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國際.經濟 關係

글로벌 3차 버블 꺼지나

鶴山 徐 仁 2007. 11. 25. 10:37

저금리 시대 끝나고 유동성 축소…

글로벌 3차 버블 꺼지나
전문가 “버블 끝물 단계”
中 증시 500% 뛰고 선진국 집값도 폭등
1·2차 버블때와 달리 후폭풍 심각할 듯

이지훈 기자 / 김홍수 기자

 

 

“전 세계 자산 버블이 마지막 단계에 와 있으며 지금은 자산을 팔 때다.”(아시아 외환위기를 예견한 미국 증시 분석가 마크 파버·일명 닥터 둠) “중국 증시 버블은 언젠가 붕괴될 수밖에 없다. 문제가 심각해지기 전에 터뜨리는 게 낫다.”(조지프 스티글리츠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올 들어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부실 사태 등으로 주식·부동산 등 세계 자산 시장이 요동치면서 2000년대 이후 형성된 글로벌 자산 버블이 붕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주식시장의 경우 8월과 10월, 11월 중순에 각각 한 차례씩 세계적인 주가 급락 사태가 있었다. 글로벌 부동산시장도 치솟기만 하던 집값이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하락세로 돌아서는 등 불안한 모습이다. 이제 파티는 끝난 것일까?

◆80년대 이후 세 번째 대형 버블

세계 경제는 지난 20여년간 버블 형성과 붕괴 과정을 반복해 왔다. 1980년대에는 일본에서 부동산·주식 버블이 한껏 부풀다가 붕괴했고, 1990년대엔 미국을 중심으로 IT(정보통신업종) 버블이 터져 심각한 후유증을 낳았다. 최근의 글로벌 자산 버블은 1980년대 이후 세 번째로 나타난 대형 버블이다.

하지만 이번 3차 버블은 그 정도와 범위 면에서 1, 2차 버블을 능가한다. 최근 버블의 대명사처럼 거론되는 중국 증시의 상하이주가지수는 2005년 1000 이하에 머물렀으나, 2년여 만에 500% 급등하며 최근 한때 6000을 돌파했다. 신흥시장 25개국 주가를 종합한 MSCI이머징마켓지수도 5년 만에 400% 이상 뛰었다.

▲ 많은 경제 전문가들이 중국 증시 버블을 경고하고 있지만, 중국 투자자들은 아랑곳 하지 않고 오늘도 증권사 객장에 몰려 들고 있다. 사진은 지난 6월 초 중국 상하이(上海)의 한 증권사 객장. /블룸버그

반면 1차 버블 당시 일본 닛케이지수는 1984년 저점에서 1990년 정점까지 약 300% 급등했으며, 2차 버블 당시 미국 나스닥지수는 1998년 저점에서 2000년 최고치까지 240% 오르는 데 그쳤다.

또 이번 3차 버블은 과거와 달리 투자 지역이 세계 전 지역, 투자 대상은 원유와 금·옥수수·미술품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된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가 한층 진전된 데다, 첨단 금융 공학이 발달했기 때문이다. 작은 밑천으로도 돈을 빌려 큰 투자를 하는 레버리지(leverage) 효과도 급격히 커졌다.

정문건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원장은 “자산 버블의 범위와 심도(深度)가 과거보다 훨씬 커졌기 때문에 버블 붕괴의 후(後)폭풍 역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3차 버블 형성 원인은?

글로벌 3차 버블이 형성된 근본 원인은 2000년대 들어 미국이 주도한 세계적 저금리 현상에 있다.

지난 2000년 IT 버블 붕괴 후 미국은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대(大) 완화 정책(great moderation)’으로 불리는 통화 팽창 정책을 폈다. 연 6%이던 정책금리를 1년 만에 연 1%대까지 급격히 끌어내린 뒤 3년 동안 1%대를 유지했다. 당시 일본이 이미 제로(0) 금리의 ‘유동성 함정’에 빠져 있는 가운데, 주요 선진국들도 미국의 저금리 정책을 그대로 추종했다.

IT 버블 붕괴의 쓴맛을 본 투자자들은 주식 투자 대신 앞다퉈 돈을 빌려 집을 사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최근 10년간 아일랜드의 집값은 3.5배, 영국·스페인은 3배, 미국·프랑스·호주 등은 2배씩 뛰었다. 부동산부터 시동을 건 21세기의 버블 행진은 2003년부터는 주식시장, 최근에는 상품시장으로 옮겨 붙었다.

과거엔 저금리 정책으로 물가가 오르면 나중에 통화 당국이 금리를 올려 거품을 뺐다. 하지만 이번엔 달랐다. 중국이 저임금 노동력을 바탕으로 값싼 공산품을 전 세계에 공급하면서 물가가 안정세를 보인 것. 이 때문에 세계 각국은 저금리 기조를 10년 가량 지속할 수 있었고, 버블도 계속 부풀어만 갔다.

◆지금은 버블의 끝물?

하지만 3차 버블을 이끌어 온 글로벌 유동성의 힘이 서서히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인플레 압력에 직면한 세계 각국이 2004년 이후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고, 중국의 저물가 약효도 떨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이로 인한 유동성 축소의 파괴력은, 금리에 가장 민감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사태를 통해 여실히 드러났다.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글로벌 유동성이 축소되는 쪽으로 이미 방향을 전환했으며, 이는 글로벌 자산 버블이 거의 끝물에 와 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썬쟈(沈佳)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중국은 베이징 올림픽 개최 확정 후부터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큰 폭으로 뛰고 증시도 과열 조짐을 보였다”면서 “2008년 올림픽이 끝나면 투자심리가 위축돼 부동산, 증시가 조정 국면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스페인도 바르셀로나 올림픽 개최가 확정된 1986년부터 5년간 집값이 250% 상승했다가 올림픽 개최 이후 최대 50%까지 폭락한 예가 있다.

하지만 버블은 항상 마지막에 더 활활 타오르기 마련이다. 최근 다소 주춤해지긴 했지만, 지난 9월 미국이 서브프라임 쇼크를 진정시키기 위해 금리 인하를 단행한 이후 두 달여 동안 이머징마켓 주가가 평균 16% 올랐다.

버블이 언제 꺼질지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버블은 경제학보다는 심리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
 

선진국 버블 곪아 터지니 신흥국 버블 새로 돋아나…

[글로벌 3차 버블 꺼지나]
美·유럽 부동산 냉각… “미국인 200만명 집 잃을것”
中증시 최근 하락 불구 “내년엔 8000” 낙관론 일색

홍콩=송의달 특파원 / 뉴욕=김기훈 특파원

 

 

#장면1= 중국 상하이(上海) 시내 셴샤루(仙霞路)에 있는 궈타이쥔안(國泰君安)증권사. 중국 3대 증권사 가운데 하나인 이 증권사의 객장은 3개 층에 걸쳐 있는데, 대학생부터 70대 노인까지 주식 투자자들로 늘 문전성시다.

이 회사는 올 들어 20만 위안(약 2500만원) 이상 투자하는 고객에게는 2, 3층에 별도의 컴퓨터와 자리를 마련해 주고 있다. 100만 위안(약 1억2500만원) 이상을 예탁하면 칸막이된 별도의 방까지 제공한다. 한 직원은 “담요와 도시락까지 가져와 먹고 자는 시간까지 아껴 투자하는 사람도 여럿 있다”고 귀띔했다.

#장면 2= 미국 캘리포니아주 중부의 스톡턴(Stockton). 인구 30만명의 소도시인 이곳 주택단지에 가보면 ‘헐값 매각’ 간판이 줄줄이 세워져 있다. 최근 이 도시는 ‘주택압류 1번지’란 명예롭지 않은 별명도 얻었다. 27가구당 1가구가 주택을 압류당해 미국 도시 중 압류율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이 지역 저소득층 주민 상당수는 수년 전 저리(低利)의 변동금리로 집값의 100%까지 대출을 받아 집을 샀다. 그러나 최근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이후 금리가 급상승하면서 빚을 갚지 못해 주택을 압류당하는 사람들이 속출하고 있다.

한쪽에서는 새로운 버블이 계속 부풀어 오르고, 다른 한쪽에서는 버블이 꺼지고…. 최근 글로벌 자산시장은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버블 붕괴 우려 아랑곳 않는 중국 증시

중국은 최근 한 달간 급격한 주가 하락을 겪었다. 한때 6000포인트를 넘었던 중국 증시는 최근 5100포인트대까지 추락했다. 이 때문에 한 달 동안 상하이와 선전 A주의 시가총액은 무려 4조8326억 위안(약 577조원)어치가 허공으로 증발했다.

하지만 중국인의 투자 열기는 오늘도 꺾일 줄을 모른다. 지난 14일 하루에만 291억4900만 위안의 자금이 중국 증시에 새로 유입돼 단일 하루 자금 유입액으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우샤오추(吳曉求) 이코노스미트는 “2020년까지 중국 증시의 시가총액은 지금의 배로 커질 것”이라며 “국내외 자금 유입이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오상증권(招商證券)과 상하이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등 중국 금융기관들은 “위안화 절상, 중앙정부의 긴축정책 같은 불안요소가 아직 남아있기는 하지만, 내년에는 상하이지수가 7000~8000에 이를 것”이란 낙관론 일색이다. 많은 해외 전문가들이 버블 붕괴를 우려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미국, 유럽 부동산 버블 꺼지나

미국, 유럽의 부동산 시장도 작년까지는 중국 증시처럼 뜨거웠다. 지난해 미국의 주택 가격은 7.7% 상승했다. 집값이 계속 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신용 등급이 낮은 사람도 어렵지 않게 빚을 얻어 집을 샀다.

그러나 올여름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터지면서 주택시장은 단번에 얼어붙었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Stiglitz) 뉴욕 컬럼비아대 교수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 여파로 아마 내년에는 미국인 약 200만명이 살 집을 잃고, 이들이 집을 내놓으면 부동산 가격은 더욱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10년간 집값이 매년 10%씩 올랐던 유럽에서도 집값 거품이 빠지고 있다. 1990년대 집값이 3배나 올랐던 스페인의 경우도 지난 7월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프랑스의 주택가격도 3분기(7~9월)에 떨어지기 시작, 10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
 

“수익률 눈높이 낮추고, 자산 일부 현금화 검토”

개인투자자, 버블 어떻게 대처하나
“차이나펀드 줄이고 원자재 등 테마형 펀드에 관심을”

이경은 기자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중국 증시의 거품 붕괴 우려 등의 변수들이 맞물리면서 주식·외환 등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금융 환경이 급변하면서 투자자들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재테크 전문가들은 “금융시장 변동폭이 클 것이라는 전제 하에 위험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재테크 전략을 짜야 할 때”라고 강조한다.

① 기대수익률 낮춰야

전문가들은 우선 투자자들이 기대 수익률 눈높이부터 낮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리은행 박승안 PB팀장은 “올 상반기와 같은 전 세계적인 주가 급등은 다시 오기 힘들고 위험도 커진 만큼 은행 예금보다 좀 더 벌겠다는 자세로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② 일부 현금화후 바겐세일 노려라

김동균 신한은행 PB팀장은 “신흥시장에 투자했던 기존 투자자라면 이미 수익이 15% 이상 나있을 경우가 많을 것”이라며 “불안한 시기에는 일단 수익을 실현하고 관망하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정연호 외환은행 PB팀장도 “잠시 비를 피해 머니마켓펀드(MMF)나 자산관리계좌(CMA) 등에 자금을 넣어 놓고 불안 요인이 해소되는 즉시 투자를 노리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올 초 차이나펀드 등에 투자해 100% 가까이 이익을 낸 일부 거액 자산가들은 현금화한 뒤 자금을 짧게 운용하면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엿보고 있다고 한다. 위기가 휩쓸고 간 뒤의 주식·부동산 시장의 ‘대(大) 바겐세일’을 노린다는 것.

③ 중국펀드 대안으로 테마형 펀드 주목

한국씨티은행 손경화 지점장은 “차이나펀드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면 다소 줄여 균형을 맞춰야 한다”면서 “차이나펀드의 대안으로는 원자재, 가치주, 소비재 등 테마형 펀드를 고려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안전 추구형 투자자라면 최근 은행이나 저축은행들이 내놓고 있는, 연 6~7%대 고금리 특판 정기예금을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