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총선은 여야가 공히 공천 몸살을 앓으면서 인물 중심의 백병전으로 흘렀다. 무소속이나 당적변경 출마자가 속출하고 ‘친박 연대’라는 희한한 당명까지 나오는 등 전선이 불명확했다. 자유선진당이 충청권서 강세를 보이는 등 지역구도도 여전했다. 이 바람에 유권자들은 정당과 후보의 정책과 비전을 평가할 겨를조차 없었다.
그렇다 하더라도 각 정당은 총선 민의를 겸허히 수용해야 한다. 특히 한나라당은 이번 선거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여 옷깃을 여며야 한다. 독주의 유혹을 떨쳐내고 야당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무엇보다 새 정부 출범 과정에서 ‘강부자 내각’이니 ‘고소영 내각’이니 하는 비판을 받았다는 사실을 뼈아픈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인사 실패 못지않게 그 이면에 깃든 독선을 경계해야 한다는 말이다. 신여권은 더는 참여정부의 국정실패에 따른 반사적 지지에 기대지 말고, 국리민복을 증진하는 성과를 가시적으로 보여줘야 한다.
민주당은 참여정부의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에서 간판을 바꿨지만, 지난 대선에서 참패했다. 이번엔 원내1당 자리마저 내주고 개헌저지선에 훨씬 미달하는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민의와 동떨어진 잣대와 아마추어리즘으로 독주하다가 국민의 외면을 받은 열린우리당과는 다른 개혁 정당으로 민주당이 거듭나야 할 이유다.
우리는 이번 총선결과가 강도 높게 정치 개혁을 추진하라는 국민적 요구를 담고 있다고 본다. 정치권은 오로지 당략적 시각에서 무한정쟁을 벌이는 ‘여의도식 정치’의 구태를 청산해야 한다. 여야는 앞으로 인위적 정계개편보다는 합리적 토론과 타협으로 생산적 정치를 펼쳐나가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