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政治.社會 關係

뒷골목 재개발

鶴山 徐 仁 2008. 10. 20. 18:35

 

현명한 사람(Wise People) 님께 드리는 와플레터 서비스입니다


뒷골목 재개발  
 

  •  

  • 서울 종로 '피맛골' 이름은 조선시대 고관들이 타고 다니는 말을 피해 아랫사람들이 다닌다는 뜻의 피마(避馬)에서 유래했다. 행차가 지날 때까지 엎드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해 숨는 골목이었다. 그 곳에 선술집과 국밥집이 번창했다. 조선 후기엔 몰락한 양반들이 국밥집을 차려놓고 체면 때문에 휘장 아래로 팔뚝만 보이며 밥상을 내밀었다 해서 '팔뚝거리'라고도 불렀다.

    ▶ 피맛골엔 값싼 안주와 요깃거리가 있어 대학생들도 부담없이 찾았다. 1979년 종로의 입시학원들이 도심 과밀화를 막는다는 명목으로 4대문 밖으로 밀려나기 전엔 재수생들도 많았다. 종로에서 최루탄이 터지면 피하는 곳이라고 해서 '피연(避煙)골'로도 불렸다. 1980년대 이후 문인·음악가·학자 등이 모이던 선술집 '시인통신'도 이곳에 있었다. 시낭송회, 출판기념회가 열리고 밤새 술판이 이어지던 문화의 아지트였다.

  •  

     

  • ▶ 그들이 새벽이 되면 몰려가 쓰린 속을 달랬던 곳이 청진동 골목이다. 그곳엔 한때 해장국집이 30여 곳이나 됐다. 3대째 장사하는 청진옥 해장국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배달시켜 먹을 정도로 즐겼다고 한다. 기생집이 많았던 청계천 남쪽 다동·무교동에도 먹자골목이 생겼다. 주변에 오피스 건물이 들어서면서 부민옥·오륙도 같은 음식점들이 사랑을 받았다. 70여년 된 추어탕집 용금옥은 1973년 남북조절위원회 참석차 서울에 온 북한 대표가 "아직 그대로 있느냐"고 물어 화제가 됐다.

    ▶ 시민과 함께 부대껴온 서울 4대문 안 도심 뒷골목들이 사라지고 있다. 종로 1가 교보문고 뒤에서 3가 사이 일부만 남았던 피맛골도 곧 없어지고 청진동과 다동·무교동 골목도 헐리고 재개발된다. 당주동·도렴동·신문(新門)동 골목도 철거가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는 종로와 중구의 26곳에서 재개발을 진행 중이고 앞으로 140곳을 더 개발할 예정이다.

    ▶ 일본 도쿄의 뒷골목 시타마치(下町) 동쪽엔 에도시대의 흔적이, 서쪽엔 메이지시대 풍광이 남아있다. 독일 뤼벡시(市)도 중세 때부터 내려온 거리 모습을 지켜가고 있다. 우린 낡았다는 이유로 뒷골목을 허물고 고층 건물을 올리고 있다. 옛 정취를 문화적 재산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시인 신경림은 '못난 놈은 서로 얼굴만 봐도 반갑다'고 했다. 뒷골목엔 큰 길에선 느낄 수 없는 친근함이 있다. 그곳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낯설지 않다. 그들의 애환이 뒷골목 역사다. 뒷골목 이야기를 살리는 재개발이 아쉽다.

     

  •                                                                                                                      

  •                                                                                                                      - 김홍진 논설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