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주요 대학들은 학생부 기본 점수를 높이는 방법으로 실질 반영률을 낮춰 왔다. 예를 들어 총점 1000점 만점에 학생부 반영 점수가 500점이고 기본 점수가 400점이라면 ‘(500-400)/(1000-400)×100’으로 계산해 실질 반영률은 16.7%가 된다. 이는 명목상 반영비율 50%와는 큰 차이가 난다. 실제 지난해 정시모집에서 주요 대학의 학생부 실질 반영비율은 연세대 11.7%, 고려대 7.4%, 성균관대 5%, 경희대 4.8%, 한양대 4%, 한국외대 3.5%, 중앙대 2.5%에 불과했다. 교육부의 기준은 이런 눈속임을 하지 말라는 뜻이다. 기본 점수를 어떻게 얼마를 주든 대학이 마음대로 하되 반영률은 약속한 대로 지키라는 것이다. 정시모집에서 내신의 일부 등급을 하나로 묶어 같은 점수를 주지 않게 한 것도 내신의 영향력을 살리려는 의도다.
정부의 갑작스런 발표에 대학들은 당혹스러워하면서도 “따라야 하지 않겠느냐.”는 반응을 보였다. 서울대 김영정 입학관리본부장은 “지난 4월 입시안을 발표할 때 명목 반영 비율과 실질 반영 비율을 맞춘다고 대국민 약속을 이미 했다.1∼2등급을 묶지 말라는 교육부의 요구는 더 알아봐야겠다.”고 말했다.
고려대 박유성 입학처장은 “올해 수시 일반전형의 50%를 교육부의 말처럼 명목 반영비율과 실질 반영비율을 같게 해 선발한 뒤 정시도 같은 방법으로 할지 검토할 계획이었다. 그 방법이 옳으냐 그르냐를 따져볼 겨를도 없이 선택을 해야 할 상황”이라면서 “곧 결정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연세대 관계자도 “기존 입시안에 변수가 생겼다. 교육부 방침에 따라 대안을 세워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이화여대는 “교육부와 갈등이 생기는 방향으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들이 자세를 낮추면서 내신 반영을 둘러싼 교육부와 대학간 갈등은 일단락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수험생들의 혼란도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김재천 서재희 이경주기자 patrick@seoul.co.kr