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山의 草幕舍廊房

敎育.學事 關係

[김미라 교수의 부모를 위한 교육특강] (8) 학습된 무기력,가면 쓴 우울증

鶴山 徐 仁 2007. 6. 18. 21:23

 

“얼굴 표정이 어둡고 별일도 아닌 일에 잘 울고 마구 짜증을 내요.” “성적이 뚝뚝 떨어져요.” “끝없이 뭔가를 먹으려고 해요.” “잠이 너무 많아져 자도자도 더 자려고 해요” “학교 가기를 거부하고 친구들과 몰려다니며 엉뚱한 행동을 해요.” “컴퓨터 게임이나 하려고 하고, 못하게 하면 벌컥 화를 내곤 해요.” 아동기나 청소년기 아이들이 갑자기 이런 행동을 보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우울감이 원인일 가능성이 꽤 높습니다. 아이들의 우울 행동은 사람들이 흔히 알고 있는 어른들의 우울 행동과는 양상이 사뭇 다릅니다. 성인들은 우울하면 식욕이 저하되지만 아이들은 폭식을 하고, 성인들이 불면증을 보인다면 아이들은 잠이 많아집니다. 성인들의 우울증이 세상에 재미있는 것이 하나도 없다며 무감동을 보인다면, 아이들은 재미를 쫓아 인터넷이나 컴퓨터 게임에 몰두합니다. 무기력해지기보다는 과잉 행동을 보이고 집중력도 저하돼 성적이 급락합니다. 그래서 어린이나 청소년기 우울증을 ‘가면 쓴 우울증’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나쁜 경험 쌓이면 무기력으로 발전

아이가 이런 행동을 보이면 부모는 매우 당혹스럽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갈피를 잡을 수 없어 우왕좌왕하며 미숙하게 대처하기도 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 계속돼 비행 청소년이 되면 어쩌나 하는 조바심에 초반부터 제대로 잡아야 한다며 엄하게 처벌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적절하지 못한 대처나 처벌은 마치 열이 나면 무조건 해열제를 먹이는 것과 같습니다. 발열의 원인을 찾아서 없애줘야 다시 열이 나지 않는 것처럼 아이가 우울한 이유를 찾아내 없애줘야 합니다.

그렇다면 아이들의 우울 행동은 어디서 오는 걸까요? 아무리 열심히 노력해도 노력한 만큼 대가를 얻을 수 없다는 느낌으로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정 상황에서 열심히 해봐야 어쩔 수 없었던 나쁜 경험이 계속 쌓이고, 이런 경험이 모든 상황으로 일반화돼 나타나는 무기력을 학습된 무기력이라 합니다. 학습된 무기력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우울증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심리학자 셀리그먼의 실험

심리학자인 셀리그먼은 학습된 무기력이 어떻게 생기는지를 실험을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첫날, 그는 다리는 고정시키고 목만을 약간 움직일 수 있는 우리에 개를 집어넣고 5초간 지속되는 전기충격을 90초 간격으로 하루에 64차례 주었습니다. 전기충격은 불쾌한 느낌이나 고통을 줄 정도로, 상해가 생길 정도는 아닙니다. 개들은 하루 1시간30분 정도 우리 속에 들어가 있었으며 전기충격을 받은 시간은 총 5분 정도입니다. 모든 개가 다 이 전기충격을 받은 것은 아닙니다.1번 우리의 개들은 눈 앞에 있는 나무판을 코로 밀면 바로 전기충격을 멈출 수 있도록 했고,2번 우리의 개들은 어떤 행동을 해도 전기 충격을 멈출 수 없도록 했습니다.3번 우리에는 전기충격을 주지 않았습니다.

다음날 이 개들을 모두 그림과 같은 셔틀 박스에 넣습니다. 개가 한쪽 방에 있으면 갑자기 불이 꺼지고 10초 뒤 전기쇼크가 주어집니다. 전기 충격이 주어지더라도 10초 안에 벽을 뛰어 넘어 반대편 방으로 가면 얼마든지 전기충격을 피할 수 있습니다. 반대편 방으로 가지 않아도 전기 충격은 60초 뒤에는 멈추게 돼 있습니다.

놀라운 결과가 나왔습니다.1번과 3번 우리의 개들은 한두 차례 정도는 멋모르고 전기 충격을 받았지만 곧 어떻게 하면 이를 피할 수 있는지 배웠습니다. 반면 2번 우리의 개들은 피하는 방법을 거의 배우지 못하고 60초 내내 웅크린 자세로 전기충격을 고스란히 다 받으며 끝나기만을 기다렸습니다. 첫날 어떤 행동을 해도 전기충격을 피할 수 없었던 경험이 다음 날 충분히 피할 수 있었던 나쁜 자극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무력감을 배우게 한 것입니다.

낙관성·근면성 키워줘야

아이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안을 제시해 주지 않는 처벌과 꾸중, 질책을 계속해서 받다 보면 아예 새로운 시도를 하려고 하지 않는 학습된 무기력 상태에 이르게 되고, 결국 ‘가면 쓴 우울증’ 양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아이들이 학습된 무기력 상태에 빠지지 않게 하려면 어찌 해볼 수 없이 통제가 불가능하고, 예측이 불가능한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해주면서 동시에 성공 경험을 하도록 도와 줘야 합니다. 현재 학습된 무기력 상태에 있다면 낙관성과 근면성을 키워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도록 해야 합니다. 다음 주에는 학습된 무기력을 이기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사일자 : 2007-06-19    17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