보다 강조했다. 높은 자살률과 낮은 출산율은 대한민국의 존립을 위협하는 가장 큰 위험 요소다. 쇼펜하우어는 자신의 경험을 쌓는 데 40년이 걸리며 그것에 대한 해석을 다는 데 30년이 걸린다고 한다. 우선 70년은 무조건 살아보라는 것이다. 70년을 채우지 못한 인생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부족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70살을 넘기면 이제 더이상 사는 데 의미가 없는지 묻는 분들이 있다.

쇼펜하우어는 인도의 ‘우파니샤드’의 견해에 따라 자연스러운 인간의 수명을 백 살로 보았다. 그 이유는 아흔 살을 넘겨야 사람이 편안한 죽음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뇌졸중과 같은 큰 병에 걸리지 않고 경련도 없이, 숨이 가빠 힘들어 하거나 얼굴이 창백해지는 일도 없이 식사를 마친 후 앉은 채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다. 그것은 “죽은 것이 아니라 다만 살기를 멈추는 죽음”이다. 따라서 100세 이전에 세상을 떠나는 것은 때가 이른 죽음이다. 또한 ‘구약성서’에는 인간의 수명을 70세로 정하는데, 건강하다면 80세가 인생의 기준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짦고 긴 인간의 수명은 숫자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 충분히 늙어서 죽는 것이 자연의 섭리라면 젊을 때 죽는 것은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는 일이다. 많은 죽음의 원인이 되는 질병도 비정상적인 것이며 또한 자살도 더욱 자연스러운 방법이 아니다. 인간은 70~100세 사이에 언제나 죽을 수 있지만 사투를 벌이지 않는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준비를 늘 해야 한다.

인간은 나이가 들어 늙어갈수록 젊을 때보다 인생의 지혜를 더 알게 된다. 행복이 쾌락의 증가보다는 고통의 감소나 부재에 있다는 점이다. 죽음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하게 된다. 노년에는 돈이나 명성, 권력을 더 얻으려고 애쓰지 말고 큰 고통 없이 숨을 거두는 죽음을 최고의 행복으로 여겨야 한다. 건강을 더 얻으려고만 하지 말고 적당히 잃는 법도 알아야 한다. 더 이상 젊어지려 애쓰지 말고 잘 늙어가는 과정을 받아들여야 한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나이가 들어가면서 ‘기력이 떨어지는 것은 슬픈 일이지만 필연적인 일이자 동시에 고마운 일’이기도 하다. “죽음의 준비 작업으로 볼 수 있는 그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면 죽음이 너무 힘들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100세까지 잘 늙어서 몸의 힘이 서서히 빠져야 마지막에 살려고 발버둥치는(사투를 벌이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쇼펜하우어의 생각은 우리가 흔히 호상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

100세의 장수를 누리기 위한 비법을 쇼펜하우어는 다음 두 가지 예를 들어 말한다. 등불에 비유하자면 “기름은 얼마 없지만 심지가 매우 얇아서 오래 타는 경우와 심지가 무척 굵지만 기름도 많아서 오래 타는 경우가 있다.” 기름이 생명력이라면 심지는 생명력을 소모하는 방식이다. 서른여섯까지는 ‘원금에 붙는 이자’처럼 오늘 생명력이 다 떨어져도 내일이면 다시 생긴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원금을 갉아먹는 손실처럼 적자가 커져 쉽게 원상복구가 되지 않는다. 나이가 들수록 손실에 가속도가 붙기 때문에 건강뿐만 아니라 돈(자본)도 아껴 써야 한다. 청춘이 행복했던 시간이고 노년은 슬픈 시간이라고 한탄하지 말고 우리는 “청춘의 힘을 아껴 써야 한다”는 것이다. 정신이든 신체든 젊을 때 너무 혹사해서 소진해서는 안된다. 쇼펜하우어가 예로 들 듯이 어릴 때 천재라고 소문이 났던 조숙한 사람이 공부를 너무 열심히 하느라 정신력을 소모하면 나중에 늙어 평범한 두뇌의 소유자가 된다. 우리에게 주어진 유한한 생명력을 소진하지 않도록 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것은 나이가 들수록 더 중요해지는 재산(돈)에도 똑같이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