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사건 인사이드] 郭측근들 "연봉 올려달라" 郭에 수차례 요구 / 조선일보

鶴山 徐 仁 2012. 3. 1. 14:13

 

[사건 인사이드] 郭측근들 "연봉 올려달라" 郭에 수차례 요구

  • 안석배 기자. 김연주 기자
  •  

     

    입력 : 2012.03.01 03:05

    [곽노현 교육감 '편법인사' 발단은]
    "과장·국장 위에 비서실"… 중요 정책 결정할 때 과장·국장이라도 비서실 협의 거쳐야
    학생수 비슷한 경기보다 비서실 규모 두배 더 커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이 그동안 내부 직원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강행 추진해온 '측근 챙기기용(用)' 인사 가운데 일부를 29일 철회함으로써 이번 인사에 문제의 소지가 있음을 사실상 자인(自認)했다.

    곽 교육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자기가 추진해온 편법 승진·채용 인사 가운데 "승진 인사를 철회한다"고 밝히면서 "이들은 능력과 학력, 경력 모두 뛰어난데 지금까지 공무원 7급으로 일하면서 큰 희생을 치렀다"고 말했다. 이들이 하위 직급으로 일하는 등 희생한 데 대한 보답 차원에서 승진을 추진했다는 것이다.

    승진 인사 대상이었던 인사들은 교육감 비서실 소속 보좌관 5명으로 곽 교육감의 취임 초기인 지난 2010년 7월부터 순차적으로 서울시교육청으로 들어왔다. 대부분 곽 교육감과 선거운동 때부터 같이 일했던 사람들이다.

    이날 곽 교육감은 이들을 '동지(同志)'라고 부르며 각별한 애정을 표시했다. 곽 교육감의 전폭적 신임 아래 이들 보좌관은 그동안 서울시교육청 내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중요 정책을 결정하려면 과장·국장이라도 (이들 측근과) 반드시 협의하는 게 관행으로 굳어졌고, 실무 담당자의 기안은 이들의 사전 스크린(점검)을 통과해야 정책으로 결정된다"면서 "비서실이 서울시교육청 정책 결정 과정의 중심에 있다"고 말했다. 학생인권조례와 혁신학교, 무상급식 확대 등 그동안 시교육청이 추진해온 대부분의 정책이 비서실에서 틀을 잡아 결정해 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시교육청 직원들 사이에서는 '과장·국장 위에 비서실 있다' '비서실에서 하라는 것만 하면 된다'는 말까지 돌고 있다고 한다. 한 직원은 "국장·과장이 지시하는 것보다 비서실 지시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분위기"라고도 했다.

    본지 취재 결과 서울시교육청 비서실은 다른 시·도보다 규모도 훨씬 컸다. 전국 16개 시·도교육감의 비서실 인원(기능직 제외)은 서울이 9명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강원·충남이 6명, 부산 5명 등이었다. 서울과 학교와 학생 수가 엇비슷한 경기도는 4명이었다.

    이번 인사 파문은 곽 교육감이 측근들로 채운 규모 큰 비서실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필연적인 부작용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시교육청일반직공무원노조 관계자는 "곽 교육감이 측근들로 구성된 비서실 직원들의 편법 승진과 임금 인상을 원칙 없이 추진하다 결국은 사고가 난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비서실 직원들은 지난해부터 곽 교육감에게 "임금을 올려달라"고 수차례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7급 공무원의 연봉은 약 4000만원인데, 그 돈으로는 생활하기에 부족하다는 이야기를 했고 곽 교육감도 이에 동조했다는 것이다. 결국 곽 교육감 측이 계약기간이 끝나지 않은 비서진에 일괄 사표를 받은 뒤 6급으로 재채용하려는 무리수를 둔 것은 측근들의 임금 인상을 염두에 뒀던 것으로 보인다. 6급으로 승진하면 연 1000만원의 임금이 오른다.

    "보좌관들의 스펙을 만들어주기 위해 승진을 추진했다"는 말도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들이 나중에 좀 더 좋은 조건으로 다른 조직으로 옮기려면 높은 직급이 유리하다"며 "곽 교육감이 그런 것까지 감안해 인사를 추진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